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문법
· ISBN : 9788995696095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8-02-25
책 소개
목차
Unit __ 1 that절
01 문장구성요소와 수식어 16
02 that절의 구성과 기능 20
03 that절의 이해 원리 24
04 무한정 길어질 수 있는 that절 28
05 that이 생략된 that절 30
Practice 32
Explanation 36
Unit __ 2 접속사절
01 접속사절의 구성과 기능 40
02 접속사절의 위치 47
03 접속사절의 이해원리 48
04 무한정 길어질 수 있는 접속사절 50
05 that절과 접속사절 52
06 접속사절에서 주어와 be동사 생략 54
Practice 56
Explanation 60
Unit __ 3 관계대명사절
01 관계대명사절의 구성과 기능 66
02 관계대명사 whom 70
03 관계대명사절 이해 원리 71
04 관계대명사 that 74
05 관계대명사가 생략된 관계대명사절 77
06 소유격 관계대명사절 80
07 전치사와 관계대명사 82
08 선행사 포함하는 관계대명사 what절 84
09 계속적용법의 관계대명사절 87
Practice 89
Explanation 93
Unit __ 4 관계부사절
01 관계부사절의 구성과 기능 100
02 관계부사절의 이해원리 103
03 관계부사가 생략된 관계부사절 105
04 관계부사 that 107
05 관계부사절의 선행사 생략 109
06 관계대명사절과 관계부사절 111
07 관계부사의 계속적 용법 113
Practice 115
Explanation 118
Unit __ 5 의문사절
01 의문사절의 구성과 기능 124
02 의문사절의 이해 원리 130
03 whether(if) 의문사절 133
04 의문사구 139
05 관계사절과 의문사절 140
06 의문사 위치 전환 143
Practice 144
Explanation 147
Unit __ 6 전치사구
01 전치사구의 구성과 기능 152
02 전치사와 부사 156
03 자주 사용되는 전치사 157
04 두 개 이상의 단어로 된 전치사 161
05 전치사가 취하는 명사의 수식 163
06 전치사가 취하는 명사구와 명사절 166
07 전치사구의 이해 원리 167
08 목적보어를 취하는 전치사 with 169
Practice 171
Explanation 175
Unit __ 7 부정사구
01 부정사구의 구성과 기능 182
02 부정사의 이해 원리 189
03 부정사구의 의미상 주어 196
04 원형부정사구 199
Practice 202
Explanation 206
Unit __ 8 동사원형+ing구
01 ‘동사원형+ing구’의 구성과 기능 214
02 ‘동사원형+ing구’ 이해 원리 221
03 ‘동사원형+ing구’의 의미상 주어 227
04 being 이 생략된 현재분사구 230
Practice 232
Explanation 234
Unit __ 9 과거분사구
01 과거분사구의 구성과 기능 242
02 과거분사구의 이해 원리 247
03 동사의 과거형과 과거분사 251
04 과거분사구의 의미상 주어 254
05 현재분사구와 과거분사구 256
Practice 259
Explanation 262
Unit __ 10 특수구문
01 도치 268
02 생략 272
03 나열 275
04 It is ~ that 강조 278
05 특수 부사절 280
06 동격 282
07 that부사절 284
08 유도부사 there 287
09 상관구문 289
Practice 293
Explanation 297
Unit __ 11 문장구성요소 및 수식어
01 문장구성요소 304
Practice 319
Explanation 322
02 수식어 327
Practice 330
Explanation 333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어문장이 문장 5형식을 벗어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무한정 길어지는 이유는 이처럼 주어, 목적어, 보어가 ‘절’ 또는 ‘구’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긴 영어문장을 앞으로 가면서 바로 읽고 듣기 위해서는 ‘절’ 또는 ‘구’로 만들어진 주어, 목적어 또는 보어가 어디부터 시작되는지 그 ‘시작’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that절은 that으로 시작된다.
that절은 명사절로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될 수 있으므로, that은 주어, 목적어 또는 보어의 시작을 의미한다.
앞서 만들어본 예문들을 다시 나열해 보자.
[ 1 ] It is true that he is kind.
[ 2 ] I know that he is kind.
[ 3 ] She tells me that he is kind.
[ 4 ] Her opinion is that he is kind.
[ 1 ] It is true [ that - - - - - ].
위 문장에서 that은 주어의 시작을 알린다. 문장이 it으로 시작되면 대명사(‘그것’)일 수도 있지만 가주어일 가능성에 항상 대비해야 한다. 가주어는 앞서도 말한 것처럼 긴 진짜 주어를 뒤로 빼기 위해서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가주어는 긴 진짜 주어가 뒤에 나올 것을 미리 기대할 수 있게 해 준다. 그와 같이, 가주어를 보고 진주어를 기대하고 있어야 that을 주어의 시작으로 바로 볼 수 있다.-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