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네트워크 구축
· ISBN : 9788979149616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2-09-20
책 소개
목차
PART 1 가상화와 하이퍼바이저
CHAPTER 1 가상화 기술 개요
1.1 가상화 소개
__1.1.1 가상화 역사
__1.1.2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__1.1.3 하드웨어 가상화
__1.1.4 데스크톱 가상화
__1.1.5 네트워크 가상화
__1.1.6 서버 가상화
__1.1.7 스토리지 가상화
1.2 가상화가 필요한 이유
1.3 가상화 프로젝트
1.4 가상화 제품 비교
1.5 마치며
CHAPTER 2 QEMU
2.1 QEMU 소개
__2.1.1 라이선스
2.2 QEMU 구조
__2.2.1. QEMU 모드
__2.2.2 QEMU 내부 기능
__2.2.3 KQEMU
__2.3 QEMU 관련 하이퍼바이저
__2.3.1 Bochs와 QEMU
__2.3.2 KVM과 QEMU
__2.3.3 Xen과 QEMU
__2.3.4 버추얼박스와 QEMU
2.4 QEMU 실행 옵션
__2.4.1 명령행 옵션
__2.4.2 그래픽 모드 키
2.5 QEMU 디스크 관리
__2.5.1 qemu
__2.5.2 qemu
2.6 QEMU 네트워크 관리
__2.6.1 가상 네트워크 디바이스
__2.6.2 네트워크 생성
__2.6.3 네트워크 모드
2.7. QEMU 설치하기
__2.7.1 윈도우에 설치하기
__2.7.2 리눅스에 설치하기
2.8 QEMU 실행 예제
__2.8.1 윈도우 환경 예제
__2.8.2 리눅스 환경 예제
2.9 마치며
CHAPTER 3 KVM
3.1 KVM 소개
__3.1.1 KVM은 무엇인가?
__3.1.2 KVM이 지원하는 OS
3.2 게스트 설치 준비
__3.2.1 KVM 지원 여부 확인
__3.2.2 지원 저장 장치
__3.2.3 보안 정책 설정
3.3 KVM 패키지 설치
__3.3.1 배포판 설치 시 KVM 설치하기
__3.3.2 배포판 설치 이후에 KVM 설치하기
__3.3.3 KVM을 쉽게 운영하기 위해 함께 설치해야 하는 패키지
__3.3.4 설치 확인하기
3.4 virt
__3.4.1 virt
__3.4.2 설치 필수 정보
__3.4.3 설치 옵션
__3.4.4 네트워크를 이용한 CentOS 설치
__3.4.5 윈도우 2000 서버 설치
3.5 설정
__3.5.1 가상 저장소 장치 설정
__3.5.2 네트워크 설정
__3.5.3 반가상화 드라이버 설치
__3.6 가상화 시스템 관리
__3.6.1 가상화 보안
__3.6.2 마이그레이션
3.7 마치며
CHAPTER 4 Xen
4.1 Xen 소개
4.2 Xen 구조
__4.2.1 Xen 하이퍼바이저
__4.2.2 도메인 0
__4.2.3 도메인 U
__4.2.4 도메인 관리 및 제어
4.3 Xen 설치
__4.3.1 설치 환경
__4.3.2 yum을 이용한 Xen 설치
__4.3.3 패키지를 이용한 설치
__4.3.4 소스를 이용한 설치
__4.3.5 GRUB 설정
4.4 Xen 활용
__4.4.1 시스템 부팅
__4.4.2 데몬 설정
__4.4.3 xm을 이용한 가상 게스트 생성
__4.4.4 virt
4.5 마치며
CHAPTER 5 XenServer
5.1 XenServer 소개
5.2 XenServer 구조
__5.2.1 리소스 풀
__5.2.2 스토리지
5.3 XenServer 설치
__5.3.1 설치 환경
__5.3.2 XenServer 설치
__5.3.3 XenCenter 설치
__5.3.4 라이선스 등록 방법
5.4 게스트 OS 설치 및 활용
__5.4.1 지원되는 게스트 OS 종류
__5.4.2 게스트 설치
__5.4.3 스냅샷 및 템플릿 설정
5.5 마치며
PART 2 실전 가상화 관리
CHAPTER 6 libvirt 프로그래밍
6.1 libvirt 소개
__6.1.1 구조
__6.1.2 설치
__6.1.3 사용하기
__6.1.4 Connection API
__6.1.5 Guest Domains API
6.2 virsh
__6.2.1 사용하기
__6.2.2 하이퍼바이저 연결
__6.2.3 가상 머신 생성 및 목록 조회
__6.2.4 장비 할당
6.3 XML 포맷
__6.3.1 가상 머신 XML 포맷
__6.3.2 네트워크 XML 포맷
__6.3.3 스토리지 XML 포맷
6.4 그 외 도구
6.5 마치며
CHAPTER 7 GlusterFS
7.1 GlusterFS 소개
7.2 GlusterFS 설치
__7.2.1 요구사항
__7.2.2 다운로드 및 설치
7.3 GlusterFS 운영
__7.3.1 클러스터 구성 (노드 등록)
__7.3.2 볼륨 구성
__7.3.3 데이터 액세스
7.4 마치며
CHAPTER 8 가상 머신 관리자
8.1 가상 머신 관리자 소개
8.2 가상 머신 관리자 설치
__8.2.1 CentOS에서 설치
__8.2.2 우분투에서 설치
8.3 하이퍼바이저 세션 연결
8.4 가상 머신 관리자 메인 화면
8.5 가상 머신의 상세 화면
8.6 새로운 가상 머신 생성
__8.6.1 게스트 OS 생성
__8.6.2 새 가상 장치 마법사
__8.6.3 새 가상 시스템 이름 설정
__8.6.4 가상화 방식
__8.6.5 설치 디스크 위치 설정
__8.6.6 가상 머신의 저장소 설정
__8.6.7 Network 설정
__8.6.8 CPU와 메모리 설정
__8.6.9 OS 설치
__8.6.10 설치 완료된 가상 머신 실행
8.7 저장된 장치 복구
8.8 가상 머신 상세 정보 보기
8.9 마치며
CHAPTER 9 웹 기반의 가상화 클러스터 관리 도구 개발
9.1 웹 관리 도구 개요
__9.1.1 libvirt 접근 권한 개요
9.2 사전 환경 준비
__9.2.1 아파치 웹 서버 설치
__9.2.2 파이썬 및 파이썬 모듈 설치
__9.2.3 파이썬 및 파이썬 모듈 설치 확인
__9.2.4 libvirt 접근 권한 설정
__9.2.5 libvirtd 접근 권한 설정 확인
9.3 웹 관리 도구 개발
__9.3.1 가상 머신 목록 보기 페이지 만들기
__9.3.2 가상 머신 생성 페이지 만들기
__9.3.3 가상 머신 삭제 기능 만들기 및 관리 도구 완성
9.4 마치며
CHAPTER 10 클라우드스택
10.1 클라우드스택 소개
__10.1.1 클라우드스택 구조
__10.1.2 클라우드스택 용어
10.2 클라우드스택 네트워크 유형
__10.2.1 기본 네트워크
__10.2.2 고급 네트워크
__10.2.3 고급 네트워크
__10.2.4 고급 네트워크
__10.2.5 고급 네트워크
10.3 클라우드스택 설치
__10.3.1 배포 환경
__10.3.2 설치 환경 및 준비
10.4 클라우드스택 설치
__10.4.1 설치 준비
__10.4.2 관리 서버 설치
__10.4.3 MySQL 설치 및 관리 서버 실행
__10.4.4 스토리지 설정
__10.4.5 시스템 가상 머신 템플릿 준비
__10.4.6 에이전트 설치
10.5 클라우드스택 사용하기
__10.5.1 존, 포드, 클러스터 추가하기
__10.5.2 호스트 및 스토리지 추가하기
__10.5.3 가상 머신 생성하기
10.6 마치며
APPENDIX A 버추얼박스를 활용한 XenServer 설치
A.1 버추얼박스 설치
A.2 버추얼박스에서 XenServer 설치 및 설정
A.3 마치며
APPENDIX B QEMU 세부 명령행 옵션
B.1 USB 옵션
B.2 표시 옵션
B.3 i386 전용 옵션
B.4 네트워크 옵션
B.5 디버깅 또는 전문가 옵션
책속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