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증거바탕 임상 치주과학

증거바탕 임상 치주과학

허익 (지은이)
명문출판사
16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5,000원 -0% 0원
8,250원
156,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증거바탕 임상 치주과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증거바탕 임상 치주과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치과학 > 치주과
· ISBN : 9788987037837
· 쪽수 : 589쪽
· 출판일 : 2009-09-15

목차

Chap 1 치주 치료 - 치주낭 깊이부터 측정하자!

I 증거-바탕 치의학 14

증거-바탕 치주과학이란? 14 / 연구 방법 15 / 임상적 타당성(Clinical relevance) 16

통계의 허와 실 16 / 메타 분석(meta-analysis) 17 / The Cochrane Collaboration 17 / 특정 수술 방법이 증거-바탕 프로토콜이 되려면 18

II 치주낭 19

병리학적 발생 기전 19 / 치주낭의 진단 20

III 치주 치료의 목적 및 치근활택술의 개념 변화 20

치주 치료의 목적 21 / 치료법에 따른 치유 양상 21 / 비외과적 치주 치료에 대한 장기간 연구 22 / 치근활택술의 개념 변화·25 / 치근활택술에 대한 견해·32

Ⅳ. 치주과에서 사용되는 음파 및 초음파 스케일러·33
전동식과 수동식 스케일러의 비교·35 / 개업의도 쉽게 할 수 있는 날세우기 방법·36
※ True endpoint와 Surrogate endpoint에 따른 치료 방법의 차이·37

Ⅴ. 임상 증례·38

Ⅵ. 참고 문헌·52


Chap 2 봉합사 및 봉합법·55
I. 봉합사, 봉합법·56
봉합의 목적·56 / 봉합사의 종류 및 특징·56 / 피복 (Coating)·59 / 봉합침 (Needle)의 절단면·61 / 지침기 (Needle holder) 선택 시 고려 사항·62 / 매듭 고정 방법·62 / 봉합 장력이 연조직 열상에 미치는 영향·64 / 발사의 원칙·65 / 구강내 고정 봉합·65 / 누상 봉합·66
II. 임상 증례·74

III. 참고 문헌·85


Chap 3 치주 질환의 원인균, 치주염의 분류 및 사용 약제·87
I. 치주 질환과 연관된 미생물·88
치주 원인균·88 / 치은 연하 세균총의 분류·89 / 원인균의 특징·89 / 치주 미생물학의 시대별 변천·91 / 파괴성 치주 질환의 발생 기전·91

II. 치주염의 분류·92
치주염 분류의 필요성·92 / 치주염의 분류·92 / 만성 치주염의 임상 특징·93 / 급진성 치주염의 임상 특징·93

III. 치주 임상에서 사용되는 약제·94
항생제·94 / 소독제·97 / 항염증제·98 / 항생제의 전신 투여·99 / 국소약물송달·101 / 저항생용량 독시싸이클린 (Subantimicrobial Dose Doxycycline)·103

Ⅳ. 참고 문헌·106


Chap 4 기본 치주 외과 술식·109
I. 기본 치주 수술법·110
치주 수술의 쉬운 분류·110 / 치주 판막의 분류·111 / 삭제형 또는 재생형 수술의 선택 기준·111 / 심미적 고려 사항·112 / 절개·115 / 치주낭 조정 수술 (Pocket correction surgery) 및 치주낭 제거 수술 (Pocket elimination surgery)·116 / 치주 판막 거상·121 / 결손부 처리·124 / 치주 판막의 봉합·125 / 치조골절제술·130 / 치은절제술·134

II. 냉요법 (Cold therapy)·135

III. 임상 증례·140

Ⅳ. 참고 문헌·168


Chap 5 치주 영역에서의 골이식술·171
I. 골이식술에 대한 개론·172
용어 정의·172 / 목적·174 / 골 이식재 선택 시 결정 요소·175

II. 어떤 골 이식재를 선택할까? ·175
구강내 자가골·176 / 동결건조 동종골·176 / 탈회동결건조 동종골·177 / 탈단백 우골·181 / 합성골·182

III. 골이식술의 일반적 시술 순서·187

Ⅳ. 임상 증례·195

Ⅴ. 참고 문헌·211



Chap 6 조직유도재생술·215
I. 치주치료의 목적·216
치주 치료의 목표·216 / 치유 양상·216 / 이상적 치유 양상·217

II. 조직유도재생술·218
정의·218 / 골재생양과의 상관관계·218 / 조직유도재생술의 치유형태·219 / 차폐막의 기능·220 / 차폐막의 요구 조건·221 / 차폐막의 분류·221 / 여러 가지 차폐막의 장단점·222 / 어떤 차폐막을 선택?·229 / 임상 적용·229

III. 조직유도재생술의 시술 순서·230
요구조건·231 / 이상적 결손·231 / 시술 순서에 따른 중요사항·231 / 골 이식재의 사용 여부·233 | 창상 인장력·236 / 차폐막의 유지 기간·237 / 합병증·237 / 조직유도재생술에 대한 체계적 검토 및 장기간의 연구·237 / 치주조직유도재생술의 임상 적용에 대한 견해·238

Ⅳ. 임상 증례·240

Ⅴ. 참고 문헌·260


Chap 7 치주 성형 수술·263
I. 정의 및 의미·264
치주성형술이란?·264 / 변연조직 퇴축의 분류·265 / 부착치은이란?·267 / 치은점막경계부는 어디에?·268 / 부착치은의 의미·269 / 치은퇴축의 합병증·270
※ Prichard’s technique (Intrabony defect therapy)·272

II. 유리치은이식술·273
목적 및 적응증·273 / 수용부, 공여부 준비 시 고려사항·274 / 골막 수용부 또는 골 수용부?·275 / 중간 지역·276 / 이식편 채취·276 / 이식편 두께·277 / 이상적 두께·278 / 대구개신경혈관삭에 대한 고려사항·280 / 수술 순서 모식도·282 / 수술 후 주의 사항·287 / 대체 재료·288

III. 치근 피개 수술법·289
임상적 백악법랑경계·289 / 유리치은이식술을 이용한 치근피개술·290 / 여러 가지 봉합법·291 / 치근 평평화·292 / 포복부착·295 / 경사변위판막술·296 / 상피하 결합조직이식술·298 / 낭술식 (Envelope technique)·302 / 반월형 치관변위판막술·303 / 유경하 결합조직이식술·304 / 치근피개술에 대한 의견·305 / 조직 특이성·305

Ⅳ. 임상 증례·306

Ⅴ. 참고 문헌·373


Chap 8 심미 보철을 위한 연조직 또는 골 이식재를 이용한 치조제증대술·377
I. 치조제보존술·378
정의·378 / Bio-Col 발치와보존술 (Bio-Col socket preservation technique)·378

II. 치조제증대술·379
잔존 치조제 변형 (Deformity)의 분류·379 / 연조직증대술의 한계·380 / 치조제증대술의 분류·380

III. 술식의 모식도 및 이해·381
낭술식·381 / 롤술식·382 / 변형 롤술식·383 / 개제이식술·384 / 온레이술식·385 / 온레이-개제복합술식·386 / 골이식술에 의한 치조제증대술·387 / 저자의 골이식 재료의 추천 서열·388 / 연조직의 과대 풍융 및 재수술 시기·388

Ⅳ. 임상 증례·389

Ⅴ. 참고 문헌·437


Chap 9 치주-보철-심미 복합 치료·439
I. 외과적 치관연장술·440
여러 가지 임상 치관연장술·440 / 적응증, 금기증, 고려 사항·440 / 외과적 치관연장술은 얼마나 하여야 하나?·442

II. 생물학적 폭경·443
치조정 연상 치은조직 (Supracrestal gingival tissue)·443 / 이개부에서 임계 거리·445 / 수복물의 변연부 형성·448 / 각화치은의 폭·448

III. 교정적 및 외과적 정출술·449
저속 정출·449 / 급속 정출·449 / 외과적 정출술·449

Ⅳ. 치주-심미 복합 치료·450
미소선·450 / 미소선의 중요 구성 요소·451 / 입술선의 분류·451 / 치은 과노출 미소 (Gummy smile)의 원인·451 / 변형 수동 맹출 (Altered passive eruption)의 정의, 분류, 치료법·451 / 생체형이 심미를 위한 치관연장술에 미치는 영향·453 / 생체형의 분류·453 / 생체형의 임상적 감별법·454

Ⅴ. 임상 증례·456

Ⅵ. 참고 문헌·505


Chap 10 보조 치주 치료 및 치태 조절·507
I. 보조 치주 치료 (Supportive Periodontal Treatment)·508
보조 치주 치료의 목적 및 시작·508 / 치과 임프란트 시술 환자 재내원 시의 평가·509 / 보조 치주 치료 동안 임프란트 환자의 재치료 순서·510 / 보조 치주 치료의 적절한 빈도는?·511 / 순응 (Compliance)이란?·511

II. 치태 조절 (Plaque Control)·512
치태 조절의 중요성·512 / 칫솔질 빈도와 연관된 고전적 임상 연구·513 / 칫솔질의 적당한 빈도·514 / 칫솔 선택, 강모의 밀도 및 경도·516 / 칫솔질 강도 (Brushing force)·517 / 칫솔의 일반적 추천 (미국치과의사협회 추천 칫솔)·518 / 원추형 (Tapered) 강모를 가진 칫솔의 청소 효과·518 / 전동 칫솔 (Electric toothbrushes)의 적응증·519 / 칫솔 교환 평균 시기·521 / 치약 사용의 목적·521 / 칫솔질 방법·523 / 쉽게 칫솔질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525 / 치간 청결 보조 기구·527 / 치은 마사지 (Gingival massage)의 효과·529 / 얼마나 자주, 언제 칫솔질을 할 것인가?·531 / 화학적 치태 조절 (Chemical Plaque Control)·531
※ 임프란트 환자의 치태 조절·532

III. 구강 세척 (Oral Irrigation)·532
분류·532 / 치은 연상 세정을 위한 구강 세척기 (Oral irrigators)·533 / 자가 세정이 필요한 환자·534 / 약제의 치주낭내 침투·534

Ⅳ. 임상 증례·536

Ⅴ. 참고 문헌 ·541


Chap 11 유지할까 발치 후 임프란트 할까?·545
I. 예후 (Prognosis)·546
예후의 정의·547 / 예후 판단·548 / 개개 치아와 전체 치열의 예후·548 / 여러 가지 치주 예후 판단 체계·548 / 치아 발거의 판단 기준·552

II. 위험 평가 (Risk Assessment)·556
위험 요소 (Risk Factors)·556 / 위험 결정 인자 (Risk Determinants)·556 / 혼돈 요인 (Confounder)·557 / 위험 지시 인자 (Risk Indicators)·557 / 위험 예측 인자 (Risk Predictors)·558 / 치주 질환의 위험 인자의 분류·559

III. 치료의 성공률 및 치료 계획의 결정·560
치주 치료의 성공률·560 / 근관 치료의 성공률·560 / 치아 및 임프란트의 수명은?·561 / 보철 치료의 성공률·561 / 의사 결정 요소·562

Ⅳ. 임상 증례·563

Ⅴ. 참고 문헌·568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