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학습법
· ISBN : 9788994781563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9-02-2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아홉 색깔 무지개를 찾아라
-품사 이야기
《마중물1》_14
1. 명사_21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2. 대명사_24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3. 수사_27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4. 동사_30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5. 형용사_33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마중물2》_36
6. 관형사_38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7. 부사_42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8. 감탄사_46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9. 조사_49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마중물1》_56
1. 기본형_61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2. 어미_66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마중물2》_70
3. 종결 어말어미_74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2 엄마는 요술쟁이
-어미의 전설
3 낱말의 씨앗을 뿌려라
-형태소와 낱말
《마중물1》_82
1. 형태소_90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2. 낱말의 짜임_94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마중물2》_97
3. 어근과 접사_105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마중물1》_112
1. 활용_118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2. 연결어미(활용)_122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3. 전성어말어미(활용)_126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마중물2》_130
4. 선어말 어미(활용)_134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5. 규칙 활용_138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6. 불규칙 활용_142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4 변장술에 빠지다
-동사, 형용사의 활용
《마중물1》_148
1. 문장과 어절_152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2. 문장성분_156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3. 주어부, 서술부_160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마중물2》_164
4. 낱말 나무, 문장 집_171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5. 홑문장과 겹문장_175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5 낱말 나무로 집을 지어볼까
-문장의 탄생
《마중물1》 _182
1. 음운 _187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2. 음절 _192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3. 음운과 음절_196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4. 음운의 변동_200
① 음절의 끝소리규칙 _200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② 자음동화 _204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③ 모음조화 _208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마중물2》 _212
5. 음운의 탈락 _216
① 자음탈락 _216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② 모음탈락 _218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6. 음운의 축약_222
① 자음축약 _222
• 바탕 다지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① 모음축약 _222
• 바탕 다지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6 말소리의 규칙이 울퉁불퉁
-음운과 음절
7. 사잇소리 현상_226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8. 구개음화_230
• 바탕 다지기
9. 두음법칙_231
• 바탕 다지기
10. 된소리되기_232
• 바탕 다지기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7 문장이 줄 맞추어 소풍을 가네
-맞춤법과 띄어쓰기
《마중물1》 _238
1. 맞춤법 _245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2. 띄어쓰기 _249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마중물2》 _253
3. 띄어쓰기 집중연습 _259
• 바탕 다지기 • 실력 돋보기
• 해마루 톡톡 • 기본 연습
• 실력다짐
8 정 답 과 해설 _264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영 : 국어 문제는 정답이 없는 것 같아요. 희미해요. 정답이 잘 안 보여요. 보면 이것도 정답 같고 저것도 정답 같고... 그래서 국어는 정답이 희미해서 답을 맞히기가 어렵고 공부하기도 어려워요.
해마루 : 하하하 그래? 영영이 국어 공부의 핵심을 콕 찔렀네. 맞아, 정말 그래. 국어는 공부하기가 쉽지 않아. 수학처럼 ‘더하기 빼기’ 하는 것도 아니고 구구단 같은 공식도 없고 말이야. 국어는 무엇을 공부해야 할지 모르지.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말이야.
단단 : (큰소리로) 저는 국어를 정말 하나도 모르겠어요. 겉만 말짱하지, 속은 텅 빈 깡통이에요.
해마루 : 하하하 단단아, 표현이 아주 재미있구나. ‘텅 빈 깡통’이라니? 비유가 아주 좋아. 비유 표현은 천재의 특성이라는데, 너 혹시 천재 아니니? 우리는 하늘나라 사람들이 다 천재가 아닐까 생각하고 있거든.
단단 : 선생님, 저를 놀리시는 거예요. 저는 정말 하나도 몰라요. 몰라서 그래요. 다른 건 그만두고 ‘국어’는 정말 제 머릿속이 빈 깡통이란 말이에요.
영영 : 호호호 그건 나도 그래. 나도 정말 우리말 ‘국어’를 전혀 모르거든. -중략-
1. 어미는 ‘어말 어미’의 준말이에요.
- 어말어미를 줄여서 보통 ‘어미’라고 표현해요.
(보기) 먹고 = 먹(어간) + 고(어미)
= 먹(어간) + 고(어말어미)
2. ‘어말어미’ 공부가 국어 문법 기초 공부에서 가장 중요해요.
- ‘어말어미’의 종류 3가지
(종결 어미, 연결 어미, 전성 어미)
- 어간에 종결 어미가 붙으면 문장이 종결되고
어간에 연결 어미가 붙으면 문장이 연결되고
어간에 전성 어미가 붙으면 낱말의 성격이 바뀌게(전성) 됨
※ 여기서는 ‘종결 어미’만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연결어미’와 ‘전성어미’는 다음 단원 4. 변 장술에 빠지다에서 배우기로 할게요. 복잡하고 까다로워서 한꺼번에 하면 뒤죽박죽 머리가 막 아프거든요. -중략-
《기본 연습》
분절음운 낱말만 있는 문장은 ( )에 ‘분’을, 비분절음운의 낱말이 있으면 ‘비’를 쓰세요.
1. 옛날에는 말을 타고 달렸다. ( )
2. 햇볕이 강하니 발을 치면 좋겠다. ( )
3. 가을에는 밤이 토실토실 익어간다. ( )
4. 내 눈으로 꼭 확인하고 싶구나. ( )
5. 양봉은 벌을 키우는 것이다. ( )
6. 겨울은 시베리아 추위가 몰려온다. ( )
7. 그 둘은 한 형제처럼 사이가 좋다. ( )
8. 선생님께 혼나고 벌을 받았지. ( )
9. 창수는 발이 참 넓어 아는 사람도 많다. ( )
10. 산에도 들에도 눈이 내린다. ( )
《실력다짐》
가. □에 알맞은 말을 쓰세요.
1. 말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를 □□이라고 한다.
2. 우리말의 기본 음운에서 □□은 19개다.
3. 우리말의 기본 음운에서 모음은 □개다.
4. 기본 자음은 처음 ‘ㄱ’에서부터 마지막 □까지 14개이다.
5. 된소리 자음은 ‘ㄲ’을 비롯해서 모두 □개이다.
6. 순 우리말로 자음은 ‘닿소리’라고 하고 모음은 □□□라고 한다.
7. 모음은 모두 울림소리이고 자음 중에서 울림소리는 □□□□4개뿐이다.
8. 말소리의 길고 짧음으로도 뜻이 달라지므로 이것을 □□□음운이라고 한다.
9. 분절음운에는 □□과 모음이 있다.
10. 우리말의 기본 음운은 자음과 모음을 합쳐서 모두 □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