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82429446
· 쪽수 : 229쪽
· 출판일 : 2012-12-01
목차
서언
요약문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문제의식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한류의 정의
1. 초기 한류 연구의 흐름
2. 한류를 보는 관점들
제2절 미디어 지구화와 한류
1. 미디어 지구화라는 시각을 통해 본 한류
2. 미디어 지구화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논의
3. K-POP의 지구화
4. 디지털 한류의 등장과 확산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적 분석틀
제3장 한류의 확산
제1절 한류 확산 배경
1. 한류 성공 요인
2. 온라인을 통한 한류 확산
제2절 한류의 경제효과
1.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2. 한류에 대한 문화산업적 접근 사례
제4장 ICT와 K-POP 한류
제1절 국내외 디지털 음악산업의 현황
1. K-POP의 온오프라인 유통 현황
2. 디지털 한류 정보 사이트
제2절 디지털음원의 에코 시스템
1. 디지털음원 에코 시스템의 이해
2. 디지털음원 에코 시스템 활용 사례
제3절 ICT가 한류에 미친 영향: 전문가 심층인터뷰
1. 한류: 한국 문화의 소개에서 문화산업으로
2. 한류 주요 플레이어에 대한 평가
3. 한류에 미친 ICT 영향 : 콘텐츠의 시차 소멸과 음원수출 시스템 필요
4. 한류의 지속성장을 위한 정부의 노력
제5장 국내 음악산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제1절 음반시장의 붕괴와 음원시장의 성장
1. 음악소비층의 제약 및 음악시장의 다양성 상실
2. 영미권과 한국 음악시장의 차이: '아티스트'와 '작품' 개념 유무
3. 뮤지션에게 있어 음반시장
4. '스테디셀러'가 사라진 한국 대중음악 시장
제2절 대중음악축제를 포함한 공연시장의 성장
1. 한국 음악페스티벌 역사, 현황
2. 음악페스티벌이 음악산업에 미치는 영향
3. 음악페스티벌 문제점과 나아가야 할 방향
제3절 K-POP 브랜드의 해외진출
1. 음반시장 붕괴로 시작된 K-POP 한류
2. K-POP의 해외진출 방법
3. 한국 인디음악 해외진출 연혁
4. K-POP의 미래를 위한 정책
제6장 디지털 한류와 문화정책
제1절 한류의 문화적 정체성
1. 혼종 다국적 문화로서의 한류
2. 문화정체성과 문화정책
제2절 한류 이후의 문화변화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제1절 탈국경적 문화소비와 한류의 미래
1. 탈국경화된 청중의 탄생
2. 네트워크화된 수용자의 힘
3. 콘텐츠의 탈장소적 수용: 매개자의 부상
제2절 '지속가능한' 문화생산 환경을 위한 정책제언
1. 분배 없는 성장모델의 한계
2. 지속가능한 K-POP 한류를 위한 정책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