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컴퓨터공학 > 컴퓨터공학/전산학 개론
· ISBN : 9788985405775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00-07-05
목차
제1장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1.1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필요성
1.1.1 절차적 언어
1.1.2 객체지향 접근 방식
1.2 객체지향 언어의 특성
1.2.1 객체
1.2.2 클래스
1.2.3 계승
1.2.4 재활용성
1.2.5 다형성과 오버로딩
1.3 C와 C++
제2장 C++ 프로그램의 각 부분들
2.1 프로그램의 각 부분들
2.1.1 주석문(Comments)
2.1.2 함수
제3장 변수와 상수
3.1 변수
3.1.1 변수의 크기
3.2 상수
3.2.1 리터럴 상수
3.2.2 심볼릭 상수
3.2.3 열거형 상수
제4장 루프와 결정
4.1 관계 연산자
4.2 루프
4.2.1 for 루프
4.2.2 터보 C++ 디버깅 특성의 사용 방법
4.2.3 for 루프의 변형
4.2.4 while 루프
4.2.5 연산자 우선순위 : 산술 및 논리 연산자
4.2.6 do 루프
4.2.7 언제 어떤 루프를 사용할 것인가?
4.3 결정
4.3.1 if
4.3.2 if...else
4.3.3 swich 문
4.3.4 조건 연산자
4.4 논리 연산자
4.4.1 논리 AND 연산자
4.4.2 논리 OR 연산자
4.4.3 논리 NOT 연산자
4.5 우선 순위 요약
4.6 기타 제어문
4.6.1 break 문
4.6.2 continue 문
4.6.3 goto 문
제5장 함수
5.1 함수의 일반 형식
5.2 함수 인자
5.2.1 Call by value, Call by Reference
5.2.2 Call by Reference 생성
5.2.3 배열의 전달
5.2.4 main[]의 인자들(argc,argv)
5.3 return문
5.3.1 함수에서 리턴하기
5.3.2 값 리턴하기
5.3.3 비 정수 값을 리턴하는 함수
5.4 함수 원형
5.5 포인터 리턴하기
5.6 void형 함수
5.7 main()의 리턴
5.8 재귀적 함수
5.9 가변 매개변수 리스트 선언
5.9.1 함수 매개변수 선언의 어제와 오늘
5.10 구현 문제
5.10.1 매개변수와 범용 함수
5.10.2 효율성
제6장 객체 클래스
6.1 데이터 추상화와 클래스
6.1.1 데이터형
6.2 클래스 정의
6.2.1 공용인가, 개별인가?
6.3 클래스 객체
6.4 클래스 멤버 함수
6.5 클래스 생성자와 소멸자
6.5.1 생성자 선언하고 정의하기
6.5.2 생성자 사용하기
6.5.3 디폴트 생성자
6.5.4 암시적 디폴트 생성자
6.5.5 소멸자
6.6 인라인 메소드
6.7 Stock 클래스
6.8 const 멤버 함수
6.9 this 포인터
6.10 객체의 배열
6.11 추상적인 데이터형
제7장 클래스 사용하기
7.1 연산자 겹 지정
7.1.1 '+'연산자의 겹 지정
7.1.2 '<<'연산자의 겹 지정
7.1.3 겹 지정된 연산자의 겹 지정
7.2 프렌드 함수
7.2.1 프렌드 함수 정의
7.2.2 프렌드를 만들기
7.2.3 프렌드와 클래스 멤버 함수
7.2.4 Vector 클래스 정의
7.2.5 프렌드가 없는 방식
7.3 자동 형 변환
7.3.1 자동 변환과 클래스의 형 변환
7.3.2 변환 함수
7.3.3 형 변환의 자동 적용
7.3.4 변환과 프렌드
제8장 배열
8.1 배열(Array)의 사용
8.1.1 배열원소(Array Element)
8.1.2 배열을 초기화하기
8.1.3 변수 선언하기
8.1.4 객체의 배열
8.2 다차원 배열(Multidimensional Array)
8.2.1 다차원 배열을 초기화하기
8.3 포인터 배열(Array of Pointer)
8.3.1 자유기억 공간상의 배열 선언하기
8.3.2 포인터와 배열 이름
8.3.3 자유기억 공간상의 배열을 지우기
8.3.4 char 배열
8.3.5 strcpy() 와 strncpy()
제9장 포인터(pointer)
9.1 포인터(pointer)란?
9.1.1 포인터에 주소를 저장
9.1.2 포인터 이름
9.1.3 포인터 주소, 변수
9.1.4 포인터를 사용한 자료연산
9.1.5 주소 관찰
9.1.6 포인터 필요성
9.2 스택과 자유 기억공간(Free Store)
9.2.1 new
9.2.2 delete
9.2.3 메모리 누출(Memory Leak)
9.2.4 자유 기억장소에 객체 만들기
9.2.5 객체 delete
9.2.6 자료 멤버(Data Member)에 접근
9.2.7 자유 기억공간상의 멤버 자료
9.3 this 포인터
9.4 실종된 포인터(Stray or Dangling Pointer)
9.5 const 포인터
9.5.1 const 포인터와 const 멤버 함수
9.5.2 const this 포인터
제10장 연산자 중복
10.1 연산자 중복의 기초
10.2 이항 연산자 중복
10.3 관계와 논리 연산자의 중복
10.4 단항 연산자의 중복
10.5 프렌드 연산자 함수의 사용
10.6 치환 연산자
제11장 클래스 상속
11.1 파생 클래스(derived class)
11.1.1 공용 부분의 상속
11.1.2 보호 부분의 상속
11.2 클래스에서의 생성자,소멸자
11.2.1 베이스 클래스 생성자 인수 전달
11.3 가상 함수(virtual function)
11.4 다중 상속(multiple inheritance)
11.5 가상 베이스 클래스(virtual base class)
11.6 집합 응용 예
제12장 프렌드 함수
12.1 프렌드 함수
12.1.1 프렌드 함수의 선언
12.1.2 두 클래스의 프렌드
12.1.3 프렌드 클래스
12.2 생성자 함수와 소멸자 함수
12.2.1 생성자 함수
12.2.2 인수를 갖는 생성자 함수
12.2.3 생성자 함수 오버로드
12.2.4 소멸자 함수
12.2.5 생성자 기정값 인수 리스트의 사용
12.3 연산자 오버로드
12.3.1 클래스 연산자 정의
12.3.2 연산자 함수 정의
제13장 틀(Template)
13.1 틀 함수
13.1.1 틀 함수 정의
13.1.2 틀 함수 생성
13.1.3 틀 함수의 중복
13.2 틀 클래스
13.2.1 틀 클래스의 정의 및 생성
13.2.2 자료형이 아닌 인수
13.2.3 틀 클래스 멤버 함수의 중복
13.2.4 틀 클래스의 프렌드 선언
13.2.5 틀 클래스의 정적 멤버
13.2.6 틀 클래스의 상속
13.3 집합 응용 예
제14장 가상 함수
14.1 파생 클래스에 대한 포인터
14.2 가상 함수의 개요
14.3 가상 함수의 사용
14.4 다형성의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