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자가용조종사
· ISBN : 9788987015620
· 쪽수 : 556쪽
· 출판일 : 2021-04-02
책 소개
목차
[제1장]
1.1 개 요
1.2 비행과 양력
1.2.1 베르누이 정리
1.2.2 에어포일의 정의
1.2.2 에어포일에 작용하는 힘
1.2.3 상대풍
1.2.4 받음각
1.2.5 고양력장치
1.2.6 날개평면
1.3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
1.3.1 양 력
1.3.2 항 력
1.3.4 추 력
1.3.5 무 게
1.4 날개끝 와류
1.5 지면효과
1.5.1 지면효과의 정의
1.5.2 유도항력의 감소
1.5.3 지면효과의 높이
1.6 비행기의 축
1.7 안정성
1.7.1 정적 안정성
1.7.2 동적 안정성
1.7.3 비행기의 안정성
1.8 선 회
1.8.1 선회의 힘
1.8.2 수평양력분력과 수직양력분력의 관계
1.8.3 선회율과 선회반경
1.8.4 역요
1.9 하중계수
1.9.1 하중계수의 정의
1.9.2 비행기 설계 하중계수
1.9.3 하중계수와 실속속도
1.10 상승의 힘
1.10.1 상승 힘의 벡터
1.10.2 상승 방법
1.11 강하의 힘
1.11.1 유동력 강하
1.11.2 무동력 강하
1.11.3 활공비
1.12 실 속
1.12.1 실속 원인
1.12.2 실속 발생 유형
1.12.3 날개설계와 실속
1.12.4 실속 인지
1.12.5 실속회복
1.12.6 실속속도
1.12.7 날개 기울움(윙드롭)
1.13 프로펠러
1.13.1 프로펠러의 구조
1.13.2 프로펠러 비틀림
1.13.3 고정 피치 프로펠러
1.13.4 단발 프로펠러 비행기의 특성
1.13.4 프로펠러의 기하 피치와 유효피치
1.14 단거리 이착륙 항공기
1.14.1 개 요
1.14.2 단거리 이착륙 항공기의 등장
[제2장]
2.1 개 요
2.2 기본 구조
2.3 엔 진
2.3.1 왕복엔진 구조
2.3.2 엔진 작동 주기
2.3.3 점화장치
2.3.4 동력조정 장치-스로틀
2.3.5 기화기
2.3.6 연료분사기
2.3.7 혼합조정기
2.3.8 연 소
2.3.9 연료 공급 방식
2.3.10 연료계통 구성품
2.3.11 연료 샘플
2.3.12 항공 가솔린
2.3.13 오일계통
2.3.14 전기계통
2.3.15 냉각 장치
2.4 비행 계기
2.4.1 피토-정압 계기
2.4.2 속도계
2.4.3 고도계
2.4.4 승강계
2.4.5 피토-정압 계기의 오차
2.4.6 자이로 계기
2.4.7 자세계
2.4.8 선회계
2.4.9 기수방위 지시계
2.4.10 나침반
2.5 전자비행계기
[제3장]
3.1 개 요
3.2 공항/비행장
3.2.1 관제 공항
3.2.2 비관제 공항
3.3 장주 패턴
3.3.1 장주 구간
3.3.2 비관제 공항에서 장주 확인
3.4 활주로와 유도로
3.5 지상운용
3.6 시각관찰과 회피
3.7 무선통신
3.7.1 관제기관의 구분
3.7.2 무선통신 기본
3.7.3 관제 공항과 비관제 공항
3.7.4 상황별 무선통신
3.7.5 장주권 무선통신 사례
3.7.6 비관제 공항
3.7.7 교통정보
3.8 항공 규정
3.8.1 항공기 범주와 등급
3.8.2 자격증 소지 의무
3.8.3 최근 비행경력
3.8.4 PIC 책임과 권한
3.8.5 물건 투하
3.8.6 알코올 및 약물
3.8.7 비행 전 점검 사항
3.8.8 비행 승무원 정위치
3.8.9 편대비행
3.8.10 진로권
3.8.11 최저안전고도
3.8.12 고도계 수정
3.8.13 VFR 예비 연료량
3.8.14 ATC 인가 및 지시 준수
3.8.15 NOTAM
3.8.16 VFR 순항고도
3.8.17 VFR 기상 최저치
3.8.18 곡예비행
3.8.19 항공기 증명서 및 서류
3.8.20 항공기 감항증명
3.8.21 감항지시
3.8.22 하중계수 범주
3.8.23 정비 책임
3.8.24 항공기 검사
3.8.25 고도계 및 트랜스폰더
3.8.26 정비 기록
3.8.27 예방 정비
3.8.28 부품 교환 후 시험비행
[제4장]
4.1 개 요
4.2 항공도
4.3 공 역
4.4 항 법
4.4.1 지문항법
4.4.2 추측항법
4.4.3 비행계획서
4.5 긴급착륙과 항로이탈
4.5.1 긴급착륙전환
4.5.2 항로 상실
4.6 성 능
4.6.1 항공기 성능 영향 요소
4.6.2 무게와 균형
[제5장]
5.1 개 요
5.1.1 항공기 성능 영향 요소
5.1.2 무게와 균형
[제6장]
6.1 개 요
6.2 태 양
6.3 대 기
6.3.1 대기의 순환
6.3.2 대기압
6.3.3 기압 변화
6.3.4 일기도
6.4 바 람
6.4.1 바람 원인
6.4.2 지상풍
6.4.3 국지풍
6.5 기 온
6.5.1 기온 변화 요인
6.5.2 기온역전
6.6 습 도
6.6.1 상대습도와 노점기온
6.6.2 수증기의 상태 변화
6.6.3 응축 핵
6.6.4 이슬과 서리
6.7 강 수
6.7.1 강수의 형성
6.7.2 강수의 구분
6.7.3 액체 강수(비)
6.7.4 언 강수
6.7.5 수막현상
6.8 기단과 전선
6.8.1 기 단
6.8.2 기단 변질
6.8.3 전 선
6.9 구 름
6.9.1 대기 안정과 구름
6.9.2 구름 종류
6.9.3 구름 관측
6.10 난기류
6.10.1 난기류의 원인
6.10.2 윈드시어
6.11 뇌 우
6.11.1 뇌우의 원인
6.11.2 뇌우의 발생과 소멸 과정
6.12 착 빙
6.12.1 구조적 착빙
6.12.2 착빙의 종류
6.13 안 개
6.13.1 안개의 종류
6.13.2 기타 시정 장애물
6.14 항공기상보고
6.14.1 정기항공기상보고(METAR)
6.14.2 공항예보(TAF)
6.14.3 조종사보고(PIREP)
6.14.4 기상도 부호
[제7장]
7.1 개 요
7.2 비행과 건강
7.3 비행과 신체 기능
7.4 착각
7.4.1 착 시
7.4.2 비행착각
7.5 비행난기류
7.6 잠재적 비행위험
7.6.1 항공기 사고의 주요 원인
7.6.2 새떼 및 야생동물 충돌
7.6.3 인공 및 자연 장애물
7.6.4 산악비행
7.6.5 수상 비행기 안전
7.6.7 곡예비행
7.6.8 공중충돌 예방절차
7.7 비상절차
7.7.1 기장의 책임과 권한
7.7.2 비상위치발신기
7.7.3 수색 및 구조
7.7.4 재난과 긴급통신
7.7.5 비상 조력 절차
7.7.6 항공기 사고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