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78168724
· 쪽수 : 453쪽
· 출판일 : 2010-12-30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1) 국내ㆍ외 선행연구 및 국내 행정관련 자료 고찰
2) 외국의 지역사회중심 아동ㆍ가족 맞춤형 지원서비스 정책 및 프로그램 고찰
3) 아동ㆍ주양육자 욕구조사
4) 지역사회 아동ㆍ가족 지원서비스 제공기관 실태파악
5) 한국형 지역사회중심 아동ㆍ가족 맞춤형 지원서비스지원 체계 구축 방안 모색
3. 연구방법
1) 문헌연구
2) 전문가 자문
3) 양적 연구 : 아동ㆍ가족 욕구조사 분석
4) 전문가 설문조사
5) 워크숍 및 정책협의회
5. 연구의 의의 및 한계
II. 이론적 논의 및 국내 현황 분석
1. 지역사회중심 아동ㆍ가족 맞춤형 지원서비스의 개념
1) 지역사회
2) 아동ㆍ가족
3) 맞춤형 지원서비스
2. 우리나라 아동ㆍ가족 유형별 현황 및 전망
1) 아동 현황 및 전망
2) 가족 유형별 현황 및 전망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중심 아동ㆍ가족 지원서비스
1)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중심 아동ㆍ가족 지원서비스
2) 국가차원의 통합관리체계
III. 외국의 지역사회중심 아동ㆍ가족 맞춤형 지원서비스 정책
1. 일본
1)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정책방향
2)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주요제도 및 프로그램
3) 지역사회 차원의 아동, 가족맞춤형 복지서비스 지원사례
4) 우리나라에 가지는 함의 : 일본 사례가 주는 시사점
2. 독일
1)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아동 및 가족 정책 방향
2)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주요제도 및 프로그램
3) 지역사회 차원의 아동 및 가족 복지서비스 지원사례
4) 독일사례의 시사점
3. 미국
1)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아동 및 가족 정책 방향
2)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주요제도 및 프로그램
3) 지역기반 중심 개별 성공사례 소개
4) 한국의 아동가족맞춤형 복지 정책에 있어서의 시사점
IV. 아동ㆍ가족 유형별 욕구
1. 기존 욕구조사 결과 소개
1) 지역사회욕구조사
2) 국가차원의 아동ㆍ가족 욕구조사
2. 아동ㆍ가족 욕구조사 결과
1) 조사개요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 아동의 지원서비스에 대한 욕구조사
4) 개인적으로 힘든 점이나 도움이 필요한 점
3. 주양육자의 지원서비스 욕구조사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올해 들어 이용한 경험이 있는 시설
3) 앞으로 이용해 보고 싶은 기관
4) 초등학생 자녀가 이용한 기관
5) 초등학생 자녀에게 이용을 권하고 싶은 기관
6) 주양육자와 초등학교 연령 아동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지원서비스(복수응답)
7) 주양육자의 생활만족도
8) 지역사회 기관이나 서비스 이용 과정에 대한 불만사항과 개선할 점
9) 지역사회에서 아동과 주양육자를 지원하기 위한 아이디어
V. 우리나라 지역사회 아동ㆍ가족 맞춤형 지원서비스 제공기관 현황 분석
1. 조사개요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 아동ㆍ가족 지원서비스 제공기관 서비스 및 사업 실태
1) 현재 기관이 업무를 위해 연계, 협력하고 있는 기관
2) 기관이 연계되어 있는 국가차원의 통합관리체계
3) 업무와 관련하여 주로 예산을 받거나 지침을 따라야 하는 국가 행정부처
4) 맞춤형 지원서비스 제공
5) 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2010년 중앙행정부처 사업
6) 아동ㆍ가족(주양육자) 지원서비스 실시여부
4. 기관종사자의 욕구 및 개선을 위한 바램
1) 아동ㆍ가족을 지원하는 업무를 수행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기관별)
2) 현재 실시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 아동ㆍ가족 지원 정부정책 중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기관별)
3) 지역사회 아동과 아동의 주양육자가 필요로 함에도 불구하고 예산 등의 문제로 지원하지 못하는 서비스(기관별)
4) 지역사회자원 혹은 기관을 연계, 협력하는데 있어 가장 큰 어려움과 국가의 지원 요구(기관별)
5) 바람직한 한국형 지역사회 아동ㆍ가족 맞춤형 지원서비스 구축을 위한 의견(기관공통)
IV.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1) 서비스 내용적 측면
2) 전달체계적 측면
3) 법ㆍ제도ㆍ정책적 측면
참고문헌
부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