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8169806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11-12-26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1) 성인기 이행에 대한 인식 조사
2) 성인기 이행 양상에 관한 성별 차이(세부과제)
3) 취약위기계층 청년의 성인기 이행 연구(세부과제)
3. 연구방법
1) 설문조사
2) 심층면접조사
3) 전문가 자문
4. 용어 정의 : 청년기
5.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제2장 이론적 배경
1. 발현성인기
1) 발현성인기 발생의 배경
2) 발현성인기 특징
2. 성인의 조건
3. 성인기 이행에 관한 규범
4. 소결
제3장 연구방법
1. 성인기 이행에 대한 인식 연구
1) 설문문항과 문항작성 근거 및 조사영역 선정
2) 예비조사
3) 본조사
2. 성인기 이행의 성별차이 연구
1) 연구방향
2) 연구 대상자 선정
3. 취약위기계층 청년의 성인기 이행에 관한 연구
1) 연구방향
2) 연구 대상 선정
제4장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 발현성인기에 대한 청년들의 의식
3. 성인의 기준에 대한 인식 및 세대 간 비교
1) 성인의 기준 중요도 조사결과
2) 성인의 기준으로 중요도가 낮은 항목
3) 성인의 기준에 대한 세대별 차이
4) 성인의 기준에 대한 외국조사결과 비교
4. 성인으로 인식하는 상황과 성인기 과업 수행시기
1) 자신을 성인으로 인식하는 정도
2) 성인기 과업 수행시기에 대한 인식
5. 성인기 이행과 관련된 과업들
1) 성인기 이행과 교육의 중요성
2) 성인기 이행과 경제적 자립
3) 성인기 이행과 부모의 개입, 개인의 특성
4) 청년들의 결혼, 자녀출산,분가의향
6. 발현성인기와 성인의 기준 요인분석
1) 발현성인기 특성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2) 성인의 기준에 대한 요인분석
3) 요인분석 결과에 따른 배경변인별 분석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 및 결론
1) 성인기 이행에 대한 인식 조사
2) 성인기 이행의 성별차이 연구(세부과제)
3) 취약위기계층 청년의 성인기 이행(세부과제)
2. 정책제언
1) 건강한 성인기 이행 지원을 위한 사회문화 구축
2) 청소년기 사회참여 활성화 및 진로지도 강화
3) 취약위기청년 지원 정책
4) 성별화된 돌봄 노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5) 성인기 이행 중 부모에 대한 경제적 예속 탈피 지원
6) 청년주거 정책
7) 청년고용 정책
8) 취업에 대한 대학교육의 책무성 강화
3. 성인기 이행 관련 향후 연구 과제
참고문헌
부록
1. 청년세대용 설문지
2. 부모세대용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