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희곡론/비평론
· ISBN : 9788988408445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0-07-22
목차
제1부 문학, 지역학, 한국학 . . . . . . . . . . . 11
1 한국학과 글로벌 학제 . . . . . . . . . . . 13
1. 학제의 기원 . . . . . . . . . . . 13
2. 현황 및 쟁점 . . . . . . . . . . . 15
3. 학문의 제도화, 제도화된 학문 . . . . . . . . . . . 18
4. 문학장의 경우 . . . . . . . . . . . 21
5. 과제와 전망 . . . . . . . . . . . 26
2 문학담론과 시대지평 . . . . . . . . . . . 31
1. 공간의 귀환 . . . . . . . . . . . 31
2. 공간, 지역문학, 경계사유 . . . . . . . . . . . 32
3. 문학사회학과 로컬 히스토리 . . . . . . . . . . . 34
4. 근공간 너머, 정체성과 트랜스로컬리티 . . . . . . . . . . . 50
3 현대시와 미적 공준 . . . . . . . . . . . 53
1. 미적 공준이라는 정설 . . . . . . . . . . . 53
2. 김동명 시, 정전 혹은 모순 . . . . . . . . . . . 54
3. 지역적 전유 양상과 과제 . . . . . . . . . . . 60
4. 헤테로토피아 또는 로컬리티 . . . . . . . . . . . 64
5. 공준의 운명 . . . . . . . . . . . 73
4 지역학으로서의 삼척문학 . . . . . . . . . . . 75
1. 지역과 문학 . . . . . . . . . . . 75
2. 삼척권 문학의 전사 . . . . . . . . . . . 77
3. 쟁점, 《두타문학》의 경우 . . . . . . . . . . . 80
4. 지역학 범주로서 문학의 전망 . . . . . . . . . . . 87
5 부재 너머의 장소 . . . . . . . . . . . 91
1. 부재의 장소 . . . . . . . . . . . 91
2. 희망의 거점 . . . . . . . . . . . 93
3. 트랜스로컬리티의 지평 . . . . . . . . . . . 99
4. 궁극의 자연, 대지의 상상력 . . . . . . . . . . . 103
5. 생성을 향하여 . . . . . . . . . . . 111
6 〈최생우진기〉의 장소성 전유 . . . . . . . . . . . 115
1. 〈최생우진기〉에 관한 입장 . . . . . . . . . . . 115
2. 발생론적 전제와 구조적 특질 . . . . . . . . . . . 119
3. 장소 전유의 양상 . . . . . . . . . . . 125
4. 지역학으로서의 고소설 . . . . . . . . . . . 131
제2부 강원 문학의 편린과 역설 . . . . . . . . . . . 133
7 김동명 시, 강릉, 로컬리티 . . . . . . . . . . . 135
1. 고향이라는 원형 . . . . . . . . . . . 135
2. 《개벽》과 등단 무렵 . . . . . . . . . . . 137
3. ‘고향’ 편의 로컬리티 . . . . . . . . . . . 144
4. 김동명 시의 현재성 . . . . . . . . . . . 149
8 심연수 육필정본의 현재성 . . . . . . . . . . . 153
1. 현황과 쟁점 . . . . . . . . . . . 153
2. 정본의 부재, 육필의 운명 . . . . . . . . . . . 154
3. 오족협화 혹은 대지모신 . . . . . . . . . . . 157
4. 심연수 문학의 현재성 . . . . . . . . . . . 164
9 신봉승 시와 역사적 상상력 . . . . . . . . . . . 167
1. 문학과 장소 . . . . . . . . . . . 167
2. 기억과 정전 . . . . . . . . . . . 170
3. 장소성의 길항 . . . . . . . . . . . 178
4. 역사적 상상력과 그 이면 . . . . . . . . . . . 183
5. 완결과 결여 . . . . . . . . . . . 189
10 최호길·최명길의 생태지평 . . . . . . . . . . . 193
1. 형제의 운명 . . . . . . . . . . . 193
2. 고향과 가족 공동체 . . . . . . . . . . . 196
3. 장소성과 생태학적 지평 . . . . . . . . . . . 208
4. 지역 문학사적 의미 . . . . . . . . . . . 214
11 강원권 문학운동의 현 단계 . . . . . . . . . . . 217
1. 운동의 시대 . . . . . . . . . . . 217
2. 《강원작가》의 창간과 출사표 . . . . . . . . . . . 218
3. 매체적 양상 . . . . . . . . . . . 221
4. 텍스트와 쟁점 . . . . . . . . . . . 224
5. 결론 및 제언 . . . . . . . . . . . 229
12 바다와 열차의 모더니티 . . . . . . . . . . . 233
1. 계몽의 표상 . . . . . . . . . . . 233
2. 현 단계 해양문학과 강릉권의 전범 . . . . . . . . . . . 235
3. 바다와 열차, ‘강릉’이라는 장소 . . . . . . . . . . . 246
4. 고속철 혹은 신생의 기제 . . . . . . . . . . . 250
출처 . . . . . . . . . . .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