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창의적사고/두뇌계발
· ISBN : 9788995954287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5-03-0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대한민국 최초의 리모트 뷰잉 서적을 펴내며 - 김세환
PART 1
리모트 뷰잉이란
리모트 뷰잉이란 무엇인가
리모트 뷰잉은 가능하다
리모트 뷰잉의 역사
리모트 뷰잉의 역사
역사 속 리모트 뷰잉 실전 사례
걸프전 종결 및 사담 후세인 관련 리모트 뷰잉
추락한 미군 헬기 리모트 뷰잉
리모트 뷰잉의 종류
리모트 뷰잉의 종류
PSI Tech의 TRV / 에드 데임즈의 HRV
ERV / 데이비드 모어하우스의 리모트 뷰잉
클레어보이언스와 리모트 뷰잉
한국형 리모트 뷰잉
대한민국 리모트 뷰잉의 역사
한국형 리모트 뷰잉
한국형 리모트 뷰잉의 등장 배경
한국인과 미국인의 특징 / 한국인의 빠른 두뇌회전
한국형 리모트 뷰잉을 완성하기까지
리모트 뷰잉 Q&A
어떻게 리모트 뷰잉이 동작할까요?
리모트 뷰잉 스킬을 배우는 데 얼마나 걸릴까요?
제가 리모트 뷰잉을 배우는 데 적합할까요?
지속적으로 연습을 해야 할까요?
제가 경험한 신비한 체험, 이것도 리모트 뷰잉입니까?
리모트 뷰잉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리모트 뷰잉을 통해 제 적성을 찾을 수 있을까요?
PART 2
리모트 뷰잉 실전 준비
리모트 뷰잉 용어 설명
세션 Session / 타깃 Target / TRN Target Reference Number
스테이지 Stage / 육체적 고통지수
이데오그램 Ideogram / 이데오그램 움직임 Ideogram Movement
이데오그램 느낌 Ideogram Sensation
Sensory Perception Data / Dimension Perception Data
AI Aesthetic Impression, EI Emotional Impression
M Material, I Idea / 선입관 AOL, Analytical Overload
AOL/M Matching / AOL/T Target
시점 변경 Changing The Viewpoint
요약 분석 Summary & Analysis
리모트 뷰잉 실전
리모트 뷰잉의 진행
Stage 1
Stage 2
Stage 3
Stage 4
시점 변경
종료 / 휴식
요약 분석
리모트 뷰잉의 실전 예시
실험쥐 / 독수리상 / 송편 / 파라솔 / 성당 종탑 합성사진 / 산
리모트 뷰잉의 일상적 사례들
반려견 찾기
리모트 뷰잉과 동시현현
RV 카페 회원분들의 체험 사례
다이어트
적성 찾기
PART 3
리모트 뷰잉의 확장
리모트 뷰잉의 고급 기법
타임라인 Time-Line
지오그래픽 로케이션 Geographic Location
릴레이셔널 다이어그램 Relational Diagram
마인드 프로브 Mind Probe
리모트 인플루언스 Remote Influence
메디컬 리모트 뷰잉 Medical Remote Viewing
리모트 뷰잉의 실전 핵심 포인트
슬럼프 대처법
리모트 뷰잉 연습 권장량
리모트 뷰잉 고수가 되기 위한 방법
에필로그
아는 것과 행하는 것 - 보조작가 조현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리모트 뷰잉을 직역하면 '원격 투시'가 되기 때문에 사람들은 리모트 뷰잉 도중에 뭔가 '보인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리모트 뷰잉은 무엇인가를 '보는' 것보다는 오히려 '느낀다'라는 표현에 가깝다. 왜냐하면 리모트 뷰잉은 고도의 직관적 지각 능력을 통해 받은 정보를 오감을 통해 해석하기 때문이다. 즉, 리모트 뷰잉은 대상을 '보는 것'이 아닌 '느끼고 기술하는 것'이다.
이후 이들은 지구 밖 어딘가를 리모트 뷰잉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 이에 목성을 리모트 뷰잉한 잉고 스완은, 리모트 뷰잉의 결과로 목성 주위에 고리가 하나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때만 해도 목성에는 고리가 없다는 것이 과학계의 정설이었기 때문에, CIA는 다시 한 번 리모트 뷰잉의 능력에 대해 회의를 가지게 된다. 또 푸소프는 잉고 스완이 토성을 목성으로 잘못 포착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하였다. 그러나 1979년 보이저 1호가 목성을 지나면서 고리를 발견했고, 잉고 스완의 리모트 뷰잉이 정확했음이 증명되었다.
리모트 뷰잉은 미국에서 태동했다. 때문에 리모트 뷰잉의 프로토콜은 당연히 미국인에게 맞추어져 있었다. 기밀 프로젝트의 특성상, 그들은 타국인들에게는 리모트 뷰잉을 가르치지 않았고, 타국인에 대해 고려조차 하지 않았다. 그래서 리모트 뷰잉이 누구나 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양인들과는 다른 사고체계를 가지고 있는 동양인들에게는 사용상 어려움이 있었다.
실제로 한국에 리모트 뷰잉을 보급하면서, 우리는 한국인 수강생이 겪는 공통적인 어려움을 발견했다. 또 오랫동안 리모트 뷰잉의 강의를 진행해오면서 많은 분들을 관찰한 결과, 한국인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어려움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래서 기존의 리모트 뷰잉이 어떤 면에서는 한국인에게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했다. 그것은 리모트 뷰잉 프로토콜의 한계가 아니라, 한국인과 미국인의 차이였다. 그래서 우리는 그동안 이 문제에 대해 고심하다가 한국인이 좀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한국형 리모트 뷰잉 프로토콜'을 개발해야겠다고 결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