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웹 서비스/웹 프로그래밍
· ISBN : 9788993827828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14-05-08
책 소개
목차
Chapter 1. 들어가며
1.1 창조적인 개발자? 창의적인 개발자?
1.2 주제 선정
1.3 애플리케이션 기획에 대하여
1.4 실패할 확률이 90%
1.5 개발 습관
1.6 인정받는 개발자
Chapter 2. 부트스트랩 개요
2.1 왜 부트스트랩인가?
2.2 부트스트랩 초간단 기능 설명
2.3 같이 사용하면 좋을 UI 컴포넌트
Chapter 3. 구성 요소
3.1 부트스트랩 소개와 다운로드
3.2 시작하기
3.3 그리드 시스템
3.4 CSS 개요
3.5 폼(Forms)
3.6 버튼, 이미지, 헬퍼(Buttons, Images, Helper)
3.7 Glyphicons, Dropdowns
3.8 버튼 그룹(Button Group)
3.9 버튼 드롭다운(Button dropdowns)
3.10 인풋 그룹(Input Groups)
3.11 Navs
3.12 Navbar
3.13 Breadcrumbs,Pagination
3.14 Labels,Badges
3.15 Jumbotron,Page header
3.16 썸네일, 알러트(Thumbnails, Alerts)
3.17 진행바(Progress bars)
3.18 미디어 오브젝트, 리스트 그룹(Media object, List group)
3.19 패널(Panels)
Chapter. 4 자바스크립트
4.1 모달(Modal)
4.2 드롭다운(dropdown)
4.3 스크롤스파이(ScrollSpy)
4.4 탭(Tab)
4.5 툴팁(Tooltip)
4.6 팝오버(Popover)
4.7 알러트(Alert)
4.8 버튼(Button)
4.9 컬랩스(Collapse)
Chapter. 5 유용한 플러그인
5.1 jQuery UI
5.2 데이터테이블(datatable)
5.3 jqGrid
5.4 chosen
5.5 Knob
5.6 Masked Input
5.7 벨리데이션(Validation)
5.8 컬러픽커(colorpicker)
5.9 이지파이차트(easy-pie-chart)
5.10 하이차트(highcharts)
5.11 오토사이즈(autosize)
5.12 컨텍스트 메뉴(context menu)
5.13 코드미러(CodeMirror)
5.14 prettify
5.15 컬러박스(Colorbox)
5.16 그리터(Gritter)
5.17 핫키(hotkeys)
5.18 인풋 리미터(input-limiter)
5.19 슬림스크롤(SlimScroll)
5.20 스파크라인(sparkline)
5.21 vgrid
5.22 러시 슬라이드(Lush Slide)
5.23 드롭존(Dropzone)
5.24 wsyiwyg Editor
5.25 부트박스(bootbox)
5.26 FuelUX
5.27 풀캘린더(fullcalendar)
5.28 데이트픽커(DatePicker)
5.29 데이터레인지픽커(daterangepicker)
5.30 Moment.js
5.31 듀얼 리스트 박스(Dual List Box)
※ 일부 목차 변경 가능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부트스트랩은 현재 존재하는 수십억의 웹 사이트에서 쓰는 CSS랑 다를 게 없지만, Github에서 수개월째 다운로드 상위에 랭크되고 있는 오픈 소스이다. 일반 CSS 들과 부트스트랩의 차이점은 개발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들이 이미 잘 정의되어 있다는 것이다. 좀 더 훌륭하게 보이기 위해 사용자가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고, 전문 퍼블리셔가 아니더라도 쉽게 자신이 원하는 화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순수한 부트스트랩의 CSS만으로도 개발 완성도를 70% 이상 끌어 올릴 수 있다.
이처럼 부트스트랩은 개발 편의성과 확장성에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과거의 경우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하고, 퍼블리셔가 HTML코드를 만들어 주면 화면 개발을 새로 해야 했겠지만 이제는 더 이상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 기존에 웹 개발을 해왔던 사람들이라면 부트스트랩은 빠른 시일내에 배울 수 있다. 사이트의 좋은 예제들과 자세한 설명으로 기존에 있는 것들을 가져다 놓고 편집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한 줄 한 줄 의미를 되새기며 코딩하지 말고 우선 필요한 부분을 복사해서 가져다 놓고 시작하자.
-서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