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해양산업/해양바이오 시장동향과 정부의 R&D추진전략 현황

해양산업/해양바이오 시장동향과 정부의 R&D추진전략 현황

R&D정보센터 (지은이)
  |  
지식산업정보원
2012-08-10
  |  
28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해양산업/해양바이오 시장동향과 정부의 R&D추진전략 현황

책 정보

· 제목 : 해양산업/해양바이오 시장동향과 정부의 R&D추진전략 현황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우주/해양/조선 기타공학
· ISBN : 9788994111353
· 쪽수 : 540쪽

책 소개

정부의 해양 부문 녹색성장 추진계획과 세부 정책과제를 수록하였으며, 해양산업의 핵심부분인 ‘조선해양산업’과 ‘해양에너지/해양자원개발’ 그리고 ‘해양바이오/해양생명공학’을 분류하여 정부의 정책추진방향과 연구개발 시행계획 등을 수록하였다.

목차

제1편 해양산업
제Ⅰ장 해양산업과 해양기술

1. 해양자원과 해양산업
1) 개념 2) 의의 3) 해양의 가치 (1) 생명의 근원 (2) 자원의 보고
4) 해양의 잠재력 증대 (1) 해양과학기술의 발달 (2) 저탄소 녹색성장 추구
2. 해양산업과 일반 현황 1) 해양과 해양산업 2) 해양산업의 특성
3) 해양산업의 분류 4) 해양산업의 규모 5) 해양산업 잠재력
3. 세계 각국의 해양정책 동향 1) 미국 2) 유럽연합 3) 일본 4) 중국
4. 해양 기술발전 현황
1) 기술분야 2) 해양 기술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 3) 해양 기술 발전의 성과
(1) 국내의 주변해역 종관적 해양 특성 (2) 연구조사 해역의 대양화
(3) 국제공동조사연구 참여 (4) 해양 조사기술의 발전 (5) 해양자원 활용 연구의 다양화
제Ⅱ장 해양부문 녹색성장 추진계획
1. 녹색성장 수립배경 1) 법적 배경 2) 일반 배경
2. 국내외 동향 1) 국내 여건 2) 해외 녹색성장 추진동향
3. 비전·목표 및 추진전략
4. 세부 정책과제 1) 기후친화적인 해양의 이용·관리
(1) 미래의 성장동력 ‘신해양산업’ 육성
가. 해양생명공학을 차세대 중심산업으로 집중 육성
나. 해양의 자연력을 이용한 해양에너지 생산으로 저탄소 녹색성장 선도
다. 海水?海沙로부터의 희소금속 추출기술 개발 및 상용화
라. 해양심층수의 다목적 이용기술 개발 및 산업화 기반 강화
마. 해양바이오 에너지 시장선점을 위해 기술 개발 본격 착수
바. 해조류를 이용한 저탄소?고품질 펄프 생산 추진
사. 해외 심해저 광물자원 본격 채광
아. 해양과학기술의 선진화를 위한 국제 공동연구 및 교류?협력 지원
(2) 해양을 이용한 저탄소 녹색국토 구현
가. 바다를 CO₂흡수원으로 활용
나. 해조류를 이용한 온실가스 흡수
(3) 기후변화 해양영향 예측 및 대응체계 구축
가. 해수면 상승 예측을 위한 전지구적 해양관측망 구축
나. 연안지역 취약성 극복을 위한 대응기반 구축
다. 종다양성 위한 한반도 해양생태계 변화 분석
라. 한반도 주변해역 관측망을 이용한 「조기경보체계」 구축
마. 연안도시별 취약성을 고려한 「맞춤형 적응시스템」 구축
바. 장기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생태계 적응방안 마련
(4) 기후친화적 해양 관리
가.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생태계 보호 및 복원 추진
나. 한반도 연안 생물·생명자원의 적극적 관리
다. 해양분야 국제협력 제고로 전지구적 해양환경개선 노력
(5) 해양환경의 적극 보전
가. 연안오염 파악을 위한 해양환경측정망 운영
나. 폐기물 배출해역 되살리기 프로그램 추진
다. 해양오염예방을 위한 선박관리제도 도입
라. 쾌적한 녹색 바다환경 운동 추진
(6) 해양생명력 보전을 위한 친환경 방제역량 강화
가. 재난 해양오염사고 대비 방제장비 확충 등 방제대응능력 제고
나. 친환경 방제시스템 도입으로 환경오염피해 최소화
다. 친환경 방제산업 기술 지원 및 육성
제Ⅲ장 해양과학기술 로드맵 (2020)
1. 추진배경 및 의의 1) 배경 2) 의의
2. 미래전망 1) 미래사회에 대한 글로벌 트렌드
2) 우리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해양환경변화
3. 주요 국가별 해양 R&D 추진현황
1) 미국 2) 유럽연합(EU) 3) 일본 4) 중국
4. 해양과학기술 R&D 현황 1) 해양과학기술 R&D 추진현황
(1) 투자현황 (2) 주요 투자분야 (3) 주요 성과
2) 기술수준 (1) 세계최고 기술대비 현재의 해양과학기술 수준
(2) 해양 R&D 기술분야별 기술수준
(3) 기술수준분석 시 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제시된 중점과제
3) 문제점 진단 (1) 기존 계획의 추진실적 미약
(2) 산업화 연계기능 및 제도적 기반 취약 (3) 해양 R&D사업 운영의 비효율화
5. 비전 및 추진전략 1) 비전 및 목표 2) 중점기술 추진전략
(1) 신해양산업기술 발굴·육성을 통한 해양산업진흥 가. 해양에너지
나. 해양장비 다. 해양신소재 라. 항만물류시스템 마. 新선박기술
(2) 전지구적 기후변화 이해 및 연안재해 대응능력 향상
가. 연안재해 관측·예보 나. 전지구적 기후변화 예측 및 대응
(3) 해양과학역량 강화를 통해 해양주권강화 및 해양자원경제영토 확보
가. 해양영토 관 나. 해양자원 조사 및 개발
(4) 자연친화적이고 안전한 해양이용확대를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가. 청정한 바다 조성 나. 건강한 연안환경 구축 다. 안전한 해양 이용
라. 친수공간 및 해양문화 창조
3) 기술별 융복합 전략 : 분야별 중점과제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 창출
(1) 해양플랜트 (2) 해양관측 정보 (3) 해양환경 및 수산자원 보호
4) 시스템 개선 전략 (1) 해양 R&D 투자확대를 위한 기반강화
가. 전문인력양성 나. 해양클러스터 육성 다. 개방형과제 확대
라. 해양R&D 다변화 마. 연구인프라 구축
(2) 해양 R&D 성과활용 및 산업화 지원 강화
가. 기술사업화 지원 나. Test-bed 구현
(3) 해양 R&D 성과제고를 위한 연구성과 공개 및 국제협력 활성
가. R&D 정보공유 나. 국제협력 활성화
(4) 해양 R&D 사업운영의 효율화 추구
가. 과제 대형화 추진 나. 과제 평가강화 5) 예산투자 전략
(1) 4대 이슈 대응과제 및 국가 산업 기여도에 따른 투자 우선순위 수립
가. 총예산 나. 분야별 예산 다. 해양신개발 확대
(2) 기초연구와 산업화연구의 차별화된 투자·관리 전략 추진
가. 기초연구 나. 산업화연구
(3) 핵심전략과제 우선지원 (4) 단기 성과도출 예상과제 우선지원
제Ⅳ장 해양 R&D 발전전략과 미래핵심기술
1. 해양 R&D 발전전략 1) 해양의 미래역할
(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의 필요성
(2) 저탄소 녹색국토를 위한 해양의 역할
2) 국토해양 7대 트렌드
2. 해양부문 미래핵심기술
1) 그린 쉽(Green Ship) 기술
(1) 기술정의 (2) 연구개발 목표 (3) 기술개발내용 (4) 기대효과
2) 자원순환형 항만 기술
(1) 기술정의 (2) 연구개발 목표 (3) 기술개발내용 (4) 기대효과
3) 항만물류 시설/장비 고도화
(1) 기술정의 (2) 연구개발 목표 (3) 기술개발내용 (4) 기대효과
4) 친환경 해양장비 및 기반기술
(1) 기술정의 (2) 연구개발 목표 (3) 기술개발내용 (4) 기대효과
5) 해양재난재해 대응 기술
(1) 기술정의 (2) 연구개발 목표 (3) 기술개발내용 (4) 기대효과
6) 해양생물계 기능 활용(Ocean Bio) 기술
(1) 기술정의 (2) 연구개발 목표 (3) 기술개발내용 (4) 기대효과
7) 해양 녹색 금속자원(Ocean Green Metal) 추출 기술
(1) 기술정의 (2) 연구개발 목표 (3) 기술개발내용 (4) 기대효과
8) 극한지 탐사 및 장비개발
(1) 기술정의 (2) 연구개발 목표 (3) 기술개발내용 (4) 기대효과
9) 해상에너지 복합단지(Ocean Energy Farm) 조성기술
(1) 기술정의 (2) 연구개발 목표 (3) 기술개발내용 (4) 기대효과
제Ⅴ장 국토해양기술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해양부문)
1. 계획 수립의 배경 및 범위 1) 계획수립 배경
2. 국토해양 R&D 현황 1) 국토해양 R&D의 특성 2) 그간의 사업추진 현황
3) 국토해양 R&D 투자현황 (1) 그간의 투자현황 (2) 해양 부문 투자실적
4) 2011년 해양부문 연구성과
(1) 피지 EEZ 내에 해저열수광상 독점 탐사광구 확보
(2) 선박 유증기 회수설비(SVRU) 시제품 개발
(3) 해수리튬연구센터 준공
(4) 정지궤도 해양위성 영상자료 배포 서비스
(5) 수중무선통신 네트워크 기술 개발 성공
(6) 해양생물을 이용한 고순도 바이오디젤 개발
3. 2012년 추진방향 및 주요내용
1) 녹색기술 지속투자 2) 과제발굴 및 기획 고도화
3) 평가의 전문성·객관성 강화 4) 연구수행의 자율성 확대
4. 2012년 해양부문 시행계획 1) 소관 사업 및 예산 현황
2) 해양 부문 사업별 시행계획
(1) 해양에너지 및 자원이용 기술개발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2) 해양생명공학기술개발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3) 해양환경기술개발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4) 연구장비개발 및 인프라구축 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5) 해양과학조사 및 예보 기술개발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 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6) 대형 해양과학조사선 건조 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7) 해양연구기획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8) 지역R&D역량강화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9) 국제공동연구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10) 미래해양산업기술개발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11) 해양안전 및 해양교통시설기술개발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12) 첨단항만건설기술개발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13) 첨단물류기술개발사업
가. 사업목적 나. 사업개요 다.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라. 주요 추진성과 마. ‘12년 중점추진계획 바. 예산 투자계획

제2편 조선해양산업
제Ⅰ장 조선해양산업의 기술비전

1. 조선해양산업의 개요 1) 정의/범위 및 중요성
(1) 정의 (2) 범위 (3) 조선해양산업의 중요성
2) 조선해양산업의 규모와 위상
2. 조선해양 산업 외부 환경 분석
1) Macro 환경분석 2) 글로벌시장 동향과 전망 3) 경쟁동향 분석 4) 정책동향 분석
(1) 국내의 정책동향 (2) 중국의 정책동향 (3) 일본의 정책동향 (4) 유럽의 정책동향
5) 기술동향 분석 6) 외부 환경 분석 현황
(1) 선박 (2) 해양구조물
1) 글로벌 포지션 2) 경쟁력 분석3) 핵심역량 분석
4) 내부 역량 분석 현황 (1) 선박 (2) 해양구조물
4. 조선해양산업 2020년 비전 및 목표
5. 산업 전략 1) 조선해양산업 전략 (Overview) 2) 조선 산업 전략
(1) 제품 전략 가. 핵심육성제품 나. 미래육성제품
(2) 시장 전략 (3) 비즈니스 모델 혁신전략 (4) R&D·인력·기반 시험설비
3) 해양산업 전략 (1) 제품 전략 가. 핵심육성제품 나. 미래육성제품
(2) 시장 전략 (3) 비즈니스 모델 혁신전략 (4) R&D·인력·기반 시험설비
6. 조선해양산업 기술 전략
1) 유망 제품 기술 2) 핵심 기술 확보 방안
(1) Green Ship 기술 가. 문제점 나. 기술 확보 방안
(2) 미래형 에너지 수송 선박 가. 문제점 나. 기술 확보 방안
(3) 고부가가치선박 가. 문제점 나. 기술 확보 방안
(4) 크루즈선박 가. 문제점 나. 기술 확보 방안
(5) 해양레저선박 가. 문제점 나. 기술 확보 방안
(6) 해상플랜트 및 신재생 에너지 Farm 가. 문제점 나. 기술 확보 방안
(7) 해저 플랜트 가. 문제점 나. 기술 확보 방안
(8) 조선기자재 가. 문제점 나. 기술 확보 방안
제Ⅱ장 국내외 조선해양산업의 동향
1. 국내외 시장동향 1) 해외 시장동향
(1) 일본의 위상변화 및 시장대응 전략
(2) 중국의 위상변화 및 시장대응 전략
(3) 유럽의 위상변화 및 시장대응 전략 2) 국내 시장동향
2. 국내외 기술동향 1) 기술개발 추세
(1) 수요환경변화에 따른 선박기술의 변화 (2) 해상수송환경 변화
(3) 환경친화성 변화 (4) 공급환경변화에 따른 건조기술의 변화
가. 선박설계분야 나. 선박건조분야 다. 경영활동분야
(5) 조선기술기반 해양개발기술의 변화
가. 해양개발의 타당성 여부 나. 선박과 해양구조물의 복합화
2) 해외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동향 4) 산업구조분석
(1) 산업내 경쟁자 (Industry Competitors) (2) 잠재 진입자 (Potential New Entrants)
(3) 공급자 (Suppliers) (4) 수요자 (Customers)
3. 주요 비전 및 추진전략 1) 주요 비전 2) 주요 추진전략
제Ⅲ장 조선해양 R&D 전략 및 기술로드맵
1. 미래형 에너지 수송선박 1) 개요 2) 분석 현황
(1) 가치사슬 현황 가. CO₂ 수송선 나. CNG 운반선
(2) 기회요인 분석 가. CO₂ 수송선 나. CNG 운반선
(3) 산업화 육성전략 가. CO₂ 수송선 나. CNG 운반선 (4) 핵심원천기술 현황
2. 고부가가치 선박 1) 개요 2) 분석 현황
(1) 가치사슬 현황 (2) 국내·외 주요기업 현황 (3) 단계별 경쟁력 분석
가. 빙해성능 검증 나. 빙해추진시스템 다. 빙해 안전시스템 라. 빙해LNG & Shuttle
마. 고부가가치 선박 설계 및 성능해석 바. 생산 및 건조
사. 단열 및 내열 구조재 (Glass / Insulation) 아. 단열 및 보온성 인테리어 마감재
자. 고효율 A/C Unit 차. 크루즈선 설계 기술 카. 크루즈선 건조 기술
(4) 산업화 전략 (5) 핵심원천기술 현황
3. 해양 에너지/자원 플랜트 1) 개요 2) 분석 현황
(1) 가치사슬 현황 (2) 국내·외 주요기업 현황 (3) 단계별 경쟁력 분석
가. 시추시스템 나. 해저생산시스템
다. URF(Umbilical Riser Flowline/Pipeline) 시스템 라. 해상생산시스템
(4) 산업화 전략 (5) 핵심원천기술 현황
4. 신재생 에너지 Farm 1) 개요 2) 분석 현황
(1) 가치사슬 현황 (2) 기회요인 분석 (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 사업화 육성전략 (5) 핵심원천기술 현황
5. 해양레저선박 1) 개요 2) 분석 현황
(1) 가치사슬 현황 (2) 국내·외 주요기업 현황 (3) 단계별 경쟁력 분석
가. 디자인 나. 고품질 내/외장재 다. 의장/계류설비 라. 생산시스템
(4) 산업화 전략 (5) 핵심원천기술 현황
제Ⅳ장 해양플랜트 산업현황
1. 해양플랜트 산업의 개념 1) 정의 2) 특징 3) 해양플랜트(플랫폼) 종류
(1) 용도별 (2) 고정식 (3) 부유식 4) 해양플랜트의 시장규모
2. 국내?외 플랜트산업 동향
1) 해외 플랜트산업 (1) 해외 플랜트산업의 현황 (2) 플랜트산업의 전망
가. 분야별 전망 나. 지역적 전망 2) 국내 플랜트산업
(1) 분야별 수주 실적 (2) 지역별 수주 실적 (3) 해양플랜트 산업현황 및 문제점
3. 플랜트산업 정책 동향
1) 플랜트산업 관련 정책 2) 플랜트산업 관련 정부R&D사업
4.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 1) 국산 기자재 경쟁력 확대
(1) 기술개발 확대 (2) 시장진출 지원 (3) 외국인 투자유치
2) 전문 엔지니어링 열량 확보
(1) 인력전환(조선→해양플랜트)을 위한 재직자 재교육
(2) 학부 교과과정 개편 유도 (3) 해양플랜트 석?박사 과정 설치
(4) 해양플랜트 기자재 R&D센터 기능 확충
3) 해양플랜트 종합역량 확보 (1) 해저?해상 통합 시스템 개발
(2) 국내?외 보유광구에 적용 (3) 자원보유국과 국제협력 추진
4) 산업생태계 인프라 조성 (1)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발전전략 추진
(2) 중소조선업체 전환 지원 (3) 해외 엔지니어 네트워크 활용
5) 정부 추진정책 (1) 추진방향 (2) 취지 및 배경 (3) 주요 추진대책
가. 국산기자재 경쟁력 확대 나. 전문 엔지니어링 역량 확보
다. 해양플랜트 종합역량 강화 라. 산업생태계 인프라 조성
(4) 기대효과 가. 해양플랜트 기자재산업 활성화 대책

제3편 해양에너지/해양자원개발
제Ⅰ장 해양 신재생에너지산업과 해양녹색기술

1. 해양 신재생에너지산업 1) 개요 2) 개념 및 특성
3) 현황 및 여건 4) 향후 전망
2. 해양녹색기술 1) 해양녹색기술의 개요 2) 해양 녹색기술의 특징과 종류
(1) 특징 (2) 분야별 세부기술 가. 조력발전
나. 파력발전 다. 조류발전 라. 해상풍력 발전
마. 해수 온도차 (OTEC,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발전 및 냉난방
바. 해수 염도차 발전 사. 해조류 양식 3) 해양녹색기술의 문제점
4) 상용화 및 시장잠재력 5) 해양 녹색기술의 상호 보완
제Ⅱ장 해양에너지 개발기술과 해양자원개발
1. 기술의 개요 2. 조력에너지 1) 조력발전
(1) 원리 가. 장점 나. 단점
(2) 조력발전방식의 종류 및 특징
가. 단조지 단류식 나. 단조지 복류식 다. 복조지 연결식 라. 복조지 분리식
2) 조류력발전 (1) 원리 가. 장점 나. 단점 (2) 조류발전 터빈과 특성
3. 파력에너지 1) 원리 (1) 장점 (2) 단점
2) 파도 에너지를 전환하는 3가지 접근 방식
(1) 부유상하유동설비 (2) 고정형 (진동수주형(OWC)) (3) 파도전달집중화설비
3) 국내외 기술특허동향
(1)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2) 국내외 특허(전망)동향 (3) 시사점
4. 해양온도차에너지 1) 원리 2) 해양 온도차 발전 (OTEC)
(1) 장점 (2) 단 점 (3) 원 리 3) 해양심층수개발
5. 국내의 EEZ 해양자원개발 현황 1) EEZ 내 해양자원 현황과 경제적 가치
(1) EEZ 광물자원 조사 현황 (2) 해역별 자원분포 현황
가. 동해 나. 남해 다. 황해
2) EEZ 해양자원 개발을 위한 법 및 제도
(1) 법률 (2) EEZ 해양자원개발계획
3) 세계 주요국과의 EEZ 해양자원개발 협력 현황
(1) EEZ 자원 개발 국외 협력 현황 (2) 해외유전개발 현황 및 정책
제Ⅲ장 국내외 해양에너지 개발정책
1. 해양에너지 개발정책의 의의
2. 국내의 해양에너지 개발정책 1)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2008~2030)
2) 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2009~2030)
3)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전략 (2010) 4) 해양에너지 실용화 기술개발사업 (2001~)
5)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도입
3. 해외 해양에너지 개발정책
1) 세계 각국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정책 개요 2) EU의 「2050 해양에너지 로드맵」
3) 유럽 국가들의 해양에너지 개발정책 4) 미국의 해양에너지 개발정책
제Ⅳ장 해양에너지/자원플랜트 분야기술 특허분석
1. 특허분석 개요 1) 분석대상기술 2) 분석 대상 및 분석 지표
2. 해양에너지/자원플랜트 분야의 동향
1) 해양에너지/자원플랜트분야 특허의 연도별 동향
2) 세부 기술별 특허분포 3) 출원인수 및 특허건수 현황 4) 특허 점유율 및 증가율
3. 특허분석주요결과 4. 결언 1) 마무리 2) 시사점

제4편 해양바이오/해양생명공학
제Ⅰ장 해양바이오시장과 기술개발 동향

1.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기술 분류 2) 범위 및 분류 (1) 분류사례 (2) 적용범위
2. 산업 동향 1) 시장 규모 2) 분류별 산업현황
(1) 해양바이오 제약산업 (2) 해양바이오 에너지산업 (Marine Bioenergy Industry)
가. 미세조류 바이오에너지 나. 해양 세균을 활용한 바이오수소
(3) 해양바이오 신소재 산업 (Marine Biomaterial Industry)
가. 해양 나노복합소재 (Marine Nano Bio-matrial)
나. 해양 바이오플라스틱 (Marine Bio-based Bioplastics)
다. 해양 바이오폴리머 (Marine Biopolymers)
라. 산업??의학용 효소 마. 천연 염료 소재
(4) 해양바이오 건강기능성 식품산업 (Nutraceutical Industry)
(5) 해양바이오 기능성 화장품산업 (Cosmetic Industry)
2) 시장 동향 (1) 국내시장 동향 가. 해양 바이오식품
나. 해양 바이오화장품 다. 해양 바이오의약품 (2) 해외시장 동향
3) 기업 동향 (1) 국내기업 동향 (2) 해외기업 동향 가. 미국 동향 나. 캐나다 동향
다. 노르웨이 동향 라. 일본 동향 마. 해양 바이오화장품 해외기업 동향
3. 기술 동향 및 기술개발 지원 현황
1) 기술 동향 (1) 국내기술 동향 가. 특허현황 분석
나. 논문으로 살펴본 해양 바이오 국내동향 다. 선진국과의 기술수준 비교
(2) 해외기술 동향 가. 미국 나. 유럽(EU)
2) 기술개발 지원 현황 (1) 국내 현황 가. 정부의 정책방향 나. 정부부문의 R&D 투자동향
(2) 해외 현황 가. 미국 나. 유럽(EU) 다. 일본 라. 주요국의 개발동향 4. SWOT 분석
제Ⅱ장 해양바이오 연구개발 활성화 대책
1. 추진 배경 및 경과 1) 추진 배경 2) 추진 경과
2. 해외 각국의 연구 동향 1) 미국 2) 노르웨이 3) 일본 4) 중국
3. 현황 및 시사점 1) 현황 및 문제점 2) 주요 성과
(1) 연구개발 성공 사례 (2) 연구 인프라 구축 사례
4. 추진 계획 1) 비전 및 목표 2) 투자 계획(안) 3) 정책방향 및 추진분야
(1) 글로벌 해양생물자원 확보 가. 해외 해양생물자원 확보 네트워크 구축·운영
나. 대양 생물자원 탐사 프로그램 추진 다. 동해 및 독도 해양생태계 활용방안 강구
라. 쇄빙선을 활용한 극지 탐사 및 원천기술 개발 마. 해양생명자원센터 설치 및 운영
(2) 핵심 연구개발 역량 강화 가. 오믹스 기술을 활용한 해양생명기능 규명
나. 해양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 다. 해양 신 의약 소재 기술개발
라. 해양생물 신품종 기술개발 마. 해양생태계 보전 및 복원 기술개발
(3) 해양바이오 산업화 촉진 가. 해양바이오 기업육성 지원체제 강화
나. 해양바이오 상용화 기술개발 다. 해양바이오 산업성과 확산 및 저변 확대
(4) 해양바이오 연구기반 구축 가. 해양생물자원관 건립 및 표본 확보
나. 해양시료도서관 구축 다. 대형 해양과학연구선 건조 라. 남극대륙 제2기지 건설
5. 분야별 투자계획(안) 총괄
제Ⅲ장 해양바이오에너지/해양화학생물산업의 발전전망
1. 해양바이오에너지 현황과 전망 1) 해양바이오에너지의 의의
2) 해양조류와 기후 변화 3) 해양 바이오매스 (Marine biomass)
4) 해조류의 생산 및 산업적 이용 5) 해조류의 주요기능
(1) 부영양화의 감소 및 산소의 공급 (2) 이산화탄소의 흡수
6) 바이오에너지 (1) 바이오에탄올 (bioethanol) (2) 바이오디젤 (biodiesel)
(3) 바이오메탄 (biomethane) (4) 바이오수소 (biohydrogen)
7)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연구 현황 8) 향후 전망
2. 해양화학생물 산업의 현황과 전망 1) 해양화학생물 산업의 개요
2) 분야별 해양화학생물 산업 (1) 해조다당류 산업
가. 알긴산 (alginic acid) 나. 푸코이단 (fucoidan) 다. 해조다당류 산업의 전망
(2) 해양신소재산업 가. 해양바이오기반 폴리머 나. 해조자동차 소재
다. 해조섬유소재 라. 나노복합소재 마. 해양신소재산업의 전망
(3) 해양바이오연료산업 가. 해양바이오에탄올
나. 해양바이오부탄올 다. 해양바이오디젤 라. 해양바이오연료산업의 전망
(4) 해양제염산업 가. 소금의 종류 및 시장 규모 나. 재조명 받고 있는 국산 천일염
다. 천일염과 미생물 라. 고부가 소금의 개발 마. 해양제염산업의 전망
(5) 해양심층수산업 가. 해양심층수의 정의 및 활용분야 나. 해외 해양심층수 개발 동향 다. 국내 해양심층수 개발 동향 라. 해양심층수산업의 전망 3) 해양생물자원의 개발 전략
제Ⅳ장 생명공학 및 해양생명공학 육성정책
1.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2단계 계획(’12~’16)
1) 추진배경 및 중점 추진 방향 2) 추진전략과 실천과제
2. 미래 생명공학의 발전 전망 1) 생명공학 발전추세
2) 주요국의 정책변화 및 육성동향 3) 미래 생명공학의 발전 전망
3. 생명공학 육성 정책 1) 생명공학 연구개발 지원정책
(1) 개요 (2) 연구개발 지원 체제 가. 법적, 제도적 기반 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다.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3) 주요 연구개발 프로그램
가. 기초과학육성사업 나. 원천기술개발사업 (4) 추진방향 및 발전과제
2) 생명공학산업 육성정책 (1) 생명공학산업화 현황
(2) 생명공학산업 육성을 위한 주요 정책 가. 국가 R&D 투자 효율성 제고
나.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수출산업화 다. 의료기기산업 육성
라. 생명공학전문인력 양성 마. 유전자변형생물체(LMOs)의 대응시스템 구축
바. 바이오화학실용화센터 건립 사. 지역바이오 활성화 기반 구축
(3) 생명공학육성과 지식경제부
3) 생명공학 기초과학진흥 및 인력양성정책 (1) 생명공학분야 기초과학진흥
가. 필요성 나. 정부의 기초과학 진흥 추진 과정
다. 교육과학기술부의 기초과학연구지원 현황 (2) 생명공학 분야 인력 양성
가. 국가전략 분야 인력양성추진 나. 기초연구 분야 인력양성추진
4. 해양생명공학기술 육성정책 1) 해양생명공학기술 육성 추진배경
(1) 해양생명자원의 가치 (2) 해양생명공학산업의 중요성
2) 해양생명공학 국내 주요 육성정책 (1) 해양생명공학 육성 필요성
(2) 해양생명공학기술개발사업의 목적 (3) 육성정책의 주요 내용 3) 향후 추진계획
5. 생명연구자원관리 육성정책
1) 생명연구자원의 전략적 발굴·확보 강화 2) 생명연구자원의 안정적 보존 및 관리
3) 수요자 맞춤형 생명연구자원 활용 극대화 4) 지원체제 강화
6. 해양생명공학 동향과 산업현황
1) 해양생명공학 동향 (1) 해양생명자원의 의의
(2) 해외동향 (3) 국내동향 (4) 투자 계획 및 전망 (5) 발전 과제
2) 해양생명공학 산업현황
(1) 현황 (2) 해외 기업 (3) 국내 기업 (4) 향후 전망
제Ⅴ장 해양생명공학 육성기본계획 ('08~'16)
1. 계획수립 배경 및 범위 1) 계획수립의 배경 2) 계획수립의 목적
3) 해양생명공학기술의 정의와 개념 4) 해양생명공학기술의 범위와 분야
2. 해양생명공학 산업현황 1) 해양생명공학산업 동향
(1) 해외 해양생명공학산업 현황 (2) 해외 해양생명공학 연구현황
2) 국내·외 현황분석 (1) 해외 현황분석
가. 미국 나. EU 다. 노르웨이 라. 일본 마. 중국
(2) 국내 현황분석 가. 국내 해양기술개발 정책
나. 제2차 과학기술기본계획(‘08~’12)의 100대 중점과학기술
다. 국내 해양생명공학 분야별 기술수준 3) 비전 및 목표
4) 육성정책 (1) 7대 육성기본방향 (2) 4대 시스템 선진화 (3) 4대 R&D 전략화
3. 부문별 세부계획 1) 시스템부문 육성실천계획
(1) 미래원천기술의 조기확보 분야
가. 해양생명공학 기초역량의 선진화 추진
나. 해양생명자원 발굴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
다. 해양생명자원을 통한 원천기술 개발 강화
라. 미래유망기술 선점을 위한 학제간 연구활성화
(2) 첨단주력 고부가가치산업 확대 분야
가. 미래융합기술 기반의 신산업 발굴 및 육성
나. 해양생명자원의 산업화 기술 고도화
다. 해양생명공학기업의 경쟁력 제고 및 세계화
라. 해양생명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3) 인프라확충 및 체계 고도화 분야
가. 해양생명자원 확보·종합관리 및 공동활용체계 구축
나. 해양생명공학을 위한 연구시설·장비 기반 강화
다. 해양생명공학 분야 전략적 투자 강화
라. 효율적인 전주기적 R&D 지원체계 고도화
마. 해양생명자원 및 바이오안전성 관련 법·제도 정비
바. 해양생명공학에 대한 과학문화 확산
(4) 국제협력 및 네트워크 강화 분야
가. 해양생명자원 산업화 연계체제 강화
나. 해양생명자원 확보를 위한 국제협력 강화
다. 실질적 국제공동연구의 확대
2) R&D부문 육성실천계획
(1) 해양생물기반기술 분야 가. 기술 개요 나. 국내외 현황
다. 선진국과의 기술 수준 비교 라. 중점육성기술별 추진방안
(2) 해양생물생산기술 분야 가. 기술 개요 나. 국내외 현황
다. 선진국과의 기술 수준 비교 라. 중점육성기술별 추진방안
(3) 해양신소재개발기술 분야 가. 기술 개요 나. 국내외 현황
다. 선진국과의 기술 수준 비교 라. 중점육성기술별 추진방안
(4) 해양생태환경보전기술 분야 가. 기술 개요 나. 국내외 현황
다. 선진국과의 기술 수준 비교 라. 중점육성기술별 추진방안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