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컴퓨터 공학 > 소프트웨어 공학
· ISBN : 9791185890111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17-11-09
책 소개
목차
PART I 설계 모델 1
CHAPTER 1 설계 질문 3
CHAPTER 2 엔지니어의 설계 사상 ― 래셔널 모델 15
CHAPTER 3 이 모델의 문제는 무엇인가? 23
CHAPTER 4 요구 사항, 죄악, 그리고 계약 45
CHAPTER 5 더 나은 설계 절차 모델은 무엇인가? 59
PART II 협업과 원격 협업 71
CHAPTER 6 협업 설계 73
CHAPTER 7 원격 협업 103
PART III 설계의 관점들 119
CHAPTER 8 설계에서의 이성주의와 경험주의의 대결 121
CHAPTER 9 사용자 모델 ― 모호한 것보다는 틀린 것이 낫다 131
CHAPTER 10 미터, 킬로그램, 비트, 자금 ― 제한된 자원 139
CHAPTER 11 제약 조건은 설계자의 편이다 149
CHAPTER 12 기술적 설계의 미학과 양식 163
CHAPTER 13 설계 모범 사례 181
CHAPTER 14 노련한 설계자들이 저지르는 실수 199
CHAPTER 15 설계의 분리 209
CHAPTER 16 설계의 궤적과 원리 설명하기(샤리프 라자크와의 협업) 219
PART IV 주택 설계를 위한 컴퓨터 과학자의 이상적인 시스템 241
CHAPTER 17 주택 설계를 위한 컴퓨터 과학자의 이상적인 시스템 ― 마음에서 컴퓨터로 243
CHAPTER 18 주택 설계를 위한 컴퓨터 과학자의 이상적인 시스템 ― 컴퓨터에서 마음으로 263
PART V 위대한 설계자들 275
CHAPTER 19 훌륭한 설계는 위대한 설계자로부터 나온다(훌륭한 설계 프로세스가 훌륭한 설계를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니다) 277
CHAPTER 20 위대한 설계자는 어디에서 오는가? 291
PART VI 설계 영역으로의 여행: 사례 연구 309
CHAPTER 21 사례 연구: 해변가 주택 “View/360” 311
CHAPTER 22 사례 연구: 주택 날개동 추가 333
CHAPTER 23 사례 연구: 주방 리모델링 353
CHAPTER 24 사례 연구: System/360 아키텍처 371
CHAPTER 25 사례 연구: IBM Operating System/360 393
CHAPTER 26 사례 연구: 《컴퓨터 아키텍처(Computer Architecture)》 책 설계 ― 개념과 진화 411
CHAPTER 27 사례 연구: 공동 컴퓨터 센터 조직 ― 세 개 대학 합동 컴퓨터 센터 421
CHAPTER 28 추천하는 읽을거리 435
대화 및 인터뷰, 리뷰 명단 440
참고문헌 443
찾아보기 456
리뷰
책속에서
생각해보면, 대다수의 사례 연구에는 놀라울 정도로 공통된 속성이 있다. 누가 했던 간에 가장 과감한 설계 의사 결정이 결과물의 성과에 있어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감한 의사 결정은 때로는 비전에 의해, 때로는 절망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한 결정들은 언제나 훨씬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 아래 추가의 투자를 필요로 하는 도박이었다.
첫 번째로, 위대한 설계에는 개념적 무결성, 즉 통일성, 경제성, 명확성이 존재한다. 그것들은 비트루비우스(Vitruvius)가 처음 설파한 것처럼 제대로 동작할 뿐만 아니라 즐거움(delight)까지 제공한다.8 우리는 교량이나 소나타, 회로, 자전거, 컴퓨터, 그리고 아이폰 등에 대해 말할 때 우아함(elegant), 깔끔함(clean), 아름다움(beautiful) 같은 단어를 사용하곤 한다. 설계 개념을 실체로 인식하게 되면 우리가 만든 설계에서 개념적 무결성을 찾을 수 있고, 팀 설계의 개념적 무결성을 위해 함께 일할 수도 있으며, 이를 우리의 후배들에게 가르칠 수도 있게 된다.
나는 나선형 모델을 수용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강력하게 믿는다. 나는 나선이 명시적인 계약 시점에서 멈추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리고 그 계약 시점에는 어떤 것이 계약될 수 있는지, 어느 정도의 확실성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명시적인 리스크의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가 포함되어야 한다. 위험 관리(Risk Management)가 보엠(Boehm)의 이후 작업의 중심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