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영어영문학 > 영어학
· ISBN : 978899345459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2-11-27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 ⅰ
한국어판 서문 ······ ⅵ
차례 ········ ⅷ
표와 그림 목록 ······················?
감사의 글 ·············· ?
제1장 서론 ········ 3
1.1. '인지언어학'이란 무엇인가? ······ 3
1.2. 인지언어학의 핵심 개념과 제2언어 학습ㆍ교육의 적용 ······ 6
제2장 해석과 제2언어 학습 ····· 19
2.1. 들어가는 말 ······ 19
2.2. 주의와 현저성 ······· 21
2.3. 원근법 ······ 32
2.4. 구성 ······ 36
2.5. 범주화 ······38
2.6. L2 해석 패턴의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전이 외의 다른 인지 과정 ······ 46
2.7. L2 해석 패턴의 학습에서 명시적 교육의 역할 ······ 52
2.8. 나오는 말 ······· 54
제3장 방사 범주로서의 낱말, 형태소, 문법 규칙, 음운 자질과 억양 패턴 ······· 58
3.1. 들어가는 말 ······ 58
3.2. 방사 범주로서의 개별 낱말과 형태소 ······ 59
3.3. 방사 범주로서의 문법 규칙 ······· 77
3.4. 방사 범주로서의 음운 자질 ······ 85
3.5. 방사 범주로서의 억양 패턴 ······ 89
3.6. 나오는 말 ······· 91
제4장 백과사전적 지식과 제2언어 학습 ······· 95
4.1. 들어가는 말 ······ 95
4.2. '백과사전적 지식'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99
4.3. 백과사전적 지식과 프레임 의미론 ······ 100
4.4. 이상적 인지모형 ······ 105
4.5. 백과사전적 지식의 연속변이 ······ 113
4.6. 백과사전적 지식에서 어떤 양상을 가르쳐야 하는가? ······· 116
4.7. 백과사전적 지식은 어떻게 가르치는가? ·····118
4.8. 나오는 말 ······ 122
제5장 은유와 제2언어 학습 ······ 127
5.1. 들어가는 말 ······127
5.2. 개념적 은유 이론 ······ 129
5.3. 개념적 은유와 언어적 은유: 언어학습에 대한 언어간 차이와 함축 ··· 131
5.4. 개념적 은유 이론의 최근 발달과 언어학습과 교육에 대한 그 함축 ··· 134
5.5. 나오는 말 ······ 141
제6장 환유와 제2언어 학습 ······ 145
6.1. 들어가는 말 ······ 145
6.2. 개념적 환유와 언어적 환유 ·····147
6.3. 환유와 은유의 관계 ······ 149
6.4. 환유의 기능 ·······150
6.5. 환유는 제2언어 학습자에게 어떤 어려움을 주는가? ······ 157
6.6. 언어 학습자들은 환유를 다룰 때 어떻게 도움을 받는가? ······ 162
6.7. 나오는 말 ······ 167
제7장 신체화된 인지와 제2언어 학습 ······ 171
7.1. 들어가는 말 ······ 171
7.2. 문법 교육에서 신체화된 인지의 역할 ····· 177
7.3. 신체화된 인지와 제스처 ······ 182
7.4. 제스처의 사용에서 언어간 차이 ····· 187
7.5. 학습자는 목표언어 청취 시 제스처를 보면서 어떻게 도움을 받는가? ···· 191
7.6. 학습자는 목표언어를 공부할 때 제스처의 사용에서 어떻게 도움을
받는가? ······ 193
7.7. 나오는 말 ······ 198
제8장 동기화된 언어와 제2언어 학습 ······ 203
8.1. 들어가는 말 ······ 203
8.2. 설명 가능한 형태-형태 연결 ····· 204
8.3. 설명 가능한 형태-의미 연결 ····· 205
8.4. 설명 가능한 의미-의미 연결 ······ 209
8.5. 동기화된 언어에 대한 교실 교육의 약점 ····· 218
8.6. 나오는 말 ····· 220
제9장 구문문법과 제2언어 학습 ····· 223
9.1. 들어가는 말 ······223
9.2. Goldberg(1995)의 구문문법 ····· 227
9.3. 구문들의 관계 ······ 233
9.4. 명시적 구문 학습: 골드버그 이론의 교실 적용 ····· 237
9.5. 암시적 구문 학습: L1 습득에 대한 토마셀로의 사용기반 설명과 L2 습득
으로의 그 적용 ····· 244
9.6. 나오는 말 ····· 252
제10장 결론 ····· 255
참고문헌 ····· 261
색인 ····· 292
저자와 지은이 소개 ·····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