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안과
· ISBN : 9788992643368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4-01-05
목차
CHATER I 시력 발달
1 시각계 발달
1) 출생 전 시기 2
2) 출생 후 시기 3
2 정상 시력발달
1) 시력발달 5
2) 양안시 발달 6
3 어린이의 눈검사
1) 문진과 시진 7
2) 시력검사 7
3) 주시선호검사8
4) 시운동눈떨림검사8
5) 시유발전위검사8
6) 시력9
7) Bruckner검사10
8) 조절마비굴절검사10
9) 안저검사 11
4 어린이 시각전기생리검사
1) 눈전위도검사15
2) 망막전위도검사16
3) 시유발전위검사21
CHATER II 외안근 구조
1 외안근
1) 수평근 30
2) 수직근 30
3) 사근 34
2 근막구조
1) 테논주머니 37
2) 근피막 37
3) 근사이막 38
4) 제한인대 39
5) Lockwood 걸이인대 39
6) 윗눈꺼풀의 transverse superior fascial expansion40
3 외안근 신경지배
1) 동안신경 41
2) 활차신경 41
3) 외향신경 42
4) 외안근의 구획별 신경지배 42
5) 외안근의 근육내 신경분포 43
4 외안근의 혈관분포43
5 외안근 pulley40
6 외안근 미세구조
1) 외안근과 일반 골격근의 차이점46
2) 외안근 분류 47
3) 미세구조에 따른 외안근근섬유 분류48
4) 고유감각기 49
CHATER III 외안근 운동생리와 기능
1 눈위치
1) 제일눈위치 52
2) 제이눈위치 52
3) 제삼눈위치 52
2 기본눈운동학
1) 안구회전중심52
2) 전위운동과 회전운동53
3) 외안근 관련 용어정의53
4) 눈운동의 기본법칙55
3 눈운동과 그 특징
1) 동향운동 58
2) 이향운동 59
4 일상생활에서의 주시시야
1) 주시60
2) 주시시야 61
3) 일상생활에서의 주시시야 61
5 눈운동에 대한 pulley이론 61
CHATER IV 사시의 영상 진단
1 뇌신경과 뇌질환
1) 선천질환 68
2) 후천질환 71
2 안와질환
1) 외안근을 침범하는 질환 75
2) 외상76
3) 혈관(림프관)기형 및 종양77
CHATER V 근거리주시복합운동
1 조절
1) 조절의 기전 80
2) 조절의 측정단위80
2 눈모음
1) 눈모음의 측정단위81
2) 눈모음의 구성82
3 동공수축 86
CHATER VI 양안시와 사시환자에서의 감각적응
1 단안시90
2 양안시
1) 대응망막점 91
2) 호롭터 91
3) Panum융합구역93
4) 주시시차 93
5) 생리적 복시 94
3 입체시
1) 입체시 원리 95
2) 입체시와 융합96
3) 입체시와 사시96
4) 3차원(3D)영상1 97
4 한눈단서
1) 움직임 파라락스 97
2) 직선원근법 97
3) 형태겹침 97
4) 빛과 그림자분포97
5) 물체 크기 98
6) 대기원근법 98
5 망막경합 98
6 융합
1) 감각융합 98
2) 운동융합 99
7 사시환자에서의 감각적응
1) 사시환자의 양안시 이상 99
2) 사시에서 발생하는 적응기전100
8 양안시이론
1) 대응과 시차 104
2) 양안시와 입체시 신경생리이론 104
CHATER VII 감각기능검사
1 복시와 시각혼란
1) 한눈복시 109
2) 두눈복시 109
2 억제
1) 임상양상 110
2) 억제검사 110
3) 억제의 깊이 측정 115
3 이상망막대응
1) 이상망막대응의 검사 117
2) 검사의 평가 123
3) 억제와 이상망막대응 123
4) 이상망막대응의 발생과 임상양상 123
5) 이상망막대응에서 양안시의 특성 126
6) 이상망막대응의 치료 126
4 입체시검사
1) 입체시검사 127
2) 입체시검사의 선택135
CHATER VIII 눈운동검사
1 눈과 머리위치 관찰 136
1) 눈꺼풀과 눈꺼풀틈새 관찰 140
2) 눈위치 140
3) 머리위치 관찰 141
2 사시검사 138
1) 가림검사와 가림안가림검사 142
2) 사시각 측정 143
CHATER IX 약시
1 약시 유병률 160
2 약시의 분류 161
1) 사시약시 161
2) 굴절부등약시 162
3) 시각차단약시 162
4) 기질약시 163
3 약시의 임상특징
1) 주시선호 163
2) 약시의 시력 163
3) 약시의 주시형태164
4) 민감기 165
4 약시 병인의 연구
1) 정신물리학연구 165
2) 전기생리연구 167
3) 빛간섭단층촬영 167
5 약시와 억제와의 관계 168
6 약시의 조직학적 이상과 동물실험모델 168
7 약시의 진단
1) 교정시력감소170
2) 약시의 위험인자170
8 약시의 치료
1) 약시치료의 목적171
2) 약시치료의 원칙171
3) 약시치료의 방법172
CHATER X 사시의 용어와 병인
1 사시의 기본 용어와 분류
1) 사위와 사시 184
2) 상대안정위치와 절대안정위치184
3) 눈의 정렬 184
4) 편위방향에 따른 분류185
5) 일치와 불일치185
6) 편위의 항상성185
7) 이향운동체계의 상태186
8) 주시형태 186
9) 사시의 발생시기186
10) 마비사시 186
11) 기계적인 원인, 제한사시 187
12) 안와사시 187
2 사시의 병인
1) 안구편위와 관련된 인자 187
2) 사시의 유전학191
CHATER XI 내편위
1 내사위와 간헐내사시
1) 원인197
2) 임상증상 197
3) 감각이상 197
4) 진단 197
5) 치료 198
2 조절내사시
1) 굴절조절내사시199
2) 비굴절조절내사시 201
3) 부분조절내사시 203
4) 조절부족내사시 204
3 비조절내사시
1) 영아내사시 205
2) 후천내사시 214
3) 한눈주시증후군, 미세사시 216
4) 주기내사시 219
4 이차내사시
1) 감각내사시 220
2) 속발내사시 220
5 거짓내사시 220
CHATER XII 외편위
1 간헐외사시
1) 발생빈도 229
2) 임상양상 229
3) 감각적응 230
4) 자연경과 230
5) 분류231
6) 간헐외사시 검사233
7) 치료236
2 이차외편위
1) 감각외사시 244
2) 속발외사시 244
3 기타 외편위
1) 영아외사시-영아사시증후군 244
2) 해리외편위 245
3) 반맹을 동반한 외사시 246
4) 한눈주시외사시 247
CHATER XIII 회선수직편위
1 일치수직편위
1) 임상특징 254
2) 치료 254
2 해리수직편위
1) 용어 254
2) 정의 254
3) 임상특징 254
4) 사시각 측정 256
5) 원인256
6) 감별진단 259
7) 치료 259
8) 합병증 260
3 해리수평편위 252
1) 임상특징 261
2) 치료262
4 내전시 상전
1) 임상특징 262
2) 원인 262
3) 치료 264
5 내전시 하전 265
6 회선편위
1) 진단265
2) 임상특징 265
3) 치료 266
CHATER XIV A-V형사시
1 분류 272
2 발생빈도 275
3 원인
1) 수평근기능이상 275
2) 수직근기능이상 275
3) 사근기능이상 276
4) 안와이상 276
5) 외안근부착부이상과 회선 277
4 임상양상 278
5 진단 278
6 치료
1) 직근수술 280
2) 사근수술 281
3) 수평근 수직전위술 281
4) 수직근 수평전위술 282
5) 근경사부착술 283
CHATER XV 핵상로와 눈운동이상
1 핵상계의 개요 286
2 안구운동의 종류
1) 신속운동 287
2) 원활추종운동 288
3) 전정안구반사 290
4) 수평동향운동을 위한 뇌간 연결290
5) 수직과 회선운동을 위한 뇌간 연결291
3 핵상장애
1) 수평주시마비292
2) 신경핵사이눈근육마비 292
3) 수평 1½증후군293
4) 스큐편위 294
5) 양상전근마비 295
6) 수직 1½증후군 297
7) 등쪽중뇌증후군297
CHATER XVI 마비사시
1 증상과 진단
1) 한눈운동과 동향운동 300
2) 사시각측정 302
3) 머리기울임검사 302
4) 보상머리위치 305
5) 감각이상 306
6) Past-pointing306
7) 근전도검사 307
8) 강제견인검사307
9) 근력검사 308
10) 눈운동속도309
11) 마비사시와 비마비사시 309
12) 선천 또는 오래된 마비와 최근에 발생한 마비 309
13) 영상검사 310
2 외안근의 신경지배: 핵과 신경
1) 동안신경 311
2) 활차신경 312
3) 외향신경 312
3 외안근마비
1) 동안신경마비314
2) 활차신경마비322
3) 외향신경마비328
4) 양상전근마비330
5) 양하전근마비332
6) 백내장수술 후 수직근마비 332
4 치료 320
1) 선천마비 333
2) 후천마비 333
3) 비수술치료 334
4) 수술치료 334
CHATER XVII 특수한 형태의 사시
1 Duane 안구후퇴증후군
1) 원인 344
2) 진단 346
3) 치료 347
2 Mobius증후군
1) 원인 349
2) 치료 349
3 Brown증후군
1) 임상증상 350
2) 원인 350
3) 치료 352
4 유착증후군과 지방유착증후군 352
5 눈과 눈주위 수술 후 생긴 사시
1) 백내장수술 후 발생되는 사시 354
2) 공막돌륭술 후 발생되는 사시 355
3) 녹내장 방수유출기구 장치 후 발생되는 사시 356
4) 코곁굴수술 후 발생되는 사시 356
6 고정사시 357
7 Sagging eye증후군
1) 병인 및 임상양상358
2) 진단358
3) 감별진단 358
4) 치료360
8 중증근무력증 345
1) 병인 360
2) 분류 361
3) 임상양상 363
4) 진단 364
5) 감별진단 367
6) 치료 367
7) 어린이 근무력증/눈근육무력증368
9 Miller Fisher증후군
1) 원인과 병태생리 369
2) 병리 372
3) 임상양상 372
4) 진단 372
5) 감별진단 373
6) 예후 375
7) 치료 375
10 만성진행바깥눈근육마비
1) 병인 376
2) 사립체 이상 376
3) 분류 376
4) 임상양상 376
5) 진단 376
6) 감별진단 377
7) 치료377
11 근긴장이영양증 360
1) 분류 및 병인 377
2) 임상양상 378
3) 진단379
4) 감별진단 379
5) 치료 379
12 갑상샘눈병증과 관련된 사시
1) 역학379
2) 임상양상 380
3) 분류 380
4) 병리 381
5) 진단 381
6) 감별진단 382
7) 치료 383
8) 예후385
13 안와근염
1) 병인 385
2) 임상양상 385
3) 진단386
4) 감별진단 386
5) 치료 386
6) 예후 390
14 선천섬유증증후군
1) 분류 390
2) 발생원인 391
3) 임상양상 391
4) 병리소견 392
5) 감별진단 392
6) 동반될 수 있는 이상 393
7) 치료 393
15 안와바깥파열골절
1) 복시 발생기전 394
2) 골절 부위에 따른 임상양상 394
3) 진단 396
4) 치료 396
5) 어린이에서 안와바깥파열골절397
16 두개안면이상과 사시
1) 두개골유합증의 분류 및 사시관련요소 398
2) 사시의 원인 및 기전400
3) 안과진단 시 유의할 점 401
4) 사시수술 시 유의할 점 402
17 외안근의 무형성 또는 저형성402
CHATER XVIII 눈모음과 눈벌림의 이상
1 눈모음이상에 의한 사시
1) 눈모음부족 413
2) 조절부족과 연관된 눈모음부족417
3) 눈모음마비 418
4) 눈모음연축 419
2 눈벌림이상에 의한 사시
1) 눈벌림부족과눈벌림마비 420
3 중심융합분열증, 후천운동융합부족증
1) 임상양상과 병인421
2) 감별진단 421
3) 치료 422
CHATER XIX 근거리주시복합운동
1 눈떨림이란? 426
2 눈떨림의 분류 426
3 영아눈떨림의 원인
1) 고획득 불안정성 427
2) 신경통합중추누출 427
3) 전정긴장 불균형428
4) 시자극결핍 428
5) 고유수용체결손428
4 눈떨림의 기록
1) 눈떨림 측정방법429
2) 파형의 분석 431
5 영아눈떨림증후군
1) 임상양상 435
2) 병인437
3) 치료438
6 잠복눈떨림
1) 임상양상 440
2) 병인440
7 후천눈떨림
1) 하향눈떨림 440
2) 회선눈떨림 441
3) 끄덕임연축 441
4) 후천시계추눈떨림 442
5) 시소눈떨림 442
6) 주시유발눈떨림442
7) 주기교대눈떨림 443
8) 감각소실눈떨림443
9) 눈모음후퇴눈떨림443
10) Bruns눈떨림444
11) 반동눈떨림444
12) 안구개떨림444
CHATER XX 비수술적 치료의 종류와 원칙
1 광학치료
1) 안경448
2) 이중초점렌즈450
2 가림치료 452
3 프리즘치료 452
4 약물치료
1) 축동제 454
2) 아트로핀 455
3) 화학적 신경지배제거술 455
5 시기능훈련
1) 눈모음부족 456
2) 융합훈련 456
3) 억제개선훈련457
4) 이상망막대응457
6 임상응용 457
CHATER XXI 보툴리눔 A독소 외안근 화학신경
지배제거술
1 서론 462
2 작용기전 462
3 적응증과 금기 464
4 시술
1) 환자선택 464
2) 마취464
3) 시술과정 465
5 치료효과
1) 일치사시 466
2) 마비사시 469
3) 제한사시 470
4) 전신질환에 의한 사시 470
5) 사시수술의 보조요법471
6) 신경안과 영역471
6 합병증 471
CHATER XXII 사시수술 및 합병증
1 마취
1) 전신마취 478
2) 국소마취 478
2 기구, 봉합사, 바늘 478
3 사시의 수술기법
1) 수술준비 480
2) 결막절개와 근육노출480
3) 직근수술 483
4) 조정봉합술 487
5) 하사근수술 490
6) 상사근수술 495
7) 후고정봉합술503
8) 근전위술 505
9) Heavy eye증후군에서 Yokoyama수술 510
10) 재수술 510
4 합병증
1) 수술 중 합병증512
2) 마취합병증 516
3) 수술 후 합병증517
CHATER XXIII 사시수술 후 발생한 저교정과 과교정
1 재수술의 원칙528
2 수술 전 검사 528
1) 병력528
2) 임상검사 528
3 문제점529
4 내사시수술 후의 재수술
1) 부족교정된 내사시(잔류내사시) 치료 529
2) 속발외사시 치료530
5 외사시수술 후의 재수술
1) 부족교정된 외사시(잔류외사시) 치료531
2) 속발내사시 치료532
6 사시수술 후 발생한 수직사시의 수술
1) 하사근봉입으로 인한 수직사시534
2) 수직사시수술 후 발생한 부족교정과 과교정534
Appendix 541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