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식품영양학/조리
· ISBN : 9788977229471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21-04-05
책 소개
목차
제1장 비빔밥 산업화의 방법론
1. 비빔밥 산업화 국내외 동향 및 배경
2. 비빔밥 산업화 목적 및 필요성
3. 비빔밥 산업화의 설계 및 내용
4. 비빔밥 산업화 계획
4.1 비빔밥 산업화 추진계획
4.2 연구 추진 일정
5. 비빔밥 산업화 추진 절차 및 방법
5.1 메뉴개발 및 시험조리
5.2 소스개발 및 시험조리
5.3 한식용 식용유 개발 및 평가
5.4 영양평가 및 설계
5.5 기능성 소재 개발 및 평가
5.6 관능평가(산업화 및 세계화 검증)
5.7 자체 평가지표
제2장 비빔밥 산업화 연구
1. 비빔밥의 우수성 및 다양성
1.1 10가지 비빔밥의 메뉴개발과 분석
1.2 연구방법
1.3 칼로리 제한 메뉴 및 식재료 설계
1.4 영양평가 및 분석
1.5 거점국가 및 지역 특성 메뉴설계
1.6 비빔밥 식재료 표준량
1.7 연구결과
2. 비빔밥의 기능성
2.1 실험재료 및 방법
2.2 연구결과
3. 항암활성, 면역활성 및 항알레르기 효능평가
3.1 분석시료
3.2 연구방법
3.3 기능성 실험결과
4. 고 찰
제3장 비빔밥 및 한식용 소스개발
1. 한식의 특징
2. 소스의 분류
3. 비빔밥용 소스
4. 한식용 소스
5. 세계화를 위한 기능성 고추장 소스 시제품 제조
5.1 분석방법
5.2 연구결과
제4장 한식용 식용유 개발
1. 한식용 식용유
1.1 연구 배경
1.2 연구 목적
2. 재료 및 방법
2.1 실험재료 및 전처리
2.2 착 유
2.3 식용유 유화공정
2.4 식용유의 지방산 조성분석
2.5 식용유의 토코페롤 및 토코트리에놀 조성 및 함량 분석
2.6 식용유의 피토스테롤 조성 및 함량
2.7 식용유의 산화 안정성 분석
2.8 관능평가(들기름과 혼합에 적합한 식용유 평가)
3. 연구 결과 및 평가
3.1 들기름과 혼합에 적합한 식용유 선발
3.2 혼합유의 유화공정
3.3 여러 혼합유를 첨가한 비빔밥의 관능평가
3.4 한식용 식용유, 들기름, 미강유의 지방산 조성
3.5 한식용 식용유, 들기름, 미강유의 토코페롤 및 토코트리에놀 조성 및 함량
3.6 한식용 식용유, 들기름, 미강유의 파이토스테롤 조성 및 함량
3.7 한식용 식용유의 산화 안정성 분석
3.8 한식용 식용유의 한국인 선호도 조사
3.9 한식용 식용유의 외국인 선호도 조사
3.10 한식용 식용유의 배합비율 및 원료 단가 1
4. 결 론
제5장 비빔밥 세계화의 조건
1. 설문조사
2. 설문조사 및 관능평가
3. 산업화 및 세계화를 위한 설문조사 결과
1) 홍콩 현지조사
2) 일본 나고야?오사카 현지조사
3) 중국 쑤저우 S전자 임직원
4) 외국인 유학생
5) 일반인(한국)
4. 전시용 플라스틱 모형제작
제6장 비빔밥 산업화 결론과 제언
1. 연구 결과
2. 연구 요약
3. 연구의 활용
4. 기대 효과
5. 향후 제언
6. 비빔밥 표준식단 10종 사진 (컬러화보 참조)
제7장 비빔밥 산업화 연구 기초자료
1. 단 위
1.1 계량단위
1.2 식품 사용단위
2. 설문조사 문항
2.1 한국어 설문조사 문항
2.2 영어 설문조사 문항
2.3 일어 설문조사 문항
2.4 중국어 설문조사 문항
2.5 기능성 비빔밥 관능평가
3. 거점국가 현장조사
3.1 홍콩지역 현장조사
3.2 일본 나고야 및 오사카지역 현장조사
4. 비빔밥의 구성 재료
4.1 외국인을 위한 비빔밥 5종 및 비교식품의 구성 재료
4.2 기능성 비빔밥 5종의 구성 재료
5. 비빔밥 재료의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 자료
5.1 비빔밥의 재료관련 자료
5.2 비빔밥의 우수성 및 기능성 관련 자료
6. 영양평가 프로그램
6.1 CAN Pro 3.0 프로그램
6.2 모바일 칼로리 코디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