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미술/디자인/사진
· ISBN : 9788986377477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13-07-13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머리말 _니컬러스 폭스 웨버
서론
I 색채의 연상――시각적 기억
II 색채 읽기와 구조
III 왜 안료나 물감 대신 색지인가
IV 1가지 색에는 여러 얼굴이 있다――색채의 상대성
V 더 밝은가, 더 어두운가――빛의 강도, 명도
VI 1가지 색이 2가지로 보인다――반전된 바탕색처럼 보인다
VII 2가지 다른 색이 같아 보인다――색의 감산(減算)
VIII 색은 왜 우리를 속이는가?――잔상, 동시대비
IX 종이로 색채 혼합하기――투명 착시
X 사실적 혼색――가산(加算)과 감산(減算)
XI 투명도와 공간 착시 / 색채 경계와 입체적 작용
XII 시각적 혼색――수정된 잔상
XIII 베촐트 효과
XIV 색채 간격과 변환
XV 또 다른 중간 혼색 연습――교차하는 색
XVI 색의 병치――조화――양
XVII 평면색과 공간색――2가지 자연적 효과
XVIII 자유 학습――상상을 향한 도전
XIX 거장들――색채 편성법
XX 베버-페히너 법칙――혼색의 측정
XXI 색의 온도에서 습도까지
XXII 진동하는 경계――강조되는 윤곽선
XXIII 동일한 빛의 강도――사라지는 경계
XXIV 색채 이론――색체계
XXV 색채 교육에 관하여――몇 가지 색채 용어
XXVI 참고문헌을 대신하여――내 최고의 협력자들
도판과 해설
옮긴이 후기
책속에서
크기가 똑같지만 명암이 서로 다른 3가지 빨간색 종이, 즉 밝은 빨강, 어두운 빨강, 그리고 거의 언제나 희귀한 두 빨강의 중간 혼색을 찾는다. 만약 빨강 중에서 구할 수 없다면, 또 다른 색 중에서 명암이나 색조가 밝은 것, 중간 것, 어두운 것을 준비한다. 이것들을 서로 인접하도록 놓는데, 왼쪽에 있는 밝은 빨강 위에 중간 빨강의 가장자리를 포갠다. 다음에는 어두운 빨강을 중간 빨강 위에 올려놓되 중간 빨강 중에서 좁은 띠(약 0.5센티미터 너비)만 보이도록 남겨둔다. 이제, 아주 천천히 어두운 빨간색 종이를 오른쪽으로 잡아당기면서, 중간 빨강의 좁은 띠가 점차 넓어지도록 한다. 중간 빨강을 주시하면, 이것이 점점 넓어질수록, 오른쪽 가장자리 부분은 점점 더 밝아지고, 동시에 왼쪽 가장자리 부분은 점점 더 어두워지면서, 1가지가 아닌 2가지 빨강처럼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것을 여러 번 반복해보면, 중간색이 두 부모색을 뒤바뀐 위치에서 표현하면서 양쪽의 역할을 동시에 한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다른 색을 가지고 이 체험을 반복하면, 정확한 중간 혼색에서는 두 부모색이 똑같은 양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2가지 색 중에서 양이 더 큰 1가지가 자신의 우세함을 드러낸다. 이런 연습은 흥미로울 뿐 아니라, 특히 서로 다른 색이라든가 보색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면 새로운 사실도 밝혀준다. 이 연습은 기본적인 잔상 현상인 동시대비가 모든 색채 속임수의 원인이라는 것을 다시금 일깨워준다.
물감, 그림, 색지 또는 우리 주변에서 빛의 강도(명도)가 동일한 경우를 찾기란 때로는 불가능한 일처럼 여겨질지도 모르지만, 우리는 자연이 이따금 파란 하늘에 뜬 뭉게구름을 통해 이것을 볼 기회를 선사해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구름은 수평으로 무리 지어 늘어서곤 하는데, 온전한 햇빛을 받는 윗부분에서는 눈부신 하양이 멀리 떨어진 진한 파랑과 확연히 구별되고, 밑부분은 그늘진 하양 같은 회색 톤으로 보인다. 이 그늘은 조금 전의, 그러나 여기서는 아주 가까운 파랑과 융합 또는 밀착된다. 왜 아주 가까운 것일까? 이 회색은 아래의 인접한 파랑과 빛의 강도가 똑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색과 파랑 사이의 경계선은 사라지고, 우리는 구름이 어디서 끝나고 하늘이 어디서 시작되는지 알 수 없게 된다. 이런 구름은 해를 등진 채 관찰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런 도발적이면서도 대단히 섬세한 색채 효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종이(예를 들면, 질감이 서로 다른 경우)와 몽타주(테두리가 눈에 띈다든가 풀 자국이 있는 경우)로 인해 발생하는 온갖 방해 효과를 신중하게 미리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빛의 강도가 동일한 2가지 종이를 상감(象嵌) 기법으로 부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는 종이들이 포개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내부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종이의 두께는 보이지 않으며, 몹시 방해가 되는 그림자까지――종이들의 두께가 동일하다면――제거된다. 이음매가 보이지 않도록 정확히 맞추기 위해, 상감되는 종이들을 동시에 한 번에 잘라서 모양을 만든다. 칼이 날카로울수록(극히 얇은 면도날이 가장 좋다), 종이가 얇을수록, 자를 때 대는 바닥이 딱딱할수록(유리가 좋다), 더욱 잘 맞추어지며 이음매가 덜 보이게 된다. 또한 풀이 스며들면서 이음매가 눈에 띄는 것도 막아야 한다. 여기서 종이를 선택할 때 인내가 필요하듯, 그 표현 역시 기교와 깔끔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