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우주/해양/조선 기타공학
· ISBN : 9788995699065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09-09-01
목차
1장. 일반 사항
1절. 개요
2절. 국제표준대기(ISA)
2.1 표준대기모형
2.1.1 온도모형
2.1.2 기압모형
2.1.3 밀도모형
2.2 국제표준대기(ISA) 도표
3절. 고도측정 원리
3.1 일반
3.2 정의
3.3 고도계 설정과 온도의 영향
3.3.1 고도계 설정 수정
3.3.2 온도 수정
4절. 운항 속도
4.1 수정대기속도(CAS)
4.2 지시대기속도(IAS)
4.3 진대기속도(TAS)
4.4 대지속도(GS)
4.5 마하수(Mach Number)
4.6 진대기속도 변화
5절. 비행 역학
2장. 항공기 운용 한계
1절. 비행 한계(Flight Limitations)
1.1 제한 하중배수(Limit Load Factors)
1.2 최대 속도(Maximum Speeds)
1.3 최소 속도(Minimum Soeeds)
1.3.1 지상 최소조종속도(VMCG)
1.3.2 공중 최소조종속도(VMCA)
1.3.3 접근 및 착륙시의 최소조종속도(VMCL)
1.3.4 최소부양속도(VMU)
1.3.5 실속 속도
2절. 구조제한 최대중량
2.1 항공기 중량 정의
2.2 구조제한 최대이륙중량(MTOW)
2.3 구조제한 최대착륙중량(MLDW)
2.4 구조제한 최대무연료중량(MZFW)
2.5 구조제한 최대활주중량(MTW)
3절. 구조제한 최소중량
4절. 운항 환경 범위
5절. 엔진운용한계
3장. 이륙(Takeoff)
1절. 개요
2절. 이륙속도(Takeoff Speeds)
2.1 운항 이륙속도
2.1.1 엔진고장속도(VEF)
2.1.2 결심속도(V1)
2.1.3 전환속도(VR)
2.1.4 부양속도(VLOF)
2.1.5 이륙상승속도 (V2)
2.2. 이륙속도 한계
2.2.1 최대 브레이크 에너지 속도(VMBE)
2.2.2 최대 타이어 속도(VTIRE)
2.3 속도 요약
3절. 활주로 제한(Runway Limitations)
3.1 이륙거리(Takeoff Distances)
3.1.1 규정적 배경
3.1.2 이륙거리(TOD)
3.1.3 이륙활주(TOR)
3.1.4 가속정지거리(ASD)
3.1.5 가속진행/정지 거리에 미치는 V1의 영향
3.2 유효이륙거리(Available Takeoff Lengths)
3.2.1 유효이륙활주거리(TORA)
3.2.2 유효이륙거리(TODA)
3.2.3 유효가속정지거리(ASDA)
3.2.4 활주로 정대에 의한 활주로길이 감소
3.2.5 활주로제한 이륙중량에 미치는 V1의 영향
4절. 상승 및 장애물 제한(Climb & Obstacle Limitations)
4.1 이륙비행경로(Takeoff Flight Path)
4.1.1 정의
4.1.2 이륙구간 및 상승 요건
4.1.3 최소 및 최대 가속 높이
4.1.4 이륙선회절차
4.2 장애물 통과(Obstacle Clearance)
4.2.1 Gross/Net 이륙비행경로
4.2.2 직선이륙시 장애물 통과
4.2.3 선회시 장애물 통과
4.2.4 선회시 상승경사 감소
4.2.5 장애물이 있는 이륙비행경로
4.2.6 이륙 통로(takeoff funnel)
5절. 기타 요소
5.1 바람
5.2 기압고도
5.2.1 항공역학적 효과
5.2.2 엔진에 대한 효과
5.2.3 요약
5.3 온도
5.3.1 항공역학적 효과
5.3.2 엔진에 대한 효과
5.3.3 요약
5.4 활주로 경사
5.5 활주로 상태(Dry, Damp, Wet, Contaminated)
5.5.1 정의
5.5.2 성능에의 효과
5.5.3 항공기 제작회사 자료
5.5.4 Wet / Contaminated 활주로에서의 이륙성능
6절. 최대이륙중량 결정
6.1 속도최적화 과정
6.2 이륙분석차트(RTOW Chart)
7절. Flexible / Derated 이륙
7.1 Flexible 이륙
7.1.1 정의
7.1.2 Flexible 이륙 및 활주로 상태
7.1.3 Flexible 온도 결정
7.1.4 Flexible 이륙 절차
7.2 Derated 이륙
7.2.1 정의
7.2.2 Derated 추력시 최소조종속도
7.2.3 Derated 이륙 및 활주로 상태
7.2.4 Derated 이륙 절차
4장. 항로상 운용 한계(Enroute Limitations)
1절. 항로상 고장 사례
2절. 엔진 고장
2.1 일반적 정의
2.1.1 Drift Down 절차
2.1.2 Gross and Net Drift Down 비행경로
2.1.3 이륙교체공항
2.2 비행중 장애물통과 - 엔진 한 개 고장시
2.2.1 횡적 통과
2.2.2 종적 통과
2.2.3 회항 비행장
2.3 쌍발 항공기
2.3.1 60분 법칙
2.4 4발 항공기
2.4.1 90분 법칙
2.4.2 장애물 통과 - 엔진 두 개 고장시
2.4.3 회항 비행장 - 엔진 두 개 고장시
3절. 비행중 객실여압 고장
3.1.1 Oxygen System
3.1.2 Passenger Oxygen Requirement
3.1.3 Flight Profile
3.1.4 최소비행고도
3.1.5 장애물 통과 - 객실여압 고장
4절. 항로 검토
5. 착륙(Landing)
1절. 개요
2절. 유효착륙거리(LDA)
2.1 착륙경로 상 장애물이 없는 경우
2.2 착륙경로 상 장애물이 있는 경우
3절. 착륙 성능(Landing Performance)
3.1 착륙 속도
3.1.1 Lowest Selectable Speed: VLS
3.1.2 Final Approach Speed: VAPP
3.1.3 Reference Speed: VREF
3.2 실제 착륙거리(ALD)
3.2.1 수동 착륙
3.2.1 자동 착륙
3.3 착륙복행 성능 요건
3.3.1 접근 상승
3.3.2 착륙 상승
3.4 외부 변수 영향
3.4.1 기압 고도
3.4.2 온도
3.4.3 활주로 경사
3.4.4 활주로 상태
3.4.5 항공기 형태
4절. 비행허가 요건
4.1 필요착륙거리(RLD)
4.1.1 RLD Dry Runway
4.1.2 RLD Wet Runway
4.1.3 RLD Contaminated Runway
4.1.4 RLD with Automatic Landing(Dry)
4.2 착륙복행 요건
4.2.1 정상 접근
4.2.2 CAT II or CAT III 접근
5절. 비행중 요건
5.1 비행중 고장
5.2 중량초과 착륙 요건
5.3 연료투하(Fuel Jettison) 조건
제6장. 순항(Cruise)
1절. 일반사항
1.1 개요
1.2 비항속거리
2절. 속도 최적화(Speed Optimization)
2.1 전엔진 작동시 순항속도
2.1.1 Maximum Range Mach Number(MMR)
2.1.2 Long-Range Cruise Mach(MLRC)
2.1.3 Economic Mach Number(MECON)
2.1.4 Constant Mach Number
3절. 고도 최적화(Altitude Optimization)
3.1 최적순항고도
3.1.1 일정 마하수에서
3.1.2 바람 영향
3.2 최대순항고도
3.2.1 일정 고도에서 제한 마하수
3.2.1 최대순항고도
3.3 비행중 기동 한계
3.3.1 양력 범위
3.3.2 운항 기동 한계
3.4 순항 최적화: 단계 상승(Step Climb)
4절. FCOM 순항 도표
제 7장. 상승(Climb)
1절. 비행 역학
1.1 정의
1.2 상승 공식
1.2.1 상승각
1.2.2 상승률
1.2.3 속도 극곡선(Speed Polar)
1.3 영향을 미치는 변수
1.3.1 고도 효과
1.3.2 온도 효과
1.3.3 중량 효과
1.3.4 바람 효과
2절. 상승 운항
2.1 상승 운영
2.1.1 추력 설정
2.1.2 에너지 공유
2.1.3 상승 고도 한계
2.2 상승 속도
2.2.1 일정 IAS/Mach 법칙에서의 상승
2.2.2 최대상승경사 상승
2.2.3 최대상승율 상승
2.2.4 최소비용 상승
2.3 FCOM 상승 도표
2.4 객실고도 상승
제 8장. 강하 및 체공(Descent & Holding)
1절. 비행 역학
1.1 정의
1.2 강하 공식
1.2.1 강하각
1.2.2 강하률
1.2.3 속도 극선(Speed Polar)
1.3 영향을 미치는 변수
1.3.1 고도 효과
1.3.2 온도 효과
1.3.3 중량 효과
1.3.4 바람 효과
2절. 강하 운항
2.1 추력 설정
2.2 강하 속도
2.2.1 일정 IAS/Mach 법칙에서의 강하
2.2.2 최소상승각 강하 (Drift Down)
2.2.3 최소상승율 강하
2.2.4 최소비용 강하
2.2.5 비상 강하
2.3 FCOM 강하 도표
2.4 객실고도 강하
제 9장. 연료계획 및 관리
1절. FAR - 연료계획 및 관리
1.1 운항 형태
1.2 연료 정책
1.2.1 국내선 운항
1.2.2 국적기 및 보조 운항
1.2.3 고립공항 절차
1.2.4 교체공항 선정이 필요없는 공항
1.2.5 Redispatch 절차
1.2.6 ETOPS 절차
1.3 연료 관리
1.3.1 착륙공항에서의 최소연료
2절. JAR - 연료계획 및 관리
2.1 연료 정책
1.2.1 표준 비행계획
1.2.2 고립공항 절차
1.2.3 교체공항 선정이 필요없는 공항
1.2.4 Decision Point 절차
1.2.5 사전지정지점 절차
1.2.6 ETOPS 절차
2.2 연료 관리
2.2.1 착륙공항에서의 최소연료
2.2.2 목적공항에서의 최소연료
부록 : 영문 약어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