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작가론
· ISBN : 9788982066658
· 쪽수 : 438쪽
· 출판일 : 2002-04-15
책 소개
목차
제1부 시세계의 지속과 변이 양상
- 서정이라는 이름의 20세기적 사변성 : 총론 (정문선)
1. 서론
2. '주체에서 타자로'의 근대적 변이
3. '타자와 주체'의 공존과 갈등
4. '타자에서 주체'로의 실존적 회귀
5. 결론
- 정신적 외상과 비애의 정조 : 초기의 습작시편을 중심으로 (서덕주)
1. 서론
2. 가족들의 죽음과 정신적 외상
3. 민족적 시련과 정신적 외상
4. 도시 문명과 정신적 외상
5. 결론
- 우울한 내면의 도시적 풍경화 : '와사등' 시편을 중심으로 (엄성원)
1. 서론
2. 고향상실과 매개적 심상
3. 내면적 슬픔의 외면화 과정
4. 감각적 외부 묘사와 내면 세계의 표출
5. 결론
- 비애를 표출하는 두 가지 방식 : '기항지' 시편을 중심으로 (윤지영)
1. 서론
2. 도시인의 고독
3. 퇴락한 고향과 비애
4. 살아남은 자의 상실감
5. 결론
- 시의 서정과 전환적 의미 : '황혼가' 시편을 중심으로 (배영애)
1. 서론
2. 사라지는 것에 대한 그리움과 허무의식
3. 자기 성찰과 시대적 소명의식
4. 결론
- 노혼(老魂)의 회귀적 서정 : '추풍귀우' 시편을 중심으로 (오윤정)
1. 서론
2. '바람'의 흐름과 생사의 경계 136
3. '명암'의 대비와 존재론적 인식
4. '나무'와의 교감과 회귀적 서정
5. 결론
- 삶과 죽음의 경계 넘기 : '임진화' 시편을 중심으로 (최윤정)
1. 서론
2. 삶과 죽음의 양가적 시선으로 세상 보기
3. 삶과 죽음 사이에서의 망설임
4. 결론
제2부 주제론적 접근
- 고향 모티프의 유형과 매개체 (오윤정)
1. 서론
2. 고향모티프의 유형
3. 고향과 현재의 매개체
4. 결론
- '죽음' 모티프의 유형과 매개체 (배영애)
1. 서론
2. '죽음'의 외상과 타자화 과정
3. '죽음'의 순리(順理)와 자기화 과정
4. 결론
- 무엇을 보고 어떻게 말하는가 : 시어 및 문채(文彩) (윤지영)
1. 서론
2. 근대의 여러 풍경 - 무엇을 보는가
3. 가상의 근대 풍경 - 어떻게 말하는가
4. 창조적 언어관과 작위적 세계
5. 결론
- 풍경의 발견에서 내면의 발견으로 (최윤정)
1. 서론
2. 대상의 풍경에서 주체의 관념성으로
3. 결론
제3부 시론과 화론
- 새로운 감수성과 조형적 언어 (조용훈)
1. 서론
2. 모더니즘 시학의 추구
3. 시와 회화적 상상력
4. 결론
- 죽음에로 흘러드는 삶, 삶에로 흘러나오는 죽음 (정형근)
1. 서론
2. 관조하는 오후에서 비극적인 밤으로의 이행
3. 사생일여(生死一 如):죽음안으로 통합된 삶
4. 결론
- 기존논의의 쟁점과 현논의의 방향 : 김광균 시의 이해와 평가를 중심으로 (정문선)
1. 대상 텍스트의 범주
2. 기존논의의 전개와 쟁점
3. 현 논의의 방향과 전망
- 김광균의 '우울한 모더니즘' (엄성원)
1. 모더니즘의 두 경향
2. 현대적 차원의 '흐느낌'
3. 사적인 차원에 머문 현대적 우울
제4부 전기적.서지적 접근
- 김광균의 생애와 문학 : 전기적 접근 (김학동)
1. 꿈많던 유년시절과 아버지의 죽음
2. '연예사' 시대와 군산에서의 직장생활
3. 자오선동인과 시단의 본격적 데뷔
4. 계동집과 김광균의 전반기 시작활동
5. 사업가로서 변신하여 활동하던 시대
6. 성북동집과 다시 시단으로 돌아온 노시인
- 김광균의 시와 산문 : 서지적 접근 (김학동)
1. 시작활동
2. 산문활동
부록
- 원전 대조표
- 김광균의 생애연보
- 김광균의 작품연보
- 참고목록
-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