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미술/디자인/사진
· ISBN : 9788991636231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07-12-11
목차
책을 펴내며 - 우리 현대미술의 눈과 정신을 찾아서
[ 1. 현대미술, 눈과 정신의 궤적 ]
들어가는 말
근대화 여명기(1950~60년대)
예술사회학적 배경: 개인과 사회의 접점
박수근의 눈과 정신
무생명성과 고요한 단순성
이미지의 부동성과 익명성
근대화 전성기(1960~70년대)
예술사회학적 배경
1960~70년대 미술의 전개
1960년대 운동의 결산
1970년대의 시작
1970년대 미술의 눈과 정신
비물질주의
범자연주의
분극시대(1980년대)
분극의 시작과 접근 방법론
전환시대의 궤적
이념과 양식적 특징
이념적 국면
양식적 특징
표현의 새로운 감수성
이념
양식의 전개
1980년대 미술의 갈등과 이반
근대화 후기(1990년대 이후)
예술사회학적 배경
양상들의 특징
연원
1980년대의 유산과 신체
양식적 특징 1: 제2세대의 열려진 구조
양식적 특징 2: 제3세대의 해체와 복원
새로운 지식사회학적 배경과 해석경험
1부를 마치며
[ 2. 분화하는 눈: 장르론 ]
들어가는 말
자연주의
등장배경
비표상주의
아비투스들의 눈과 정신
물성적 감성의 초기실험
곽인식의 선구적 실험과 영향
1970년대 모노크롬평면의 출현: 이우환과 박서보의 활동
물성탐구집단의 활동과 신체
자연주의의 예술사회학적 배경: 타자와 주체의 소멸
자연주의의 한국적 버전
표본작가: 박서보, 하종현, 권영우
신체와 중성구조: 박서보「묘법」
사상적 배경: 행위와 무목적성
신체적 계기
중성구조로서의 평면
물성과 중성구조: 하종현
물성탐구의 배경
물성과 신체
물성의 현상학적 환원과 중성구조로서의 평면
물성과 행위의 전일성: 권영우
전일성의 징후들
전일성의 정신과 방법론
주지주의
주지주의의 분류학적 위치
주지주의의 제 징후들
원천들의 변별
환원
구조
장소 및 형상(形相)
분류학적 수준의 두 환원
환원적 분석
환원적 종합
환원적 분석의 한국적 버전
표본작가: 이승조, 김재관
개관
이승조의 환원적 분석과 한국적 버전
김재관의 「관계항」외
전기시대의 수리언어와 수사학
후기시대의 일탈과 비평형
김재관의 환원적 분석과 한국적 버전
환원적 종합과 한국적 버전
표본작가
전국광의 지각의 현상학
박석원의 절단과 적(積)의 논리
다시 '주지주의'라는 말
리얼리즘
표상의 중첩과 예술사회학적 배경
사회적 상상력의 대두
차대덕과 임옥상의 역할
리얼리즘의 주관주의적 경향들
서술과 표현의 의지
영향사의 원천들
미국 리얼리즘의 발흥과 비교의 관점
한국의 선구자들
고영훈과 동세대들의 활동
전개과정과 리얼리즘의 한국적 버전
전개
리얼리즘의 한국적 버전
표본작가
일루전과 실재의 전복: 고영훈
돌과 책으로부터
낡은 것에 대한 경의
솔거와 물신(物神)을 향한 몸짓
즉자와 타자의 변증법: 김영원
즉자의 정형화와 「중력ㆍ무중력 시대」
해체와 복원의 시대
타자와 비존재에 대한 응시
2부를 마치며
[ 3. 하나의 정신: 정체성 이론 ]
들어가는 말
전일주의의 예술사회학적 배경과 방법론
1970년대의 사회적 성격과 '이중억압'
이중억압의 패러다임
전일적 표면화
주체의 해체
물성의 해체와 곽인식의 선구적 시각
이우환의 '만남의 현상학'
방법론으로서의 전일주의와 상징적 구조화
표본작가
물아합일과 물적 실존
'물아합일'과 내적 울림: 정창섭
'신체와 내재율': 신영상
빛의 생성과 각인
빛의 생성과 후광: 김형대
빛의 신체적 각인: 김기린
물성의 틈새와 안과 밖의 변증법: 김태호
물성의 틈새: 한기주
안과 밖의 변증법: 김태호
전일주의의 분석논리
동시성의 논리: 서승원
신체와 장소의 논리: 이건용
전일주의의 신화비평적 해석
전일주의적 원형비평의 시각
한국적 원형의 신화단계와 역사-사회화단계
현대 전일주의의 개화와 한국적 버전
선구세대의 전일주의와 원형상의 재발현
전기 동세대들의 전일주의
후기 동세대들의 전일주의
현대 한국화 선구세대와 동세대들의 전일주의
전일주의적 표제들의 신화적 의의
3부를 마치며
맺음말 - '눈과 정신'에 부치는 유감
주(註)
그림 목록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