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윈도우 프로그래밍
· ISBN : 9788994506654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3-05-22
책 소개
목차
제1장 시작하기 전에
1.1 파워셸을 선택해야만 하는 이유 2
1.2 누구를 위한 책인가? 4
1.3 이 책의 사용법 5
1.4 실습 환경 구축하기 6
1.5 파워셸 설치하기 7
1.6 온라인 리소스 9
1.7 파워셸로 즉시 효과 보기 9
제2장 파워셸과의 첫 만남
2.1 파워셸 버전 선택하기 11
2.2 또 다시 타이핑 연습 시간이다 18
2.3 종종 헷갈리는 점 19
2.4 파워셸 버전 확인하기 20
2.5 실습 문제 21
2.6 추가 학습 22
제3장 도움말 시스템 활용하기
3.1 도움말 시스템: 명령어를 찾는 방법 25
3.2 갱신 가능한 도움말 27
3.3 도움말 확인하기 30
3.4 도움말을 이용해 명령어 찾기 31
3.5 도움말 이해하기 34
3.6 ‘관련 주제’ 도움말 활용하기 42
3.7 온라인 도움말 참조하기 44
3.8 실습 문제 45
제4장 명령어 실행하기
4.1 스트립팅이 아닌 명령어 실행하기 47
4.2 명령어 구조 해부하기 49
4.3 커맨들릿 명명 규칙 50
4.4 알리아스: 명령어의 별명 51
4.5 매개변수 줄여 쓰기 53
4.6 파워셸의 치트 키: Show-Command 57
4.7 외부 명령어 지원 58
4.8 에러 처리 61
4.9 종종 헷갈리는 점 63
4.10 실습 문제 64
제5장 공급자 활용하기
5.1 공급자란 무엇인가? 67
5.2 파일시스템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70
5.3 파일시스템과 다른 데이터 저장소의 비교 72
5.4 파일시스템 탐색하기 73
5.5 와일드카드와 리터럴 패스 사용하기 75
5.6 다른 공급자 사용하기 77
5.7 실습 문제 81
5.8 추가 학습 82
제6장 파이프라인: 명령 연결
6.1 서로 다른 명령 연결하기: 효율적으로 일하기 83
6.2 CSV 파일 또는 XML 파일로 내보내기 84
6.3 파일이나 프린터로 연결하기 90
6.4 HTML로 변환하기 92
6.5 시스템 제어 커맨들릿 사용하기: 프로세스와 서비스 중단하기 93
6.6 종종 헷갈리는 점 95
6.7 실습 문제 97
제7장 명령어 추가하기
7.1 하나의 셸에서 모든 것 다루기 99
7.2 제품에 특화된 ‘관리 셸’ 100
7.3 확장: 스냅인 검색 및 추가하기 101
7.4 확장: 모듈 검색 및 추가하기 104
7.5 명령어 충돌과 확장 삭제하기 107
7.6 새 모듈 활용하기 108
7.7 프로파일 스크립트: 파워셸 시작 시 미리 확장 로드하기 111
7.8 종종 헷갈리는 점 113
7.9 실습 문제 113
제8장 객체: 데이터의 또 다른 이름
8.1 객체란 무엇인가? 115
8.2 파워셸이 객체를 사용하는 이유 117
8.3 객체 검색: Get-Member 119
8.4 객체 특성과 속성 121
8.5 객체의 동작과 메서드 122
8.6 객체 정렬 124
8.7 필요한 속성 선택하기 125
8.8 끝까지 유지되는 객체 126
8.9 종종 헷갈리는 점 129
8.10 실습 문제 129
제9장 파이프라인 더 깊이 파고들기
9.1 파이프라인: 더 적은 타이핑으로 효율적으로 일하기 131
9.2 파이프라인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132
9.3 플랜 A: ByValue를 이용한 파이프라인 입력 133
9.4 플랜 B: ByPropertyName을 이용한 파이프 입력 136
9.5 필요한 속성이 없을 때 사용자 정의 속성 활용 방법 141
9.6 삽입 명령 145
9.7 속성에서 값 추출하기 146
9.8 실습 문제 153
9.9 추가 학습 155
제10장 서식 지정하기 ? 서식은 오른쪽에서 적용된다
10.1 서식: 좀 더 깔끔하게 만들기 157
10.2 기본 서식은 어떻게 적용되는가? 158
10.3 테이블에 서식 적용하기 162
10.4 리스트 서식 만들기 164
10.5 폭 넓은 서식 만들기 165
10.6 사용자 지정 칼럼과 리스트 항목 166
10.7 파일이나 프린터 또는 호스트로 출력하기 169
10.8 또 다른 출력: GridViews 170
10.9 종종 헷갈리는 점 171
10.10 실습 문제 175
10.11 추가 학습 175
제11장 필터링과 비교
11.1 셸에서 필요한 것만 가져오기 177
11.2 좌편향 필터링 178
11.3 비교 연산자 179
11.4 파이프라인에서 객체 필터링하기 182
11.5 반복적 커맨드라인 모델 183
11.6 종종 헷갈리는 점 186
11.7 실습 문제 188
11.8 추가 학습 188
제12장 실용적으로 쉬어 가기
12.1 작업 정의하기 189
12.2 적절한 명령 찾기 190
12.3 명령어 사용법 배우기 193
12.4 자율 학습을 위한 팁 198
12.5 실습 문제 199
제13장 원격 제어: 일대일, 일대다 방식
13.1 원격 파워셸의 배경 사상 202
13.2 WinRM 개요 203
13.3 Enter-PSSession과 Exit-PSSession을 활용한 일대일 리모팅 208
13.4 Invoke-Command를 이용한 일대다 리모팅 211
13.5 원격 명령과 로컬 명령의 차이 214
13.6 잠깐, 끝이 아니다 220
13.7 리모팅 옵션 220
13.8 종종 헷갈리는 점 221
13.9 실습 문제 222
13.10 추가 학습 223
제14장 WMI 사용하기
14.1 WMI 기초 225
14.2 안 좋은 소식 228
14.3 WMI 탐색하기 229
14.4 무기를 선택하라: WMI 또는 CIM 233
14.5 Get-WmiObject 사용하기 234
14.6 Get-CimInstance 사용하기 239
14.7 WMI 문서 240
14.8 종종 헷갈리는 점 240
14.9 실습 문제 241
14.10 추가 학습 242
제15장 백그라운드 작업을 이용한 멀티태스킹
15.1 파워셸로 동시에 여러 일 하기 243
15.2 동기 대 비동기 244
15.3 로컬 작업 만들기 245
15.4 WMI로 작업 실행하기 246
15.5 작업으로 리모팅 실행하기 248
15.6 작업 실행 결과 보기 249
15.7 자식 작업 다루기 253
15.8 작업 관리 명령 255
15.9 예약된 작업 258
15.10 종종 헷갈리는 점 260
15.11 실습 문제 262
제16장 여러 객체를 한 번에 하나씩 다루기
16.1 대량 관리를 위한 자동화 263
16.2 기본적인 방법: 배치(batch) 커맨들릿 264
16.3 WMI를 이용하는 방법: WMI 메서드 호출하기 266
16.4 대안: 객체 열거하기 272
16.5 종종 헷갈리는 점 277
16.6 실습 문제 282
제17장 보안 경고
17.1 파워셸을 안전하게 실행하기 283
17.2 윈도우 파워셸의 보안 목표 284
17.3 실행 정책과 코드 사인 286
17.4 기타 보안 장치 292
17.5 다른 보안 취약점은 없는가? 294
17.6 보안 권고 사항 295
17.7 실습 문제 296
제18장 변수: 뭐든 저장해 보자
18.1 변수란 무엇인가? 297
18.2 변수에 값 저장하기 298
18.3 변수 사용하기: 따옴표를 사용한 재미난 트릭 301
18.4 많은 객체를 변수에 저장하기 304
18.5 큰따옴표를 이용한 더 많은 트릭 310
18.6 변수 타입 선언 312
18.7 변수 제어 명령 316
18.8 변수 사용의 모범적인 사례 317
18.9 종종 헷갈리는 점 317
18.10 실습 문제 318
18.11 추가 학습 318
제19장 입력과 출력
19.1 정보 입력받기와 표시하기 319
19.2 Read-Host 320
19.3 Write-Host 324
19.4 Write-Output 326
19.5 결과를 표시하는 다른 방법 328
19.6 실습 문제 329
19.7 추가 학습 330
제20장 세션 기반의 원격 제어
20.1 파워셸 원격을 조금 쉽게 만들기 331
20.2 재사용 세션을 만들고 사용하기 332
20.3 Enter-PSSession 커맨들릿으로 세션 사용하기 334
20.4 Invoke-Command 커맨들릿으로 세션 사용하기 337
20.5 암시적 원격: 암시적 세션 338
20.6 끈어진 세션 340
20.7 실습 문제 343
20.8 추가 학습 344
제21장 이것을 과연 스크립팅이라고 할 수 있는가?
21.1 프로그래밍이 아닌, 배치 파일에 가까운 스크립트 작성 345
21.2 명령 재사용하기 346
21.3 명령을 매개변수화하기 348
21.4 매개변수화된 스크립트 만들기 349
21.5 스크립트에 도움말 추가하기 351
21.6 하나의 스크립트, 하나의 파이프라인 354
21.7 범위의 개요 357
21.8 실습 문제 360
제22장 매개변수가 있는 스크립트 개선하기
22.1 출발점 361
22.2 파워셸로 어려운 문제 해결하기 363
22.3 필수 매개변수 만들기 364
22.4 매개변수 알리아스 추가하기 367
22.5 매개변수 입력 유효성 검사 368
22.6 친절하고 알기 쉬운 출력 추가하기 370
22.7 실습 문제 372
제23장 고급 리모팅 설정
23.1 다른 종단점 사용하기 373
23.2 사용자 정의 종단점 만들기 375
23.3 멀티홉 리모팅 활성화 380
23.4 리모팅 인증 심층 탐구 381
23.5 실습 문제 384
제24장 정규표현식을 이용한 텍스트 파일 구문 분석
24.1 정규표현식의 목적 386
24.2 정규식 구문의 핵심 386
24.3 -Match 연산자와 정규식 사용하기 388
24.4 Select-String 연산자와 정규식 사용하기 389
24.5 실습 문제 392
24.6 추가 학습 393
제25장 추가 팁, 트릭, 기법들
25.1 프로파일, 프롬프트, 컬러: 셸 커스터마이징 395
25.2 연산자: -as, -is, -replace, -join, -split, -in, -contains 401
25.3 문자열 다루기 405
25.4 날짜 다루기 407
25.5 WMI 날짜 다루기 409
25.6 매개변수 기본 값 설정하기 411
25.7 스크립트 블록 다루기 412
25.8 추가 팁, 트릭, 기법 413
제26장 다른 사용자의 스크립트 사용하기
26.1 스크립트 416
26.2 한 줄씩 따라하기 422
26.3 실습 문제 423
제27장 끝이 아니다
27.1 탐구할 주제에 대한 제언 427
27.2 ‘이 책을 다 학습했어요. 이제 뭘 해야 하죠?’ 428
27.3 추천할 만한 리소스 429
제28장 파워셸 컨닝 페이퍼
28.1 특수문자 431
28.2 도움말 파일 435
28.3 연산자 436
28.4 사용자 지정 속성 및 칼럼 구문 437
28.5 파이프라인 매개변수 입력 438
28.6 $_ 위치 표시자는 언제 사용할 수 있나? 439
부록 A 복습 문제
A.1 복습 문제 1: 1-6장 441
A.2 복습 문제 2: 1-14장 445
A.3 복습 문제 3: 1-19장 448
찾아보기 450
책속에서
설치된 파워셸의 파일 대부분은 1.0이라 이름 붙여진 디렉터리 안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 중인 파워셸의 버전을 알아내기란 그리 쉽지 않다. 파워셸 v3에서는 버전을 쉽게 확인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공한다.
파워셸 공급자(혹은 PSProvider)는 일종의 변환기(adapter)이다. 공급자는 일종의 데이터 저장소를 디스크 드라이브처럼 변환해 준다. 아래와 같이 셸에서 시스템에 설치된 공급자 목록을 볼 수 있다.
이제 여러분은 기본 서식의 지정 방법과 대부분의 Out- 커맨들릿이 자동으로 서식 시스템을 호출하여 필요한 서식 명령을 얻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음은 서식 시스템을 직접 제어하고 사용자 지정 서식을 사용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