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84332997
· 쪽수 : 537쪽
· 출판일 : 2005-03-19
목차
- 서설
[1] 동물담 연구
1. 머리말
2. 동물담의 개념과 분류
3. 조선후기 동물담의 유형과 그 갈래
4. 맺음말 - 조선후기 동물담의 특성
[2] 의구설화 교재의 이해
1. 머리말
2. 오수의 개
3. 선산의 의로운 개
4. 맺음말
[3] <다람젼>에 대하여
1. 머리말
2. <서대주전>과의 비교
3. 사회의식
4. 문학적 가치
5. 맺음말
[4] <장끼전> 연구의 반성과 전망
1. 논의의 필요성
2. 시기별 개관>
3. 문제별 검토
4. 과제와 전말
[5] <서대주전>의 전승경로와 사회적 성격
1. 머리말
2.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3. <서대주전>의 전승경로
4. <서대주전>의 사회적 성격
5. 맺음말
[6] <토끼전>의 형성과 후대적 변모
1. 머리말
2. 근원설화의 변모와 판소리의 형성
3. 판소리 형성 후의 변모
4. 맺음말
[7] 적강형 <두껍전> 연구
1. 머리말
2. 이본의 서지사항 및 내용 검토
3. 적강형 <두껍전>과 설화 <두꺼비 신랑>의 관련 양상
4. 적강형 <두껍전>의 구조적 특징과 그 의미
5. 문체의 특징
6. 맺음말
[8] <까치전> 연구
1. 머리말
2. 줄거리 소개
3. 구성 고찰
4. 내용 고찰
5. 맺음말
[9] <황새결송>의 구조와 주제
1. 머리말
2. <황새결송>의 설화적 배경
3. 액자소설적 측면에서의 <황새결송>
4. 의인소설적 측면에서의 <황새결송>
5. 맺음말
[10] <와사옥안> 연구
1. 머리말
2. 서지적 개관
3. 작품의 구조 분석
4. 이두문의 고소설
5. 작가의식과 표현의 특징
6. 동물우화소설사적 의의
7. 맺음말
[11] 조선후기 향촌사회 변동과 우화소설
1. 접근의 시각
2. 작품분석을 위한 예비적 고찰
3. 조선후기 요호층의 성장과 그 삶의 형상
4. 맺음말
[12] <숙향전>에 나타난 거북(=용)의 보은사상
1. 머리말
2. <숙향전>에 나타난 거북의 보은설화
3. <숙향전>에 나타난 용의 보은설화
4. 맺음말
[13] <호질>의 본질과 '범' 상징의 문학적 효과
1. 머리말
2. <호질>의 내용 분석
3. 분석의 결과와 기존 연구와의 대비
4. '범' 상징의 설득적 효과
5. 맺음말
[14] 다산 잡문 연구
1. 머리말
2. 갈래상 특징과 구조적 성격
3. 의미 지향
4. 맺음말
[15] 동물에 의탁한 인간의 노예 근성 풍자
1. 머리말
2. 비루한 인간 속성 풍유
3. 자초한 족쇄 - 신, 이념
4. 맺음말
[16] 신선으로 되살아나는 희귀 곤충
1. 문명세상의 신선 이야기
2. 선화의 요건과 수련
3. 모순과악으로서의 속계
4. 등선의 의미
5. 더 다듬어져야 할 문장
[17] 누에 유래담에 관한 고찰
- 편집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