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ISBN : 9788984324084
· 쪽수 : 1832쪽
· 출판일 : 2009-04-20
책 소개
목차
제1장 인사관리
I-1 인사관리제도의 의의와 발전 22
1. 인사관리제도의 의의 2. 인사관리제도의 발전
I-2 종합인사제도의 시스템과 매니지먼트 28
1. 종합인사제도 시스템-28 2. 직무그레이드 제도-30
3. 라인매니지먼트와 잡매니지먼트- 34
I-3 기업환경에 의한 인사제도의 전환 37
1. 기업환경의 변화와 인사제도- 37
(1) 환경변화의 인식 / 38 (2) 변화의 세가지 특징 / 38
2. 경영환경의 변화- 39 3. 기업의 변화- 40
4. 사원의식의 변화- 41
(1) 귀속의식의 희박 / (2) ?전직(轉職)이 상식화?되고 있다 / 41
5. 인사제도의 변화- 42 6. 새로운 인사제도에의 전환-44
I-4 인사고과제도의 목적과 새로운 흐름 52
1. 인사고과의 성격-52 2. 인사고과의 목적과 역할-53 3. 인 사고과의 현실문제-54 4. 인사고과의 특성-57 5. 인사평가의 내용-59 6. 인사고과의 요소-62 7. 인사고과의 흐름과 목적 -65 8. 평가요소-7 9. 인사고과제도의 문제점-77
I-5 인사고과제도의 새로운 방향의 전환 87
1. 새로운 인사제도의 경향-87 2. 고과의 새로운 형태-893. 실 무상 유의점-92 4. 인사고과제도의 설계.운영-935. 인사고 과의 방법-102 6. 능력개발형인사고과-103 7. 상여와 인사고 과-105 8. 승격과 인사고과-106
I-6 인사고과제도의 기법과 구성 108
1. 인사고과기법의 의의-108 2. 절대고과의 평가방식-110
3. 상대평가와 평가방식-1184. 기록법에 의한 평가방식-122
5. 기법의 선택-124
I-7 인사고과의 법적위치와 규정작성사례 130
1. 인사고과의 법적위치-130 2. 인사고과 규정의 작성-137
I-8 360도(다면) 인사평가제도의 도입과 운영 151
1. 360도 인사평가에 주목이 집중-153 2. 360도 인사평가제도 의 정의-154 3. 도입의 이유-155 4. 360도인사평가제도의 전 제조건-156 5. 360도 인사평가제도의 대상-157 6. 평가자 -163 7. 피평가자의 결정-167 8. 평가자의 결정-1699. 제도 설계의 포인트-177 10. 평가표의 설계-189
I-9 업적책임제도의 도입과 업적평가 210
1. 업적책임의 제도-2102. 업적책임제도의 기본프레임-213
I-10 목표관리제도(MBO)의 도입과 운영 227
1. 목표관리제도의 의의-227 2. 목표관리제도의 내용-228
3. 실행의 포인트-229 4. 급여?상여의 반영스텝-229
5. 신입사원의 목표관리-231
I-11 업적고과의 설계와 관리 234
1. 업적고과 기준의 작업-234 2. 업적고과 과정의 설계-239
3. 업적고과 내용의 설계-240 4. 부분업적평가-253
5. 전문직 평가의 사례-266
I-12 평가제도의 개혁과 제도구축 271
1. 평가제도의 개혁 방향-271 2. 인사고과의 결정-285
3. 고과요소의 선택-286
I-13 밸런스코아카드(BSC)의 작성과 활용 297
1. 밸런스스코어카드의 의무-297 2. 밸런스스코아카드이용의 장점-299 3. 밸런스스코아카드의 활용-3004. 성과주의인사 제도와 BSC-304 5. 성과주의와 결과주의-3066. 포퍼먼스 매니지먼트와 BSC-307 7. 인사부문에 요구되는 역할의 변화 -308 8. BSC와 평가제도-308 9. BSC에 의한 부문장의 평 가-309 10. 목표관리제도의 과제-310 11. BSC와 목표관리제 도의 통합-311
I-14 컴피턴시의 도입프로세스와 모델 319
1. 컴피턴시와 인재개발-319 2. 심기체(心技體)와 컴피턴시-320
3. 행동규범적 행동기준과 컴피턴시-321 4. '보유능력' '행동' '성과'와 컴피턴시-321 5. 컴피턴시의 위치-322
6. 컴피턴시의 정의와 구조-327 7. 컴피턴시의 유익성-330
8. 컴피턴시의 도입과 프로세스-332
9. 컴피턴시의 기능과 평가-334 10. 컴피턴시의 모델작성 335
11. 평가싸이클.프로세스와 보수 기타에 의한 연동-345
I-15 직능.직무고과 사원만족도 평가 386
1. 직능고과제도의 설계-386 2. 직무평가-393 3. 사원만족의 평가-399 4. 만족도조사의 실시-399 5. 조사의 내용-400
제2장 고용관리
Ⅱ-1 사원의 채용제도와 운영 408
1. 인재채용-408 2. 졸업예정자의 채용내정과 법률문제-412
3. 사원의 중도채용과 임금-421 4. 정년후 재고용제도-429
5. 지역한정사원제의 채용과 운영-431 6. 사내공모제도의 사례 -434 7. 사업환경의 변화와 사내인재유동화 시책-444
8. 사원채용관련 평정표 모델-452
Ⅱ-2 근로계약의 기본원칙과 해약 463
1. 기본원리-464 2. 근로관계의 성립-465 4. 근로계약과 준수 의무-469 5. 근로조건의 명시-471 6. 미성년자의 근로계약 체결(67조)-475 7. 친권자의 대리권의 행사의 금지-476
8. 단기근로계약-477 9. 근로계약의 해약-484 10. 근로조건의 위반과 근로계약의 해약-489 11. 위약예정의 금지-490
Ⅱ-3 기간제(비정규직) 및 단시간근로자의 근로계약 492
1. 용어의 정의-493 2. 적용범위-493
3. 기간제근로자의 사용(제4조)-494 4. 단시간근로자의 초과근 로제한(제6조)-496 5. 통상근로자로의 전환 노력(제7조)-497
6. 차별적 처우의 금지(제8조)-497 7. 차별적 처우의 시정신청 (제9조)-499 8. 조사?심문(제10조)-50 09. 조정?중재 (제11 조)-501 10. 시정명령(제12조)-502 11. 조정?중재 또는 시 정명령 의 내용(제13조)-502 12. 시정명령 등의 확정(제14조)-502 13. 시정 명령 이행상황의 제출요구 등(제15조)-503 14. 불리한 처우의 금지(제16조)-503 15. 근로조건의 명시(제17조)-504 16. 감독 기관에 대한 통고(제18조)-505 17. 벌칙-505 18. 과태료-506
19. 부칙-506 20.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 내용
Ⅱ-4 해고의 정당성과 제한 528
1. 해고의 개념과 정당성-528 2. 해고의 제한 536
Ⅱ-5 해고회피를 위한 전략적 고용조정 543
1. 정리해고의 기본조건-543 2. 해고예고-563
3. 부당해고의 구제-570
Ⅱ-6 취업규칙의 작성과 신고 576
1. 취업규칙의 의의와 작성 576
Ⅱ-7 근로시간의 제한과 보호 587
1. 근로시간의 기준-588 2. 현행근로시간과 개정근로시간-592
3. 시간외근로-594 4. 연소자의 시간외 근로(71조)-602 5. 휴일 근로 의의-603 6. 야간근로-606 7. 연장, 야간, 휴일근로가 중 복된 경우-606 8. 단시간근로-613 9. 탄력적근로시간(변형근 로시간)-618 10. 재량근로시간제-624 11. 선택적 근로시간제 -627 12. 휴게시간-631
Ⅱ-8 휴일(주휴일)의 의의와 대체근로 635
1. 휴일(주휴)의 의의-635
제3장 임금관리
Ⅲ-1 기업경영과 임금과의 관계 644
1. 기업경영과 임금-645 2. 임금격차-651 3.임금과 생계비-653
4. 노동배분과 임금인상-655 5. 지불능력의 측정-660 6. 총액 인건비와 변동비-666
Ⅲ-2 임금체계와 임금표의 설계 670
1. 임금의 개념과 임금관리-670 2. 임금형태와 임금체계-674
4. 전략실현형 보수제도-684
Ⅲ-3 급여표의 설계 690
1. 임금체계의 설계-690 2. 기본급과 결정기준-696
3. 기본급모델의 설계-698 4. 임금제도의 전략시스템-701
Ⅲ-4 업적평가에 의한 임금제도 715
1. 업적평가와 보상-715 2. 업적제도에 있어서의 임금-725
3. 영업책임제도와 임금-727
Ⅲ-5 임금피크제의 도입과 운영 735
1. 임금피크제도입배경-735 2. 임금피크제의 도입과 운영-738
3. 임금피크제 도입 사례-749
Ⅲ-6 연봉제의 도입과 운영 766
1. 연봉제의 의의-767 2. 연봉제도입의 목적-76 3. 연봉제도입 의 기본방향-771 4. 연봉제의 성격-775 5. 연봉제의 유형-777
6. 연봉제도입의 검토-779 7. 연봉제도입절차-783 8. 연봉제도 입의 전제 조건-785 9. 연봉제도입의 진행-786 10. 연봉제의 구조-790 11. 연봉제의 설계-793 12. 직무.직능연봉제의 설계
-801 13. 업적평가와 연봉액의 결정-804 14. 연봉제와 인사고 과 807 15. 연봉제와 법률관계-808
Ⅲ-7 임금의 법적인 성격 824
1. 임금의 정의-824 2. 임금의 법적성질-825
Ⅲ-8 임금의 성립요건과 판단 827
1. 임금여부의 판단문제-827 2.임금이 성립하기 위한 요건-828
3. 임금의 판단-830 4. 임금의 범위-831
Ⅲ-9 통상임금의 의의와 판단기준 833
1. 통상임금의 의의-833 2. 통상임금의 판단기준-835
3. 통상임금의 범위(예시)-836 4. 통상임금의 산정기준-838
Ⅲ-10 평균임금의 정의와 계산방법 841
1. 평균임금의 정의-841 2. 평균임금의 지급사유-842 3. 근로자 에게 지급된 임금총액과 평균임금의 계산-842 6. 평균임금의 조정-845
Ⅲ-11 근로자 임금지불의 보호 846
1. 임금지급의 5원칙-846 2. 미성년자의 임금청구권(68조)-850
3. 금품청산-852 4. 임금채권의 우선변제-855 5. 위약예정의 금지-860 6. 전차금상쇄의 금지-863 7. 강제저축의 금지-865
8. 도급사업의 임금지급-866 9. 임금의 비상시지불-868 10. 휴 업수당의 지불-869 11. 감급재제의 제한-874
Ⅲ-12 근로자 임금 보장 제도 877
1. 최저임금제도-878 2. 임금채권보장제도-884
Ⅲ-13 퇴직급여제도의 운영 887
1.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888 2. 적용범위(법제3조)-889 3. 퇴직급여제도의 설정(제4조)-893 4. 퇴직금차등제도 설정의 금 지(제4조제2항)-899 5. 퇴직급여제도의 설정 및 변경의 절차 -900 6. 퇴직급여제도의 미설정의 경우(제5조)-902 7. 퇴직금 제도의 설정(제8조)-902 8. 퇴직금중간정산제도-912 9. 퇴직금 의 지급(제9조)-916 10. 퇴직금 산정의 방법-918 11. 퇴직금의 우선변제(제11조)-923 12. 퇴직연금제도-925 13.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제13조)-929 14. 퇴직금의 시효-931
Ⅲ-14 상여금제도의 설계와 운영 934
1. 상여금의 개념-934 2. 상여금의 종류-936 3. 상여금의 결정 방법-938 4. 상여금지급과 근로관계-940 5. 상여금 지급액의 결정-941
제4장 노사관계관리
Ⅳ-1 노사관계와 산업의 민주화 968
Ⅳ-2 노동조합의 설립과 운영 979
1. 노동조합의 조직형태-983 2. 노동조합의 내부조직-989 3. 노동조합의 횡단조직-995 4. 노동조합의 설립과 운영-999
Ⅳ-3 산업별 노동조합의 설립과 운영 1019
1. 우리나라 산업별 노동조합의 발전-1019 2. 산업별 노동조합 과 산업별 교섭의 의미-1021 3. 산업별 노동조합의 설립-1024
4. 산업별 노동조합의 운영-1026 5. 교섭방식에 관한 노사합의 -1027 6. 산업별 교섭의 주체-1028 7. 단체교섭의 절차-1029
8. 쟁의행위의 주체-1031 9. 쟁의행위의 목적 및 절차-1032
Ⅳ-4 공무원 노동조합의 설립과 운영 1033
1. 공무원 노조의 설립배경-1034 2. 입법추진 경위 -1035 3. 공 무원노동관계 규율법체계-1036 4. 단결권의 보장과 주요내용 -1037 5. 단체교섭권의 보장과 주요내용-1042 6. 노동조합 활 동의 보장과 한계-1048 7. 공무원노사관계의 분쟁해결-1051 8. 공무원노사관계 전망-1054 9.공무원노사의 바람직한 역할 정립
Ⅳ-5 민주주의 산업과 협력적 노사관계 1056
1. 민주주의의 노사관계와 근로자의 기본권-1058 2. 헌법상의 근로자의 기본권-1059 3. 노사의 대립과 협동-1060 4. 노동조 합의 원활한 운영과 경영의 합리화-1061 5. 단체교섭의 개념과 보장-1062 6. 단체교섭권의 한계-1063 7.단체교섭과 임금협상 -1065b8. 단체교섭의 정착화-1067 9. 단체교섭과 융통성-1069
Ⅳ-6 단체교섭에 있어서 교섭협상의 균형 1074
1. 노사분규의 유형별 원인-1075 2. 우리나라 노사교섭의 특징 -1076 3. 교섭의 개념과 구성요소-1077 4. 단체교섭과정의 결 정요인-1077 5. 의견교환과 분쟁방지-1081 6. 합리적 노사관계 정립의 기본방향-1082 7. 사용자와 노동조합간 교섭력의 균형 -1083 8. 근로자 경영참여 확대-1084 9. 유연한 고용관리의 변 화-1085 10. 노동위원회의 공정성?전문성 제고-1088 11. 협상 (negotiation)의 의의와 구성-1089 12. 협상의 구성요소-1090
13. 협상전략의 유형-1090
Ⅳ-7 단체교섭의 전개와 기법 1094
1. 단체교섭의 교섭준비-1096 2. 교섭요구안의 작성과 제출 -1107 3. 타결교섭의 기법-1114 4. 타결교섭의 마무리-1123
5. 단체교섭의 전개-1125 6. 단체교섭의 주체와 권한 자-1125
7. 단체교섭의 대상-1130 8. 단체교섭 과정-1134 9. 성실교섭의 무의 법적근거-1140 10. 단체교섭의 성실의무-1141 11. 성실교 섭여부의 판단기준-1147
Ⅳ-8 단체교섭에 있어서 임금협상 1153
1. 임금협상전략의 의미와 방법-1153 2. 교섭형태의 유형-1154
3. 임금협상의 노무관리적 측면 1155 4. 임금협상의 방향-1157
5. 생산적인 임금협상-1157 6. 임금교섭과 성과배분제도-1160
7. 임금교섭의 협상적?양보적 진행-1162 8. 임금교섭과정-1162
9. 임금교섭과 노사간의 신뢰-1163 10. 임금교섭과 생산성-1164
11. 노동조합의 손실-1165 12. 성과배분제-1166
Ⅳ-9 단체교섭권의 한계와 경영권 1169
1. 노동기본권 보장과 단체교섭-1171 2. 단체교섭권과 경영권 -1173 3. 단체교섭에서 취할 노사의 태도-1176 4. 경영관리?인 사권에 대한 단체교섭-1178 5. 외국의 경영참가권에 대한 법제 -1183 6. 국제노동기구 입장에서의 경영참가-1187 7. 민주화시 대의 단체협약(폴란드)-1192 8. 우리나라의 단체교섭과 경영참 가문제-1198 9. 독일에 있어서의 집단적 노사관계법-1209 10. 조정국면에서 사회적 요인의 어려운 역할-1218 11. 단체교섭을 통한 경영참가-1225 12. 태국의 단체교섭과 경영참가-1230
Ⅳ-10 단체협약의 법률적 효력 1237
1. 단체협약의 의의와 법적 성질-1238 2. 단체협약의 법적 성질 -1239 3. 법 수용가능성과 적용예-1242 4. 노동실무에서의 유 용성-1244 5. 서독에서의 단체협약의 법률과의 관계-1245 6. 근로계약관계를 규율하는 부분-125 07. 노동조직관계를 규율하 는 부분-1251 8. 단체적 자치를 규율하는 부분-1256
9. 단체협약의 기초적인 효력-1260
Ⅳ-11 부당노동행위의 유형과 성립 1262
1.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연혁과 법률적 위치-1263 2. 부당노동행 위제도의 법원리-1265 3.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입법취지와 유형 -1267 4. 해고와 불이익 취급-1269 5. 인사권의 남용과 조합운 영에 대한 지배?개입-1285 6. 노동력의 관리 남용과 조합운영 에 대한 지배?개입-1291 7. 지배?개입금지의 취지-1297
8. 지배?개입의 성립요건-1299
Ⅳ-12 부당노동행위구제의 의의와 방법 1306
1. 부당노동행위 구제의 의의-1306 2.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구 제방법-1307 3. 현행법상 구제방법의 특색-1308
4. 부당노동행위의 구제-1309
Ⅳ-13 쟁의행위의 정당성과 제한 1315
1. 노동쟁의행위의 의미와 정당성-1316 2. 쟁의행위의 정당한 목 적-1323 3. 사용자에 대한 고유의 요구를 결한 쟁의행위-1324
4. 경제적 목적의 쟁의행위-1325 5. 쟁의행위의 정당성과 한계 -1327 6. 위법쟁의행위와 불법행위의 책임-1339
7. 쟁의행위의 제한과 금지-1348
Ⅳ-14 직장폐쇄의 의미와 정당성 1361
1. 직장폐쇄의 의의와 민법과의 관계-1361 2. 대항적 직장폐쇄와 경제적 직장폐쇄-1362 3. 직장폐쇄는 선언만으로 가능 한가 -1363 4. 집단해고도 직장폐쇄의 선언으로 인정 되는가-1363
5. 부분적 직장폐쇄는 허용 되는가-1364 6. 부분쟁의에 대항하 는 데는-1364 7. 경영상의 이유로 하는 공장폐쇄와 직장폐쇄는 다른가-1365 8. 직장폐쇄의 정당성-1365
Ⅳ-15 노동분쟁의 의의와 조정제도 1370
1. 노사분쟁에 대하여-1371 2. 노동쟁의 조정제도에 대한 고찰 -1371 3. 노동쟁의의 조정제도-1373
제5장 보험관리
Ⅴ-1 산업재해보상보험상의 보험급여의 지급 1382
Ⅴ-2 고용보험법상 보험급여의 지급-1422
제6장 안전?보건관리
Ⅵ-1 산업안전보건관리의 조직체계와 운영 1468
Ⅵ-2 유해?위험예방조치와 유해물질의 제조금지 1499
Ⅵ-3 근로자의 보건관리 1545
Ⅵ-4 인간공학과 안전보건의 위험방지 1583
제7장 직업훈련과 교육연수
Ⅶ-1 근로자직업훈련?교육훈련의 촉진 1676
Ⅶ-2 교육?연수의 방향과 연수평가 1710
Ⅶ-3 교육연수의 기법 1776
10. 7×7(세븐클로스법) 1804
12. 인시던트프로세스(Incident Proses) 1809
13. 비즈니스게임(Business Game) 1811
14. 교육게임 1814
15. 피드백 기법 1817
16. 인 바스켓(in Basket) 1819
(1) 기법의 개요 / 1819 (2) 기법의 특색 / 1820
(3) 도입방법과 실시상의 포인트 / 1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