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고 녹지환경학

신고 녹지환경학

안영희 (지은이)
태림문화사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고 녹지환경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고 녹지환경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환경학
· ISBN : 9788982052415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0-02-25

목차

머리말 ⅲ

제1편 녹지환경학 총설

제1장 녹지환경학의 전개 3
1. 녹지환경의 필요성 8
2. 녹지의 정의 12
3. 녹지의 종류와 특성 13
(1) 자연녹지 14
(2) 반자연 녹지 15
1) 2차림 16
2) 대상식생 16
(3) 인공녹지 16

제2장 녹지환경과 생태계 관리 19
1. 녹지생태학을 응용한 녹지환경 21
(1) 녹지생태학의 학문적 배경 23
1) 녹지생태학과 생태학 23
2) 녹지생태학의 과제와 연구방법 24
3) 녹지를 기초로 한 환경생태 평가 기준 26
3) 녹지생태학의 금후 과제와 전망 31
(2)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와 녹지관리 계획 31
1)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개요 31
2)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운용 32
3) 외국의 환경영향평가제도 36
4) 환경 관리 계획에 의한 녹지의 보전 40

제3장 녹지의 기능 43
1. 녹지의 다양한 기능 43
2. 녹지에 의한 기능적 효과 47
(1) 건축적 기능(공간조절 기능) 47
1) 구역나누기 49
2) 차폐 50
(2) 생활환경보전 기능 55
1) 식물에 의한 대기정화 기능 55
2) 방음 효과 63
3) 토지보전 기능 68
4) 미기상 조절 기능 79
5) 교통조절 기능 89
6) 건강 증진 및 정서안정 효과 95
7) 야생생물 보호 기능 96

제4장 성공적인 녹화를 위한 제반 고려사항 98
1. 녹화와 기상환경 98
(1) 녹화공사를 규제하는 기상조건 99
(2) 녹화공간의 기상환경 변화 100
2. 녹화와 생물적 환경 103
(1) 우리나라의 자연식생 103
1) 남부 난대상록활엽수림대 104
2) 중부 낙엽활엽수림대 105
3) 북부 침엽수림대 105
(2) 녹화에 영향을 주는 플로라적 요인 105
(3) 녹화와 생태적 요인 107
1) 잠재자연식생에 의한 방법 107
2) 잔존 자연식생에 의한 입지구분 109
3. 성공적인 녹화를 위한 각종 조사법 111
(1) 생태학적 조사법과 평가기준 112
1) 녹화와 식물군락 112
2) 군락조사 방법 115
3) 식물군락 평가 122
4) 녹화식물 형상의 계측 126
5) 녹지의 모니터링 127
6) 각종 모니터링 방법의 적용 128
(2) 녹화에 의한 경관 창조 129
1)경관의 유형 131

제5장 녹화용 재료 135
1. 녹화식물 135
(1) 녹화식물의 종류 135
1) 도시녹화용 식물 137
2) 자생식물 140
(2) 특수지 녹화식물 140
1) 인공지반 녹화식물 140
2) 절개사면 녹화용 식물 144
3) 음지 녹화용 식물 147
2. 녹화의 실제 149
(1) 녹화식물 선택 149
(2) 식재지 기반 정비 151
(3) 식재밀도 155
(4) 녹화기반 재료 157
1) 토양개량 자재 158
2) 비료 159
3) 배수 자재 159
4)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녹화기반 재료 160
5) 절개사면 녹화를 위한 녹화기반 재료 161
(5) 녹화 보조재료 162
1) 이식작업과 관련한 보조재료 162
2) 양생관리와 관련한 보조재료 162
3) 덩굴성 식물의 생육 보조재료 164
4) 실내녹화와 관련한 보조재료 166

제2편 녹화공법의 전개

제1장 법면 녹화 169
1. 법면 녹화에 대한 기초적인 고찰 169
(1) 법면녹화 요소 175
1) 적절한 식물 종의 선택 175
2) 비료 178
3) 침식방지제(재료)의 병용 179
(2) 법면 녹화공법 180
1) 법면 안정화 공법 181
2) 기계 시공(機械施工) 183
3) 제품화된 재료에 의한 공법 186
(3) 법면 녹화공법에서의 과제 189
(4) 법면 녹화 속도 191
(5) 법면 녹화용 잔디류 193
1) 난지형 잔디류 194
2) 한지형 잔디류 199
(5) 잔디의 선별 방법 204
1) 식재지 자연환경에 잘 적응하는 종류 204
2) 관리의 용이도 206
3) 답압에 내성이 강한 잔디의 선택 206
4) 아름다울 것 206
5) 종의 갱신에 유념할 것 207
(6) 잔디밭을 조성하는 방법 207
1) 상토의 준비 207
2) 콘크리트 등의 인공지반에 잔디를 식재하는 경우 208
3) 뗏장을 까는 법 208
4) 종자 파종법 209
5) 근경산포 공법 210

제2장 환경림 조성 212
1. 환경림 조성과 관리 212
(1) 환경림 조성의 기초 212
1) 환경림(environmental forests)과 그 필요성 212
2) 환경림 조성과 관리의 특성 213
3) 환경림 조성과 관리에 관한 생태학적 기초 214
(2) 환경림 조성과 관리의 실제 219
1) 식재지반 정비 219
2) 식재수목과 배식 222
3) 환경림의 관리 225
2. 환경림 설계 227
(1) 환경림의 구조와 분포 228
1) 수림의 구조와 분류 228
2) 수림 분포 230
(2) 일본의 환경림 조성 예 231
1) 숲 조성 전의 토지와 기존 수림의 현황 분석 232
2) 신궁 주변의 환경조건 분석 232
3) 신궁 수림의 주요 수목 결정(목표 수림의 결정) 233
4) 수림상의 변화를 예측한 식재설계 234
(3) 수림 설계 방법 237
1) 계획목표의 설정 238
2) 목표로 하는 수림의 설정 238
3) 수림의 생육 시리즈 검토 239
4) 수림의 정비 수준 설정 240
5) 수림의 조성과 관리 240
3. 환경림의 생태학적 식생관리 241
(1) 식생관리 계획의 수립 242
1) 환경림 현황 조사 242
2) 환경림의 이용 적성 평가 243
3) 정비목표의 결정 243
4) 식생관리 계획 244

제3장 수변녹화 245
1. 수변녹지 246
(1) 수변환경 특성 246
1) 영역성과 연속성 248
2) 수심과 단면형태 248
3) 물이 흐르는 영역(流水域)과 물이 고이는 영역(止水域) 249
4) 수질과 생물상 249
(2) 수변환경의 설계 원칙 250
1) 입지특성 조사 250
2) 수변 이용과 생태계 보전 251
(3) 수변환경 설계 방법 252
1) 하천에서의 수변환경 설계 252
2) 중소 하천 및 배수용로의 수변환경 설계 253
3) 댐, 저수지 수변환경 설계 254
(4) 수변 환경 조성에 흔히 이용되는 수생식물 255
1) 수생식물의 역할 255
2) 수생식물의 구분 258
(5) 하천 주변 녹지 조성 및 자연형 하천 복원 260
1) 자연에 가까운 하천조성 261
2) 생물이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 262
3) 전통적 공법을 활용한 하천 조성 262
4) 도시하천의 특성 263
2. 수변부의 식생 관리 263
(1) 수변식생의 특징 263
1) 식생의 자연성 264
2) 하천 주변 식생환경의 특성 264
3) 갈대밭 관리 269
4) 식생관리 및 모니터링 269
5) 습지 보전과 생물상 보호 270

제4장 도시 및 농촌녹지 272
1. 도시녹지 274
(1) 도시 생태계 특성 274
(2) 도시환경에 있어서의 녹지보전 279
1) 도시에 있어서의 녹지보전 방향 279
2) 도시녹지의 입지와 기능 283
(3) 도시 식생계획과 식생관리 286
1) 도시 식생계획 286
2) 식생관리와 모니터링 289
3) 도시 식생계획에서 고려할 사항 290
(4) 공원녹지의 계획과 식생조사 291
1) 도시공원 계획과 식생조사 291
2) 도시 자연공원 계획 292
(5) 도시 비오톱 조성 294
1) 비오톱의 의미 296
2) 비오톱 조성계획 298
(6) 도시 가로수 식재 300
1) 가로수 식재 및 관리 301
2. 농촌지역의 생태학적 녹지계획 304
(1) 생태학적인 녹지계획 304
(2)농촌녹지의 생태학적 특징 306
(3) 식생 배치와 종의 공급 307
1) 공간적 모자이크의 특성 307
2) 시간적 모자이크의 특성 312
3) 농촌녹지의 회랑 효과 313
(4) 생태학적 농촌녹지 계획의 방향 314
1) 생태학적 녹지평가 관점 314
2)농촌녹지 배치에 대한 관점 315
3. 조류의 생태와 서식환경 설계 318
(1) 조류의 생태 318
1) 조류상의 계절적 변화와 지역성 319
2) 조류 개체수의 계절적 변화 320
3) 조류의 서식환경 321
4) 조류의 사회성 322
(2) 서식환경 설계의 일반적 조건 323
1) 주변 환경의 지역적 특성 323
2) 목표로 하는 조류상 326
3) 서식지의 면적과 배치 327
4) 조류의 생활공간 특성 330
(3) 조류의 서식지별 설계조건 334
1) 수림성 조류의 서식환경 설계 334
2) 초원성 조류의 서식환경 설계 338
3) 수변성 조류의 서식환경 설계 340
4. 곤충의 생태와 서식환경 설계 342
(1) 반딧불이(반디불이, 개똥벌레) 343
1) 물 환경 345
2) 수로 주변의 구조 347
(2) 잠자리 348
1) 수질과 수심 353
2) 호안과 물 바닥 353
3) 주변 환경 354
4) 식생과 수역의 관리 354
(3) 사슴벌레류 356
1) 성충의 서식환경 357
2) 유충과 애벌레의 서식환경 358
(4) 나비 360
1)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나비의 특징 364
2) 성충의 서식환경 367
3) 유충. 애벌레의 서식환경 369
5. 파충류. 양서류. 어류의 생태와 서식환경의 설계 370
(1) 파충류 370
(2) 양서류 371
(3) 어류 374

제5장 자연보호구 조성 376
1. 자연보호구의 개념 376
(1)자연보호구의 목적과 개요 376
1) 자연보호와 자연보호구의 개념 376
2) 자연보호구의 목적과 종류 378
3) 생물적 다양성 유지 383
4) 자연보호구의 형태 386
(2) 자연보호구 계획 방법 391
1) 자연 보호구 선정 392
2) 자연보호구 조사와 분석 394
3) 부문별 계획 398
2. 우리나라의 자연보전 구역 400
(1)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400
(2) 도립공원 및 군립공원 402
1) 도립공원 402
2) 군립공원 403
(3) 우리나라의 천연기념물 403
1) 식물 403
2) 동물 404
3) 지질 및 광물 405
4) 천연보호 구역 405
(4) 생태계 보전지역 405

제6장 특수지 녹화 408
1. 특수지 녹화의 특성 408
(1) 인공지반의 식재환경 409
(2) 경량토양의 사용 410
2. 벽면 녹화 411
(1) 벽면녹화의 효과 412
1) 조경적인 효과 413
2) 반사광 방지 효과 413
3) 구조물 보호 및 붕괴 방지 413
4) 에너지 절약 효과 414
(2) 녹화공간으로서의 벽면의 환경특성 415
1) 식재기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415
2) 식재기반이 대단히 협소하다. 415
3) 식물의 점유 공간이 한정된 경우가 많다. 415
4) 벽면은 고온상태로 되는 경우가 많다. 416
5) 표면이 너무 매끄러운 경우가 많다. 416
6) 일조조건이 불량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417
(3) 벽면녹화 방법 417
1) 덩굴성 식물(climbing plants)에 의한 녹화 417
2) 에스펠리어(espalier) 에 의한 벽면 녹화 419
3) 베란다를 이용한 녹화 420
(4) 식재기반의 정비 420
(5) 덩굴성 식물 녹화를 위한 보조재료 422
(6) 벽면녹화용 식물 424
1) 녹화용 식물의 선택조건 424
2) 유지관리 수법 425
(7) 앞으로의 벽면녹화 전망 427
3. 실내 녹화 428
(1) 실내녹화에 있어서의 유의점 428
1) 식물의 생육에 열악한 환경조건 428
2) 처음부터 완성형 경관을 조성 429
3) 영구적인 녹화가 불가능 429
4) 충분히 훈화된 식물을 식재 430
5) 실내상황에 어울리는 녹화 430
6) 인공물을 적절히 사용 431
(2) 실내녹화에 따른 효과 432
1) 경관조성 432
2) 식물이 주는 심리적인 안정감 433
3) 실내공기정화 및 환경완화 기능 433
4) 건축적 기능 433
4. 옥상녹화 433
(1) 옥상녹화의 효과 434
1) 환경에 대한 효과 434
2) 이용자에 대한 효과 435
3) 건물에 대한 효과 436
4) 건물의 소유자에 대한 효과 436
(2) 옥상녹화를 실현하기 위한 조건과 문제점 437
1) 옥상녹화용 소재 및 고려사항 437
2) 옥상녹화 후 고려할 사항 443
(3) 옥상녹화 실제 445
1) 옥상녹화 유형 446
2) 옥상녹화를 위한 각종 구성요소 447
3) 옥상녹화 시공과정 449
4) 세부적인 고려 사항 449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