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자 어휘의 연원

한자 어휘의 연원

김창환 (지은이)
한모임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자 어휘의 연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자 어휘의 연원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한자 > 한자일반
· ISBN : 9788991217768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0-10-28

목차

머리말 iii

목차 v

⊡ 가 1
▯ 각주구검(刻舟求劍) 3
▯ 간성(干城) 4
▯ 강거목장(綱舉目張) 4
▯ 개종명의(開宗明義) 5
▯ 개현경장(改弦更張) 5
▯ 갱상일층루(更上一層樓) 6
▯ 거안제미(舉案齊眉) 6
▯ 거일반삼(擧一反三) 7
▯ 걸견폐요(桀犬吠堯) 7
▯ 검려지기(黔驢之技) 8
▯ 격물치지(格物致知) 9
▯ 견위수명(見危授命) 9
▯ 견이사천(見異思遷) 10
▯ 견인견지(見仁見智) 10
▯ 결발(結髮) 11
▯ 결초보은(結草報恩) 11
▯ 경국(傾國) 12
▯ 경원(敬遠) 13
▯ 경죽난서(罄竹難書) 13
▯ 경화수월(鏡花水月) 14
▯ 계구우후(鷄口牛後) 14
▯ 계륵(雞肋) 15
▯ 고분(鼓盆) 15
▯ 고산경행(高山景行) 16
▯ 고애자(孤哀子) 16
▯ 고장난명(孤掌難鳴) 17
▯ 고희(古稀) 17
▯ 곡돌사신(曲突徙薪) 18
▯ 공곡족음(空谷足音) 18
▯ 공방형(孔方兄) 19
▯ 공혈래풍(空穴來風) 19
▯ 공휴일궤(功虧一簣) 20
▯ 과대(瓜代) 20
▯ 과문불입(過門不入) 21
▯ 과보추일(夸父追日) 21
▯ 과유불급(過猶不及) 22
▯ 관중규표(管中窺豹) 23
▯ 괄목상대(刮目相待) 23
▯ 괘관(挂冠) 23
▯ 교주고슬(膠柱鼓瑟) 24
▯ 교천(喬遷) 25
▯ 교학상장(教學相長) 25
▯ 구두선(口頭禪) 26
▯ 구밀복검(口蜜腹劍) 26
▯ 구시심비(口是心非) 27
▯ 구약현하(口若懸河) 27
▯ 구우일모(九牛一毛) 28
▯ 국궁진췌(鞠躬盡瘁) 28
▯ 권토중래(捲土重來) 29
▯ 근묵자흑(近墨者黑) 29
▯ 금란(金蘭) 30
▯ 금슬(琴瑟) 30
▯ 급시(及時) 31
▯ 기로망양(岐路亡羊) 31
▯ 기우(杞憂) 32
▯ 기호지세(騎虎之勢) 32

⊡ 나 35
▯ 낙불사촉(樂不思蜀) 37
▯ 낙양지가귀(洛陽紙價貴) 37
▯ 난형난제(難兄難弟) 38
▯ 날이불치(涅而不緇) 38
▯ 남가일몽(南柯一夢) 39
▯ 남상(濫觴) 39
▯ 남우충수(濫竽充數) 40
▯ 노기복력(老驥伏櫪) 41
▯ 노마식도(老馬識途) 41
▯ 노이무공(勞而無功) 42
▯ 노익장(老益壯) 42
▯ 농가성진(弄假成真) 43
▯ 농단(壟斷) 43
▯ 누란지위(累卵之危) 44

⊡ 다 45
▯ 다다익선(多多益善) 47
▯ 단현(斷弦) 48
▯ 달제어(獺祭魚) 48
▯ 당랑거철(螳螂拒轍) 49
▯ 당랑재후(螳螂在後) 49
▯ 당인불양(當仁不讓) 50
▯ 대기만성(大器晩成) 50
▯ 대상경정(大相徑庭) 51
▯ 도망(悼亡) 51
▯ 도불습유(道不拾遺) 52
▯ 도청도설(道聽塗説) 52
▯ 도화원(桃花源) 53
▯ 도회지계(韜晦之計) 53
▯ 독목난지(獨木難支) 54
▯ 독선기신(獨善其身) 54
▯ 동량(棟梁) 55
▯ 동방(洞房) 55
▯ 동병상련(同病相憐) 56
▯ 동상(東牀) 56
▯ 동성상응(同聲相應) 57
▯ 두강(杜康) 57
▯ 두찬(杜撰) 58
▯ 득도다조(得道多助) 58
▯ 득롱망촉(得隴望蜀) 59
▯ 득어망전(得魚忘筌) 59

⊡ 마 61
▯ 마저성침(磨杵成針) 63
▯ 마혁과시(馬革裹屍) 63
▯ 막역(莫逆) 64
▯ 망개삼면(網開三面) 64
▯ 망년교(忘年交) 65
▯ 망매지갈(望梅止渴) 66
▯ 망양보뢰(亡羊補牢) 66
▯ 망양흥탄(望洋興嘆) 67
▯ 매독환주(買櫝還珠) 68
▯ 매황유하(每況愈下) 68
▯ 맹랑(孟浪) 70
▯ 맹모삼천(孟母三遷) 70
▯ 맹인할마(盲人瞎馬) 71
▯ 면벽(面壁) 71
▯ 명경고현(明鏡高懸) 72
▯ 명고(鳴鼓) 73
▯ 명락손산(名落孫山) 74
▯ 명산사업(名山事業) 74
▯ 명일황화(明日黃花) 75
▯ 명철보신(明哲保身) 76
▯ 모수자천(毛遂自薦) 76
▯ 모순(矛楯) 77
▯ 목무전우(目無全牛) 78
▯ 목불규원(目不窺園) 79
▯ 목불식정(目不識丁) 79
▯ 몰세불망(沒世不忘) 80
▯ 묵수(墨守) 80
▯ 문가라작(門可羅雀) 81
▯ 문과즉희(聞過則喜) 81
▯ 문정(問鼎) 82
▯ 문정약시(門庭若市) 82
▯ 문질빈빈(文質彬彬) 83
▯ 미대부도(尾大不掉) 84
▯ 미언대의(微言大義) 84
▯ 미우주무(未雨綢繆) 85

⊡ 바 87
▯ 박문강지(博聞彊識) 89
▯ 박옥혼금(璞玉渾金) 89
▯ 반구저기(反求諸己) 90
▯ 반도이폐(半塗而廢) 90
▯ 반룡부봉(攀龍附鳳) 91
▯ 반문농부(班門弄斧) 91
▯ 발란반정(撥亂反正) 92
▯ 방가(方家) 92
▯ 방예원착(方枘圓鑿) 93
▯ 배궁사영(杯弓蛇影) 93
▯ 배반낭자(杯盤狼藉) 94
▯ 배수거신(杯水車薪) 95
▯ 배수진(背水陣) 95
▯ 배중물(杯中物) 96
▯ 백구과극(白駒過隙) 96
▯ 백미(白眉) 97
▯ 백벽미하(白璧微瑕) 97
▯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98
▯ 백안(白眼) 98
▯ 벽혈(碧血) 99
▯ 별유천지(別有天地) 99
▯ 병귀신속(兵貴神速) 100
▯ 병불염사(兵不厭詐) 101
▯ 병불혈인(兵不血刃) 101
▯ 병입고황(病入膏肓) 102
▯ 보무(步武) 102
▯ 복고(腹稿) 103
▯ 부형(負荊) 103
▯ 불가사의(不可思議) 104
▯ 불괴옥루(不愧屋漏) 105
▯ 불구심해(不求甚解) 105
▯ 불이법문(不二法門) 106
▯ 불치하문(不恥下問) 106
▯ 불혹(不惑) 107
▯ 붕정만리(鵬程萬里) 107
▯ 비육부생(髀肉復生) 108
▯ 비익조(比翼鳥) 109
▯ 빈지여귀(賓至如歸) 109
▯ 빙인(氷人) 110
▯ 빙청옥결(冰清玉潔) 110
▯ 빙탄부동기(氷炭不同器) 111

⊡ 사 113
▯ 사귀전(使鬼錢) 115
▯ 사대(四大) 115
▯ 사리(舍利) 116
▯ 사면초가(四面楚歌) 116
▯ 사반공배(事半功倍) 117
▯ 사생취의(舍生取義) 118
▯ 사숙(私淑) 118
▯ 사이비(似而非) 119
▯ 사족(蛇足) 119
▯ 사직(社稷) 120
▯ 삭족적리(削足適履) 121
▯ 살신성인(殺身成仁) 121
▯ 삼고초려(三顧草廬) 122
▯ 삼부지(三不知) 122
▯ 삼인성호(三人成虎) 123
▯ 삼함기구(三緘其口) 123
▯ 상가지구(喪家之狗) 124
▯ 상대여빈(相待如賓) 124
▯ 상유이말(相濡以沫) 125
▯ 상재(桑梓) 125
▯ 상전벽해(桑田碧海) 126
▯ 상행하효(上行下效) 126
▯ 새옹지마(塞翁之馬) 127
▯ 서절구도(鼠竊狗盜) 128
▯ 서제막급(噬臍莫及) 128
▯ 석불가난(席不暇暖) 129
▯ 선발제인(先發制人) 129
▯ 선하(先河) 130
▯ 설장도단(説長道短) 130
▯ 섭공호룡(葉公好龍) 131
▯ 성동격서(聲東擊西) 132
▯ 성화료원(星火燎原) 132
▯ 세불양립(勢不兩立) 133
▯ 소견다괴(少見多怪) 133
▯ 소리장도(笑裏藏刀) 134
▯ 소찬(素餐) 134
▯ 수도동귀(殊塗同歸) 135
▯ 수락석출(水落石出) 135
▯ 수렴청정(垂簾聽政) 136
▯ 수무족도(手舞足蹈) 136
▯ 수미이취(數米而炊) 137
▯ 수불석권(手不釋卷) 137
▯ 수수방관(袖手傍觀) 138
▯ 수주대토(守株待兔) 138
▯ 수지청즉무어(水至清則無魚) 139
▯ 수택(手澤) 139
▯ 숙맥(菽麥) 140
▯ 숙흥야매(夙興夜寐) 140
▯ 순망치한(脣亡齒寒) 141
▯ 순순선유(循循善誘) 141
▯ 슬양소배(膝癢搔背) 142
▯ 승당입실(升堂入室) 142
▯ 시위소찬(尸位素餐) 143
▯ 시이불견(視而不見) 143
▯ 시작용자(始作俑者) 144
▯ 식미(式微) 144
▯ 식언이비(食言而肥) 145
▯ 신주(神州) 145
▯ 신진화전(薪盡火傳) 146
▯ 신출귀몰(神出鬼沒) 146
▯ 실도과조(失道寡助) 147
▯ 실사구시(實事求是) 147
▯ 수지상유(收之桑榆) 148
▯ 심광신이(心曠神怡) 148
▯ 심광체반(心廣體胖) 149
▯ 심입천출(深入淺出) 149
▯ 심장약허(深藏若虛) 150
▯ 십행구하(十行俱下) 150

⊡ 아 151
▯ 아미(蛾眉) 153
▯ 안락와(安樂窩) 153
▯ 안보당거(安步當車) 154
▯ 안빈낙도(安貧樂道) 154
▯ 안중정(眼中釘) 155
▯ 앙급지어(殃及池魚) 155
▯ 애옥급오(愛屋及烏) 156
▯ 야불폐호(夜不閉戶) 156
▯ 약관(弱冠) 157
▯ 약법삼장(約法三章) 157
▯ 약육강식(弱肉強食) 158
▯ 약정속성(約定俗成) 158
▯ 양상군자(梁上君子) 159
▯ 양수청풍(兩袖清風) 160
▯ 양입위출(量入爲出) 160
▯ 어부지리(漁父之利) 161
▯ 어유부중(魚遊釜中) 162
▯ 어육(魚肉) 162
▯ 언인인수(言人人殊) 163
▯ 엄이도종(掩耳盜鍾) 163
▯ 여비사지(如臂使指) 164
▯ 여어득수(如魚得水) 164
▯ 여음요량(餘音繞梁) 165
▯ 역보역추(亦步亦趨) 165
▯ 연년익수(延年益壽) 166
▯ 연목구어(緣木求魚) 166
▯ 연부력강(年富力強) 167
▯ 연성(連城) 167
▯ 연수(淵藪) 168
▯ 연작처당(燕雀處堂) 169
▯ 영인이해(迎刃而解) 169
▯ 예상왕래(禮尚往來) 170
▯ 예현하사(禮賢下士) 170
▯ 오리무중(五里霧中) 171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171
▯ 오우천월(吳牛喘月) 172
▯ 오월동주(吳越同舟) 173
▯ 옥석구분(玉石俱焚) 173
▯ 온고지신(溫故知新) 174
▯ 와신상담(臥薪嘗膽) 174
▯ 완물상지(玩物喪志) 175
▯ 완벽(完璧) 175
▯ 용마정신(龍馬精神) 176
▯ 우공이산(愚公移山) 177
▯ 우불가급(愚不可及) 178
▯ 우화(羽化) 179
▯ 운근성풍(運斤成風) 179
▯ 운우(雲雨) 180
▯ 운주유악(運籌帷幄) 181
▯ 원교근공(遠交近攻) 181
▯ 원원류장(源遠流長) 182
▯ 월조대포(越俎代庖) 182
▯ 월하노인(月下老人) 183
▯ 위부불인(爲富不仁) 184
▯ 위연구어(爲淵敺魚) 184
▯ 위편삼절(韋編三絕) 185
▯ 유비무환(有備無患) 185
▯ 유수불부(流水不腐) 186
▯ 유아독존(惟我獨尊) 186
▯ 유인유여(遊刃有餘) 187
▯ 융회관통(融會貫通) 187
▯ 은감불원(殷鑒不遠) 188
▯ 음수사원(飲水思源) 188
▯ 의마칠지(倚馬七紙) 189
▯ 이립(而立) 189
▯ 이변풍(耳邊風) 190
▯ 이순(耳順) 190
▯ 이여반장(易如反掌) 191
▯ 이우입해(泥牛入海) 191
▯ 이제면명(耳提面命) 192
▯ 인미언경(人微言輕) 192
▯ 인인입승(引人入勝) 193
▯ 일거양득(一舉兩得) 193
▯ 일견여구(一見如舊) 194
▯ 일국삼공(一國三公) 194
▯ 일낙천금(一諾千金) 195
▯ 일명경인(一鳴驚人) 195
▯ 일모불발(一毛不拔) 196
▯ 일엽지추(一葉知秋) 196
▯ 일엽폐목(一葉蔽目) 197
▯ 일의대수(一衣帶水) 197
▯ 일일삼추(一日三秋) 198
▯ 일자사(一字師) 198
▯ 일자천금(一字千金) 199
▯ 일전쌍조(一箭雙雕) 200
▯ 일취월장(日就月將) 201
▯ 일패도지(一敗塗地) 201
▯ 일편빙심(一片冰心) 202
▯ 일폭십한(一暴十寒) 202
▯ 임갈굴정(臨渴掘井) 203
▯ 임심이박(臨深履薄) 203
▯ 임연선어(臨淵羨魚) 204
▯ 임중도원(任重道遠) 204
▯ 입경문속(入境問俗) 205
▯ 입목삼푼(入木三分) 205
▯ 입주출노(入主出奴) 206
▯ 입추지지(立錐之地) 206

⊡ 자 207
▯ 자강불식(自強不息) 209
▯ 자두연기(煮豆燃萁) 209
▯ 자아작고(自我作古) 210
▯ 자포자기(自暴自棄) 210
▯ 작견자박(作繭自縛) 211
▯ 작동(作東) 211
▯ 작법자폐(作法自斃) 212
▯ 작소구거(鵲巢鳩居) 213
▯ 장수선무(長袖善舞) 213
▯ 적우침주(積羽沉舟) 214
▯ 전거지감(前車之鑒) 214
▯ 전공진기(前功盡棄) 215
▯ 전전긍긍(戰戰兢兢) 215
▯ 절장보단(絶長補短) 215
▯ 절차탁마(切磋琢磨) 216
▯ 정문입설(程門立雪) 216
▯ 정우(丁憂) 217
▯ 정위전해(精衛填海) 217
▯ 정저지와(井底之蛙) 218
▯ 제동야어(齊東野語) 218
▯ 조강지처(糟糠之妻) 219
▯ 조삼모사(朝三暮四) 219
▯ 조장(助長) 220
▯ 종남첩경(終南捷徑) 221
▯ 종호귀산(縱虎歸山) 221
▯ 좌단(左袒) 222
▯ 좌정관천(坐井觀天) 223
▯ 죽마(竹馬) 223
▯ 즐풍목우(櫛風沐雨) 224
▯ 증경창해(曾經滄海) 224
▯ 지록위마(指鹿爲馬) 225
▯ 지음(知音) 226
▯ 지척(咫尺) 226
▯ 지천명(知天命) 227
▯ 지치(舐痔) 227
▯ 지피지기(知彼知己) 228
▯ 진면목(眞面目) 228
▯ 진선진미(盡善盡美) 229
▯ 진진상인(陳陳相因) 229
▯ 진퇴유곡(進退維谷) 230
▯ 집대성(集大成) 230
▯ 집우이(執牛耳) 231

⊡ 차 233
▯ 차래지식(嗟來之食) 235
▯ 착도(捉刀) 235
▯ 착륜(斲輪) 236
▯ 참초제근(斬草除根) 237
▯ 창해일속(滄海一粟) 237
▯ 책비(責備) 238
▯ 척단촌장(尺短寸長) 238
▯ 천려일득(千慮一得) 239
▯ 천망회회(天網恢恢) 239
▯ 천의무봉(天衣無縫) 240
▯ 천편일률(千篇一律) 240
▯ 청운(靑雲) 241
▯ 청출어람(靑出於藍) 241
▯ 초목개병(草木皆兵) 242
▯ 촉견폐일(蜀犬吠日) 242
▯ 촌초춘휘(寸草春暉) 243
▯ 추기급인(推己及人) 243
▯ 추고(推敲) 244
▯ 추호(秋毫) 245
▯ 축록(逐鹿) 245
▯ 춘란추국(春蘭秋菊) 246
▯ 춘풍득의(春風得意) 246
▯ 출류발췌(出類拔萃) 247
▯ 출이반이(出爾反爾) 247
▯ 충언역이(忠言逆耳) 248
▯ 취모구자(吹毛求疵) 248
▯ 침어낙안(沉魚落雁) 249

⊡ 타 251
▯ 타면자건(唾面自乾) 253
▯ 타산지석(他山之石) 253
▯ 탄관상경(彈冠相慶) 254
▯ 탐려득주(探驪得珠) 254
▯ 태산북두(泰山北斗) 255
▯ 토고납신(吐故納新) 255
▯ 토붕와해(土崩瓦解) 256
▯ 토사구팽(兔死狗烹) 256
▯ 토포악발(吐哺握髮) 257
▯ 퇴피삼사(退避三舍) 258
▯ 투도보리(投桃報李) 258
▯ 투서기기(投鼠忌器) 259
▯ 투필종융(投筆從戎) 259

⊡ 파 261
▯ 파경(破鏡) 263
▯ 파별천리(跛鱉千里) 264
▯ 파부침주(破釜沉舟) 265
▯ 파죽지세(破竹之勢) 265
▯ 파천황(破天荒) 266
▯ 팔두재(八斗才) 266
▯ 팔선과해(八仙過海) 267
▯ 패입패출(悖入悖出) 268
▯ 편안(偏安) 268
▯ 포신구화(抱薪救火) 269
▯ 풍성학려(風聲鶴唳) 269
▯ 피갱낙정(避坑落井) 270
▯ 피안(彼岸) 270
▯ 피일시차일시(彼一時此一時) 271
▯ 필부지용(匹夫之勇) 271

⊡ 하 273
▯ 하불엄유(瑕不掩瑜) 275
▯ 학부오거(學富五車) 275
▯ 학철지부(涸́轍之鮒) 276
▯ 한단학보(邯鄲學步) 277
▯ 한우충동(汗牛充棟) 277
▯ 할계언용우도(割雞焉用牛刀) 278
▯ 할석(割席) 278
▯ 해량(海量) 279
▯ 해령계령(解鈴繫鈴) 279
▯ 해민도현(解民倒懸) 280
▯ 헌근(獻芹) 281
▯ 현량(懸梁) 281
▯ 형제혁장(兄弟鬩牆) 282
▯ 호가호위(狐假虎威) 282
▯ 호사수구(狐死首丘) 283
▯ 호시탐탐(虎視眈眈) 284
▯ 호연지기(浩然之氣) 284
▯ 호위인사(好爲人師) 285
▯ 홍문연(鴻門宴) 285
▯ 화광동진(和光同塵) 286
▯ 화기소장(禍起蕭牆) 286
▯ 화룡점정(畫龍點睛) 287
▯ 화안금정(火眼金睛) 288
▯ 환득환실(患得患失) 289
▯ 황량몽(黃粱夢) 289
▯ 회자인구(膾炙人口) 290
▯ 효빈(效顰) 291
▯ 효시(嚆矢) 291
▯ 후생가외(後生可畏) 292
▯ 흉유성죽(胸有成竹) 292

저자소개

김창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대학원 중문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초빙교수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국어문학연구소에서 책임연구원, 경남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에서 책임연구원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역서로 『도연명의 사상과 문학』(을유문화사), 『장자』(을유문화사), 『중국의 명문장 감상』(한국학술정보), 『논어집주』(명문당), 『대학장구·중용장구』(명문당), 『도연명시집』(연암서가), 『도연명산문집』(연암서가), 『유원총보역주』(공역,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격물치지(格物致知) 사물의 이치를 추구하여 앎을 지극하게 한다.
출전 : ≪禮記·大學≫, “欲誠其意者, 先致其知, 致知在格物.”
번역 : ≪예기·대학≫, “그 뜻을 참되게 하고자 하는 자는 먼저 앎을 지극하게 하는데, 앎을 지극하게 하는 것은 사물의 이치를 추구하는 데에 있다.”
설명 : 사물의 이치를 파고들어 철저하게 알려고 하는 학문 태도를 비유한다. 올바른 행동은 제대로 아는 데에서 비롯됨을 강조한 것으로, ‘수기치인(修己治人)’이라는 유가의 이상을 이루기 위한 기본이다.


견위수명(見危授命) 위태로움을 보고 목숨을 바치다.
출전 : ≪論語·憲問≫, “見利思義, 見危授命, 久要不忘平生之言, 亦可以爲成人矣.”
번역 : ≪논어·헌문≫, “이익을 보고 도리를 생각하며, 위태로움을 보고 목숨을 바치며, 오래된 약속에 대해 평소에 했던 말을 잊지 않는다면, 또한 완전한 사람이 될 수 있다.”
설명 : 위급한 시기에 자신을 바치는 희생정신을 비유한다. ‘견위치명(見危致命)’이라고도 한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