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각영화

시각영화

(20세기 미국 아방가르드)

아담스 시트니 (지은이), 박동현, 손광주, 허기정, 김계중 (옮긴이)
평사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각영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각영화 (20세기 미국 아방가르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연극/영화
· ISBN : 9788995556115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05-04-08

책 소개

1943년에서 2000년까지 미국 작가주의 영화들을 다룬 영화 역사서. 할리우드 상업영화가 지닌 흔한 '이야기 구조'가 없는, 미국 영화산업의 시스템 밖에 존재하며 필름이라는 매체가 가진 고유의 감수성을 탐구하는, '인식'을 자극하는 예술을 만들어 내는 실험 영화를 소개한다. '몽환trance'이라는 맥락하에서 영화들을 분석하고 있다.

목차

1장. 오후의 올가미
2장. 의례와 자연
3장. 요약된 시편
4장. 점성술
5장. 몽환에서 신화로

6장. 서정영화
7장. 주요 신화영화들
8장. 순수 애니메이션
9장. 그래픽 영화 : 유럽적인 경향
10장. 묵시영화와 악한영화

11장. 되찾은 순수
12장. 구조영화
13장. 70년대
14장. 20세기 후반

옮긴이 후기
주석
색인

저자소개

아담스 시트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시각예술(Visual Art)과 교수. 영화사학자. 1960년대, Film Culture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미국 독립영화의 대표적인 논객으로 자리를 잡았다. 1969년 영화예술의 보관.연구.상영을 할 수 있는 최초의 공간인 앤솔리지 필름 아카이브의 설립을 주도하였다. 40여 년 동안 '시각예술'로서 영화의 역사를 강의해 왔고,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시각예술과 교수로 있다. 지은책으로 영화와 모더니스트 미학의 핵심 쟁점을 다룬 <Modernist Montage: The Obscurity of Vision in Literature and Cinema>(1990), <Vital Crises in Italian Cinema: Iconography/Stylistics/Politics>(1995), <Film Culture Reader>(2000) 등이, 편저로 <The Avant-Garde Film: A Reader of Theory and Criticism(1987)>이 있다.
펼치기
박동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시카고예술대학 영화학과에서 M.F.A.을 받았다. 2005년 현재 영상원과 계원예대, 단국대, 서강대 등에서 '실험영화'를 강의하고 있으며, Diagonal Film Achive 대표와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의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다. 작품으로는 '무제', '회', '살의' 등이 있다.
펼치기
손광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주생활학과를 졸업하고 포항공대 컴퓨터공학과에서 석사를 마쳤으며, 시카고 예술대학 영화학과에서 M.F.A.을 받았다. 작품으로 '단속평형', '제3언어' 등이 있다.
펼치기
허기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시카고 예술대학 영화학과에서 M.F.A.을 받았다. 2005년 현재 호서대와 대진대, 서경대 등에 출강중이다. 작품으로 'Lullaby', 'Taipei-Duree', '첫 번째 외출을 다루는 두 번째 장' 등이 있다.
펼치기
김계중 (옮긴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 금속공학과를 다니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 예술대학 Film/Video과에서 M.F.A.를 받았다. 2005년 현재 건국대, 동아방송대, 평택대 등에 출강중이고, Diagonal Film Archive와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의 프로그래머로 활동중이다. 작품으로는 'Masturbating Machine/Music Video#6', 'The Beauty of Sacrifice', '해성프로젝트'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발견의 도구로서 '내 악마형제의 기도'의 촬영을 묘사함으로서, 관객은 앵거를 가공품의 주요한 현실로서 제작 과정을 표현하는 모더니스트적인 원칙을 지녔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 영화를 보면서 관객은 영화가 완성될 때까지 영화가 어떤 내용이 될지, 작가조치 몰랐을 것이라고 느낀다.

당연히 발견의 요소는 모든 영화제작과 예술작업에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설이 작품의 가장 중요한 양상이 되었을 때, 이는 예술가의 목적이 된다. 앵거는 '내 악마형제의 기도'를 통해 그 목적에 도달했다. - 본문 153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