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지역주의와 정체성의 정치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88977780903
· 쪽수 : 325쪽
· 출판일 : 1999-08-08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88977780903
· 쪽수 : 325쪽
· 출판일 : 1999-08-08
책 소개
지역주의 할거에 대한 걱정과 염려보다는 구체적이고 치열한 연구가 필요한 이 시점에서 한국 지역주의의 전개과정과 구조를 정체성의 형성과 존재양태를 중심으로 분석한 본격연구서. 기존의 정치경제적 접근이나 합리적 선택론과는 달리 저자는 지역 유권자들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중시한 '정체성'의 개념으로 지역주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선보인다.
목차
책머리에 : 공존의 정치를 위하여
제1장 서론
제2장 지역주의 담론의 신화들
제3장 이론적 논점과 대안적 분석틀
제4장 사회적 범주로서 호남의 탄생
제5장 박정희 정권과 배제의 정치학
제6장 정치적 정체성의 형성과 도덕적 정당화
제7장 정체성의 표출과 지역균열
제8장 정치적 결집과 지역간 경쟁구조
제9장 결론
문헌각주
참고문헌
국문요약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람들이 새로운 정체성을 고집하고 나오는 이유는 바로 그러한 차별과 배제에 대한 불만이 누적되었기 때문이다. "왜 우리가 그런 대접을 받아야 하는가?" 라는 문제의식이 이러한 집단 자의식을 추동하면서, 새로운 '우리', 그리고 그러한 우리의식에 기반한 정치적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정체성을 형성한 '우리'는 이전의 '그들'과 전혀 다른 행태를 보이게 된다. 주어진 상황을 다르게 해석할 뿐만 아니라 달라진 가치기준을 느끼게 된다. 정치적 상황에서도 상이한 행위전략을 선택하게 된다. 이전에 여당을 지지하던 공무원들이 자신들의 지역출신에 따라 투표하기 시작했다면 그들은 지역적 정체성에 기반하여 행위하고 있는 것이다. 정치적 정체성은 정치상황을 규정하고 행위방식을 선택하는 준거로 작용하게 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