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한자 > 한자일반
· ISBN : 9788988455050
· 쪽수 : 884쪽
· 출판일 : 2008-03-01
목차
책머리에
천자문이 만들어진 바른 유래
천자문이 거짓내용으로 바뀐 까닭
꼭 알아야만 할 것들
일본의 글자가 생긴 유래와 그 경위
애닲다 백제여,
어처구니없는 이야기
제1장 天地玄黃 : 주흥사가 이해하고 있던 우주와 천체
제2장 寒來暑往 : 세월의 흐름과 그 구성요건
제3장 雲騰致雨 : 물의 순환법칙과 소중함
제4장 玉出崑岡 : 출신성분을 탓하지 말고 노력하라
제5장 果珍李柰 : 사람을 업신여기지 마라
제6장 海鹹河淡 : 능력을 기르고 경거망동하지 마라
제7장 龍師火帝 : 지도층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격
제8장 始制文字 : 처음 시작하는 일들은 엉성하기 마련
제9장 推位讓國 : 오만한 마음을 버리고 푼수에 맞게 처신하라
제10장 弔民伐罪 : 국민을 위한, 국민에 의한, 국민의 정치
제11장 鳴鳳在樹 : 백성을 무시하여 함부로 하지 마라
제12장 蓋此身髮 : 사람이라면 마땅히 해야할 도리
제13장 女慕貞烈 : 남녀가 마땅히 가져야 할 마음
제14장 得能莫忘 : 능력자가 가져야할 마음가짐
제15장 墨悲絲染 : 사리에 따라 합리적으로 가려 행하라
제16장 空谷傳聲 : 마음이 넓고 큰 사람과 옹졸한 사람
제17장 尺璧非寶 : 시간을 다투어 자신을 다듬어라
제18장 資父事君 : 사람이라면 마땅히 해야할 기본도리
제19장 榮業所基 : 국민의 바램에 따라 정치하라
제20장 學優登仕 : 공직자의 바른 몸가짐
제21장 夫唱婦隨 : 마땅히 할 바를 배워 익혀라
제22장 諸姑伯叔 : 피붙이의 짜임새
제23장 交友投分 : 친구간의 지켜야 할 의리와 우애
제24장 節義廉退 : 공직자가 지켜야만 할 윤리
제25장 性靜情逸 : 옳은 일에 뜻을 세우고 반드시 따르라
제26장 都邑華夏 : 양(梁)나라 도읍의 참 꼴
제27장 宮殿盤鬱 : 양(梁)나라 궁전의 꾸밈새
제28장 丙舍傍啓 : 양(梁)나라 조정의 위세
제29장 右通廣內 : 양(梁)나라 궁궐의 구조와 행정구조
제30장 府羅將相 : 양(梁)나라를 꾸려가던 꼴
제31장 磻溪伊尹 : 양(梁)나라의 행정제도와 태평성대
제32장 晋楚更? : 중국 여러 나라의 흥망성쇠(興亡盛衰)
제33장 用軍最精 : 용병술(用兵術)
제34장 九州禹跡 : 진(秦)나라의 미련한 짓을 꼬집음
제35장 嶽宗恒岱 : 인생무상(人生無常)
제36장 昆池碣石 : 모든 일을 끈기 있게 하라
제37장 治本於農 : 주흥사가 마음에 그렸던 영농정책(營農政策)
제38장 史魚秉直 : 사기(史記)의 중요성
제39장 寵增抗極 : 원만한 대인관계(對人關係)
제40장 索居閑處 : 주흥사가 귀양살이하던 실태
제41장 妾御績紡 : 첩(妾)의 신분과 해야 할 일
제42장 祭祀蒸嘗 : 제사(祭祀)하는 시간과 방법
제43장 ?牒簡要 : 공문서를 다루는 요령
제44장 骸垢想浴 : 경우와 사리에 맞게 처신하라
제45장 誅斬賊盜 : 역적과 도둑은 엄히 처벌하라
제46장 布射遼丸 : 작은 재주를 믿고 까불지 마라
제47장 釋紛利俗 : 풍속(風俗)
제48장 年矢每催 : 시간을 아껴 쓰고 불의(不義)를 멀리하라
제49장 指薪修祐 : 귀양살이에 지친 주흥사의 마음
제50장 謂語助者 : 돕는 말무리
▣ 천자문 정역 모음
▣ 천자문 글자들의 쓰임새
▣ 천자문 글자들의 쓰임새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