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43014726
· 쪽수 : 118쪽
· 출판일 : 2025-11-13
책 소개
인공지능이 더 이상 명령을 수행하는 도구가 아니라, 함께 이야기하고 상상하는 ‘대화의 주체’로 등장했음을 탐구한다. 생성형 AI와 대규모 언어 모델의 발전은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챗봇, AI NPC, 버추얼 휴먼 등은 이제 정보 제공을 넘어 감정과 서사를 공유하는 ‘AI 캐릭터’로 진화하고 있다. 이 책은 AI 캐릭터의 탄생 배경을 기술적, 문화적, 서사학적 측면에서 분석하며, 인간과 기계가 함께 만들어 가는 새로운 유희와 서사의 구조를 살펴본다. 사용자가 직접 AI 캐릭터를 만들고 대화하며 형성하는 놀이 생태계를 구체적 사례로 제시한다. 나아가 AI 캐릭터가 인간의 삶에 스며들며 발생하는 윤리적, 정서적 문제, 특히 청소년과의 감정적 교류와 같은 민감한 영역에 주목하고, 인간이 AI와 공존하기 위한 올바른 대화의 방향을 제시한다.
목차
AI 캐릭터의 등장
01 AI 캐릭터의 정의
02 AI 캐릭터와 사용자 참여
03 AI 캐릭터의 멀티모달리티
04 AI 캐릭터 유형화의 기준
05 말뭉치 반복을 통한 캐릭터 인용
06 매체 전환을 통한 캐릭터 확장
07 파라텍스트를 통한 캐릭터 입체화
08 커스터마이징을 통한 캐릭터 실재화
09 AI 캐릭터와 윤리
10 AI 캐릭터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AI 캐릭터는 대화 상황에서의 메시지의 언어적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명확한 사례일 뿐만 아니라, 언어 모델이 텍스트를 생성하는 행위를 통해 페르소나가 수행되고 구체화되는 양상도 확인할 수 있는 사례다. 가령 AI 캐릭터에서는 언어 모델과 사용자가 텍스트를 주고받으며 커뮤니케이션하는 과정에서 미리 정해지지 않았던 언어 모델의 허구적 페르소나가 새롭게 설정되기도 하고 대화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변동되기도 한다.
-01_“AI 캐릭터의 정의” 중에서
AI 캐릭터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문자, 즉 텍스트를 통해 사용자와 대화하고 상호작용한다. 이 과정에서 말풍선 안을 채우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캐릭터 이미지와 소개 문구, 배경 이미지, 음성 및 배경 음악, 태그 등 다양한 기호적 자원을 활용한다. AI 캐릭터에서는 언어와 이미지, 소리 등 다양한 모드(mode)를 활용해 언어 모델과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이 발생하고 복합적으로 의미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03_“AI 캐릭터의 멀티모달리티” 중에서
AI 캐릭터에서 사용자 프롬프트를 통해 원작의 캐릭터 설정이 유지되지만, 동시에 각 사용자마다 주관적인 해석이 들어가기 때문에 언어 모델이 수행하는 페르소나가 원작의 캐릭터와 완전히 동일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원작의 세계관과 캐릭터 설정을 기반으로 하되, 이를 해석하고 AI 캐릭터의 페르소나에 반영하는 사용자 참여를 통해 원본 캐릭터가 내용적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06_“매체 전환을 통한 캐릭터 확장”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