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리눅스/유닉스 프로그래밍
· ISBN : 9788996376071
· 쪽수 : 442쪽
· 출판일 : 2017-07-20
책 소개
목차
Chapter 1 네트워크 티밍
1.1 네트워크 티밍(teaming) 소개
1. 개념
2. 러너(runner)
3. 티밍(teaming)과 본딩(bonding)
1.2 네트워크 티밍 구성
1. 사전 구성
2. nmcli (Network Manger Command Line Interface)
3. nmtui
4. nm-connection-editor
5. 설정파일
1.3 네트워크 티밍 관리
1. 상태확인
2. 포트 인터페이스 관리
3. 팀 구성 설정
1.4 네트워크 티밍 마이그레이션
Chapter 2 리눅스 보안 -SELinux
2.1 SELinux 소개
1. 접근 제어 모델
2. SELinux 동작 원리
3. semanage 도구
2.2 SELinux 모드
1. SELinux 모드 종류
2. SELinux 모드 설정
3. SELinux 설정 파일
2.3 SELinux 컨텍스트(SELinux Context)
1. 컨텍스트(Context) 소개
2. 컨텍스트(Context) 변경
2.4 SELinux 부울(SELinux Boolean)
1. 부울의 개념
2. 부울의 확인
3. 부울의 설정
2.5 SELinux 포트 레이블(SELinux Port Label)
1. 포트 레이블 개념
2. 포트 레이블 확인
3. 포트 레이블 설정
2.6 SELinux 문제 해결
1. 문제 해결 순서
2. 문제 해결 방법
Chapter 3 DNS 서버
3.1 DNS 소개
3.2 DNS 동작 방식
1. DNS 구조
2. DNS 레코드
3. DNS 조회 방법
3.3 DNS 서버 구성
1. BIND 설치
2. BIND 구성
3. 영역(Zone) 구성
3.4 DNS 서버 관리
1. 영역 전송(Zone Transfer)
2. RNDC(Remote Name Daemon Control)
3.5 캐시 전용 DNS 서버
1. unbound 설치
2. unbound 설정 수정
3. 서비스 동작, 활성화 및 방화벽 설정
4. 동작 확인
5. unbound 관리 명령
Chapter 4 DHCP 서버
4.1 DHCP 소개
1. DHCP 역할
2. DHCP 동작방식
4.2 DHCP 서버 구성
1. dhcp 패키지 설치
2. 고정 IP 주소 설정
3. dhcpd.conf 설정 파일 수정
4. 서비스 활성화 및 방화벽 구성
5. 동작 및 상태 확인
4.3 DHCP 서버 관리
1. DNS 설정 파일 수정
2. 키(Key) 생성
3. DNS 역방향 조회영역 생성
4. dhcpd.conf 설정 수정
5. 동적 업데이트 동작 확인
Chapter 5 LDAP 기반리눅스 시스템인증 관리 - FreeIPA
5.1 FreeIPA 개요
1. 디렉토리 서비스(Directory Service)
2.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3. 커버로스(Kerberos)
5.2 FreeIPA 서버 구성 및 관리
1. FreeIPA 서버 구성
2. FreeIPA 서버 관리
5.3 FreeIPA 클라이언트 연결
1. ipa-client-install 명령
2. FreeIPA 서버에 연결
3. ipa 사용자 확인
5.4 커버로스 키탭(keytab) 파일 생성
1. 키탭 파일 생성
2. 키탭 파일 확인
Chapter 6 FTP 서버
6.1 FTP(File Transfer Protocol) 소개
1. 개요
2. 특징
3. 연결 포트
4. 동작 모드
5. 보안
6.2 vsftp 구성 및 관리
1. 개요
2. 구성
3. 관리
4. SELinux 설정
Chapter 7 NFS 스토리지
7.1 NFS 소개
1. NFS 소개
2. NFSv3
3. NFSv4
7.2 NFS 서버 구성
1. export 파일 작성
2. NFS 서비스 실행 및 방화벽 설정
7.3 NFS 클라이언트 연결
1. 수동 마운트
2. 자동 마운트
Chapter 8 SBM 스토리지
8.1 SMB 스토리지 소개
1. SMB와 CIFS
2. 삼바(Samba)
8.2 SMB 스토리지 구성
1. /etc/samba/smb.conf 파일
2. 삼바 서버 설정
8.3 SMB 클라이언트 연결
1. 수동 마운트
2. 다중 사용자 마운트
3. 자동 마운트
Chapter 9 iSCSI 블록 스토리지
9.1 iSCSI 소개
1. 스토리지(Storage) 구성
2. 블록 스토리지
3. iSCSI 용어설명
9.2 iSCSI 타겟 설정
1. 도구 설치 및 실행
2. backstore 생성
3. iSCSI 연결 설정
4. 제거 및 종료
5. 방화벽 설정
9.3 iSCSI 초기자
1. 도구 설치
2. iqn 설정
3. 서비스 활성화
4. 연결
5. 장치 사용
Chapter 10 Apache 웹 서버
10.1 웹의 이해
10.2 웹 서버 구성
1. httpd 설치
2. httpd 설정
3. 사용자 페이지 생성 및 테스트
10.3 가상 호스트 구성
1. 이름 기반 가상 호스트 (Name-Base Virtual Host)
2. IP 기반 가상 호스트 (IP-Based Virtual Host)
3. 포트 기반 가상 호스트 (Port-Based Virtual Host)
4. _default_ 가상 호스트
5. 가상 호스트 디렉토리 설정
10.4 HTTPS 구성
1. 암호화와 인증서
2. HTTPS 동작방식
3. HTTPS 전송을 위한 서버 구성
10.5 동적 웹 콘텐츠 구성예제
1. CGI
2. PHP
3. Python
Chapter 1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MariaDB
11.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소개
2. MySQL과 MariaDB
3. MySQL과 MariaDB의 데이터베이스 구성
11.2 데이터베이스 설치
1. MySQL 설치
2. MariaDB 설치
11.3 데이터베이스 설정
1. MariaDB 기본 보안 설정
2. MariaDB 로컬 및 원격 구성
3. MariaDB 설정 파일
11.4 데이터베이스 관리
1. 데이터 정의 언어 (DDL)
2. 데이터 조작 언어(DML)
3. 데이터 제어 언어 (DCL)
4. 데이터베이스 백업 및 복원
Appendix A 오라클데이터베이스 설치
A.1 사전 준비 사항
1. 패키지 설치
2. 커널 파라미터(kernel parameter) 수정
3. 사용자 설정
A.2 다운로드
1. 사용자 로그인
2. 다운로드
A.3 설치
1. 설치파일 실행
2. 추가 설정
A.4 리스너(Listener) 설정
1. 설정 방식 결정
2. 작업선택
3. 이름 설정
4. 프로토콜을 선택
5. 포트설정
6. 설정완료
7. 동작 확인
A.5 데이터베이스 생성
1. 동작선택
2. 생성 방식
3. 템플릿 선택
4. 이름 설정
5. 추가 옵션 설정
6. 인증관리
7. 리스너 설정
8. 스토리지 설정
9. 구성 옵션
10. 파라미터 설정
11. 생성 옵션
12. 생성 시작
13. 생성 완료
14. 추가 설정
Appendix B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B.1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개요
1. PostgreSQL 이란?
2. 역사
B.2 PostgreSQL 설치 및 설정
1. 패키지 설치
2. PostgreSQL 설정
B.3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관리
1. 사용자 설정
2. 데이터베이스 연결
3. 데이터베이스 관리
Appendix C 와일드플라이(Wildfly) 설치
C.1 와일드플라이(Wildfly) 개요
1. 와일드플라이란?
2. 역사
C.2 다운로드 및 설치
1. 설치 방식
2. 다운로드
3. 설치
C.3 시작 및 사용자설정
1. 실행파일
2. 독립 실행형 서버동작
3. 사용자 설정
C.4 어플리케이션 배포하기
1. 배포 설정
2. 배포 확인
Appendix D GlusterFS 설치
D.1 Gluster 스토리지 개요
D.2 Gluster 서버 구성
1. 패키지 설치
2. TSP 구성
3. 브릭 생성
4. 볼륨 생성
D.3 Gluster 클라이언트 설정
Appdndix E 메일서버 구성
E.1 메일 서버 개요
1. postfix 서버
2. dovecot 서버
3. DNS 서버
E.2 메일 서버 구성
1. postfix 설정
2. dovecot 구성
3. 사용자 설정
E.3 메일 전송 테스트
1. 로컬테스트
2.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테스트
3. 메일 클라이언트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