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77121423
· 쪽수 : 384쪽
· 출판일 : 1999-07-15
목차
제1권 - 노래의 관습과 시의 전통
빛샘 한국 대표 문학을 펴내며
제1권의 체제와 내용
- 일러두기
1. [고대시가]
고대시가의 서정
공무도하가/황조가/구지가
2. [향가]
주술적 서정
서동요/헌화가/혜성가/원가/웬왕생사
개인적 서정
처용가/모죽지랑가/제망매가/찬기파랑가/안민가
3. [고려시가]
이별의 정한
가시리/사모곡/동동/정과정/청산별곡/서경별곡
진솔한 사랑
정석가/쌍화점/정읍사/만전춘/한림별곡
4. [악장]
역사를 찬미하며
신도가/유림가/상대별곡/용비어천가/월인천강지곡
5. [한시]
시대의 아픔을 안고
여수장우중문시/추야우중/사리화/부벽루/도중 세상과 떨어져
제가야산 독서당/산거/제승사/독서유감/보천탄에서/ 불일암 인운 스님에게
임을 여의고/ 송인/감상문가/규원/대관령을 넘으면서/꿈 속의 넋/ 백성의 마음으로/ 빈녀음/구우/보리타작/함진촌요/절명시/창의시
번역의 모습
등고/등악앙두/춘망/강촌/귀안/강남봉아구년/병거행
제2권의 체제와 내용
1. [민요]
민요의 세계
시집살이 노래/아리랑 타령/논매기 노래/녹두새
2. [시조]
- 고려의 시조 -
다정도 병인 양하여
이화에 월백하고/춘산에 눈 녹인 바람/ 한 손에 막대잡고/
백설이 자자진 골에/이 몸이 주거 주거/구름이 무심탄 말이
- 조선 전기의 시조 -
오백년 도읍지를 떠나며
오백년 도읍지를/ 흥망이 유수하니/ 눈 마자 휘어진 대를 /선인교 나린 물이
- 강호에 누워 -
대쵸볼 불근 골에/강호사시가/추강에 밤이 드니
/이시렴 브듸 갈따/십년을 경영하야
- 영월이여. 영월이여-
수양산 바라보며/방 안에 혓는 촉불/간밤에 우던 열흘 /천만리 머나먼 길에/삭풍은 나모 긋희
- 동짓말 기나긴 밤을 -
동짓말 기나긴 밤을/어져 내 일이야/청산리 벽계수야 /산을 빗 산이로되/이화우 흣뿌릴 제/욋버들 갈해 것거
- 자신을 닦으며-
마음이 어린후니/도산십이곡/고산구곡가/훈민가 /말 업슨 청산이요
- 조선 후기의 시조 -
한산셤 달 발근 밤의
한산셤 달 발근 밤에/가노라 삼각산아/공명을 즐겨 마라
/님이 헤요시매/풍셜 석거진 날에
산은 길고 길고
견희요/잔 들고 혼자 안자/오우가/어부사시사
백구야 말 물어보자
백구야 말 물어보자/전원에 나믄 흥을/초암이 적료한데
/매화사
산촌에 높이 오니
산촌에 눈이 오니/노래 삼긴 사람/오동에 듯는 빗발
/강산 죠흔 경을/반증 조흥감이
- 시설시조의 세계 -
장 내고쟈 창을 내고쟈
창 내고쟈 창을 내고쟈 / 귓도리 져 귓도리 /서방님 병 들여 두고/나모도 바이돌도/님이 오마 하거늘
- 여러 사는 모습들 -
두테비 파리를 물고/개야미 불개야미/한 눈 멀고 한다리 져는
/갓나희들이/밝가버슨 아해들리
- 댁들에 동난지 사오-
댁들에 동난지 사오/한습아 셰한슴아/쉬어마님 며느라기 낫바 /논밭 갈아 기음 매고
3권
빛샘 한국 대표 문학을 펴내며
제3권의 체제와 내용
일러두기
가사
조선전기의 가사
- 어와 내 병이야 임의 탓이로다
사미인곡 / 속미인곡 / 규원가
- 산수 구경 가쟈스라
상춘곡 / 면앙정가 / 관동별곡
조선 후기의 가사
- 상황과 인식
누항사 / 선상탄
- 견문과 사색
일동장유가 / 연행가
- 대립되는 두 삶
농가월령가 / 북천가
- 인간 이해의 양면성
용부가 / 우부가
개화기의 가사
- 애국의 노래
애국가 / 대조선국 자주독립 애국하는 노래 / 애국가
- 일제 강점기의 삶
동심가 / 독립군가
판소리
수궁가 / 적벽가 / 흥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