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한자 > 한자 시험 대비
· ISBN : 9788994465524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5-05-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책의 구성
일러두기
ㄱ
角[뿔 각]|干[방패 간]|甘[달 감]|車[수레 거(차)]|犬[개 견]·犭[개사슴록변]|見[볼 견·뵐 현]|高[높을 고]|谷[골 곡]|骨[뼈 골]|工[장인 공]|口[입 구]|弓[활 궁]|金[쇠 금·성 김]|己[몸 기]
ㄴ
女[계집 녀]
ㄷ
大[큰 대]|刀[칼 도]·刂[선칼도]|斗[말 두]|豆[콩 두]
ㄹ
力[힘 력]|老[늙을 로]·耂[늙을로엄]|里[마을 리]|立[설 립]
ㅁ
馬[말 마]|麥[보리 맥]|面[낯 면]|毛[터럭 모]|木[나무 목]|目[눈 목]|文[글월 문]|門[문 문]|米[쌀 미]
ㅂ
方[모 방]|白[흰 백]|父[아비 부]|比[견줄 비]|非[아닐 비]|飛[날 비]|鼻[코 비]
ㅅ
士[선비 사]|山[뫼 산]|色[빛 색]|生[날 생]|夕[저녁 석]|石[돌 석]|舌[혀 설]|小[작을 소]|水[물 수]·氵[삼수변]|手[손 수]·扌[재방변]|首[머리 수]|示[보일 시]|食[밥 식(사)]|臣[신하 신]|辛[매울 신]|身[몸 신]|心[마음 심]·忄[심방변]·㣺[밑 마음심]|十[열 십]|氏[성씨 씨]
ㅇ
羊[양 양]|魚[물고기 어]|言[말씀 언]|玉[구슬 옥]·⺩[구슬옥변]|瓦[기와 와]|曰[가로 왈]|用[쓸 용]|又[또 우]|牛[소 우]|雨[비 우]|月[달 월]|酉[닭 유]|肉[고기 육]·月[육달월]|乙[새 을]·⺃[새을 변형자]|音[소리 음]|邑[고을 읍]·阝[우부방]|衣[옷 의]·衤 [옷의변]|二[두 이]|而[말 이을 이]|耳[귀 이]|人[사람 인]·亻[인변]|一[한 일]|日[날 일]|入[들 입]
ㅈ
子[아들 자]|自[스스로 자]|長[긴 장]·镸[긴장 변형자]|赤[붉을 적]|田[밭 전]|鳥[새 조]|足[발 족]·⻊[발족변]|走 [달아날 주]|竹[대 죽]·⺮[대죽머리]|止[그칠 지]|支[지탱할 지]|至[이를 지]|辰[별 진·때 신]
ㅊ
川[내 천]·巛[개미허리]|靑[푸를 청]|寸[마디 촌]|齒[이 치]
ㅌ
土[흙 토]
ㅍ
八[여덟 팔]|貝[조개 패]|片[조각 편]|風[바람 풍]|皮[가죽 피]
ㅎ
行[다닐 행·항렬 항]|香[향기 향]|革[가죽 혁]|血[피 혈]|戶[지게 호]|火[불 화]·灬[연화발]|黃[누를 황]|黑[검을 흑]
독본
획수별로 정리한 부수 일람표
자음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車[수레 거(차)]자는 ‘사람의 힘으로 끄는 수레’를 뜻하는 人力車(인력거)나 ‘사람의 다리 힘을 이용해 스스로 굴러가는 수레’를 뜻하는 自轉車(자전거)에서처럼 사람의 힘으로 움직이는 수레의 뜻으로 쓰일 때는 ‘거’로 읽습니다. 또 ‘말이 끄는 수레’를 뜻하는 馬車(마차)나 ‘스스로 움직이는 수레’를 뜻하는 自動車(자동차)에서처럼 동물이나 동력을 이용해 움직이는 수레의 뜻으로 쓰일 때는 ‘차’로 읽습니다.
力[힘 력]자는 옛날 사람들이 사용했던 간단한 형태의 외날 쟁기를 본뜬 글자입니다. 그런 쟁기로 땅을 일구는 일은 아주 많은 힘이 들기 때문에 쟁기에서 비롯된 力[힘 력]자는 결국 뜻이 ‘힘’이 되었습니다. 사람이 쟁기질을 하는 것은 먹고살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쟁기질은 많은 힘이 들었기 때문에 식구를 부양해야 할 사내가 했습니다. 따라서 ‘사내’를 뜻하는 男[사내 남]자에도 농토를 나타낸 田[밭 전]자에 쟁기를 나타낸 力[힘 력]자가 붙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