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음악으로 하는 유아 창의교육 : 생활주제 - 전2권

우리음악으로 하는 유아 창의교육 : 생활주제 - 전2권 (책 2권 + 음악 CD 3장 + 영상 DVD 2장 + Teaching DVD 2장 + 브로마이드 21장 + 북렛 1권)

국악놀이연구소 (지은이)
예술놀이터
16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음악으로 하는 유아 창의교육 : 생활주제 - 전2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음악으로 하는 유아 창의교육 : 생활주제 - 전2권 (책 2권 + 음악 CD 3장 + 영상 DVD 2장 + Teaching DVD 2장 + 브로마이드 21장 + 북렛 1권) 
· 분류 : 국내도서 > 유아 > 유아 교양/학습 > 유아 문화/예술 > 음악
· ISBN : 9788996894216
· 쪽수 : 604쪽
· 출판일 : 2012-10-05

책 소개

우리음악을 바탕으로 연간 교육프로그램을 수업 시나리오 형식으로 제시한 복합 도서. 모든 프로그램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놀이를 통해 유아들의 창의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목차

00. 우리음악으로 하는 유아 창의교육이란?
1.우리음악으로 하는 유아 창의교육이란?
01. 유치원(어린이집)과 친구
1.손을 잡고 놀자
2.너 어디 사니?
3.동무동무 일천동무
4.멍멍이와 오리
5.이름을 지어주는 소고
6.약속을 만들어요
02. 나와 가족
1.내 몸의 별명을 지어요
2.나는 소중해!
3.우리 할머니
4.엄마 닭과 병아리
5.이쁘고 타령
6.땅콩이 한 집에 두 알씩
7.우리는 붕어빵 가족
03. 우리 동네
1.어디만큼 왔니?
2.청개구리마을의 공공기관
3.고마운 이웃
4.동그랑땡
5.품앗이
6.우리 동네를 소개합니다!
04. 동식물과 자연
1.너는 누구니?
2.애벌레
3.호랑장군
4.새소리타령
5.우리 강아지, 우리 고양이
6.풀노래
7.가자 가자 감나무
8.솔방울
9.대나무와 대나무소리통
05. 건강과 안전
1.덩덕쿵체조
2.바르게 씻어요
3.정리대장
4.보리방귀
5.우리는 골고루 먹어요!
6.한 줄로 야야야!
06. 생활도구
1.망치와 친구들
2.아침 방아 찧어라
3.가마솥에 누룽지
4.주방난타
5.전기놀이
07. 교통기관
1.사람의 힘을 이용한 교통수단, 가마
2.동물을 이용한 교통수단, 말
3.여러 가지 자동차
4.기찻길로 다녀요, 기차
5.배
6.나는 비행기
7.우선 멈춰!
08. 우리나라
1.장구는 내 친구
2.딱지
3.우리나라 전래놀이
4.우리나라 옷 한복
5.할머니 김치
6.가나다라랄랄랄라
09. 세계 여러 나라
1.우리는 달라요
2.세계 인사놀이
3.꼬꼬닭의 세계 여행
4.피자빵과 빈대떡의 맛 대 맛
5.너 알고 있니? 세계 문화유산!
6.세계 여러 나라의 씨름
10. 환경과 생활
1.청청 맑아라
2.흙놀이
3.아기 두더지의 땅속 여행
4.바람은 어디서 오나
5.재활용악단
6.지구가 아파 아파
11. 봄여름가을겨울
1.봄이 왔네 봄이 왔어
2.봄꽃노래
3.아가와 노랑나비
4.소풍 갑니다
5.여름엔 비가 많이 내려
6.맴메롱
7.수박타령
8.해야 해야
9.나뭇잎이 불켰다
10.메뚜기들의 가을 운동회
11.왕도토리
12.후여 딱딱 새야
13.춥대장
14.겨울잠
15.연날리기
16.눈이 온다 펑펑
12. 특별한 날
1.단오
2.추석
3.추석에 하는 민속놀이 강강술래
4.동지
5.설날
6.설날의 민속놀이 윷놀이
7.설날의 민속놀이 널뛰기
8.정월대보름

저자소개

국악놀이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과정중심의 음악행위, 놀이로서의 국악’을 지향하는 국악강사와 예술가 및 이론가들이 모여 2000년에 창립했다. 창립 이후 국악놀이 이론과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고, 이를 공연, 음반, 영상, 도서 등의 콘텐츠로 제작하여 보급하고 있다. 특히, 아이들의 성장에 놀이가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우리놀이씨’ 시리즈를 개발 중이다. ‘우리놀이’는 ‘전통놀이 혹은 전통놀이 바탕을 두고 만들어진 놀이로, 놀이자들의 생활감정과 놀이 형편에 맞는 놀이‘를 말한다. ’놀이씨‘는 아이들의 놀이문화가 사라져 가고 있기 때문에 ’새롭게 놀이 씨앗을 뿌리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우리놀이씨‘ 첫 번째 프로젝트가 바로 『이야기실뜨기』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 문화를 활용한 일자리 창출, 우리음악으로 하는 유아 창의교육 지도사!
현재 세계 여러 나라는 베이비붐 세대의 정년은퇴라는 사회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세대별 은퇴가 시간에 따른 당연한 결과겠지만 베이비붐 세대라는 명칭에서 보듯이 그 규모가 크다는 점에서 만만치 않은 사회적 충격이 예상된다.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의 큰 문제는 퇴직 후의 삶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노후대책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저성장 시대로 인한 심각한 청년실업 등의 사회경제적 불안은 퇴직 후의 베이비붐 세대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거나 창업이라는 꿈을 실현하기 쉽지 않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결국 고령화 시대가 안고 있는 심각한 노인문제로 이어질 것이 자명하다.
이런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정부에서는 다양한 정책을 준비하고 있고, 민간단체와 연계하여 여러 가지 공익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이 중에서 정년은퇴를 했거나 앞두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와 그 위 세대를 대상으로 한 고령자 및 노인 일자리 창출사업의 좋은 사례로 함께일하는재단이 주관했던 <어르신 전통문화지도사 양성 및 파견사업>를 소개하려 한다.

이 사업은 삼성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을 받아 2005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와 한국시니어클럽협회가 함께한 대표적인 노인 일자리 사업으로, 5년간 총 725명의 전통문화지도사를 양성하고 약 49만 명의 아동들에게 전통문화교육을 제공하였다. 이 사업의 참가자들 중 일부는 현재도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등에서 전통문화지도사로 활동하고 있다.
이 사업에서 어르신들의 교육을 담당했던 국악놀이연구소는 사업이 끝난 뒤에도 재교육이나 교육정보를 제공하는 등 자체적으로 지원을 계속하고 있다. 특히 전통문화지도사인 어르신들이 비슷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젊은 예술강사들에게 뒤지지 않도록 전문성을 강화시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로 <우리음악으로 하는 유아 창의교육 지도사>로의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어르신 전통문화지도사뿐만 아니라 젊은 예술강사들도 대체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특기교육 등에 치우쳐 있어 강사로의 활동에 한계가 있다.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유아교육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유아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 바탕을 둔 교육프로그램의 구성이 필요하다. 그래서 국악놀이연구소에서는 이러한 필요를 반영한 “우리음악으로 하는 유아 창의교육”이라는 교재를 만들었고, 이 교재를 기반으로 전문지도사 과정의 개설을 준비하고 있다.

정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공공근로사업의 경우 중장년 실직자가 새롭게 전문성을 갖출 수 있는 일이 아니라 일반 노동이나 단순 업무에 치우쳐 있어 일시적인 효과밖에 없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반면 <어르신 전통문화지도사 양성 및 파견사업>은 참가자의 노력 여부에 따라 자신만의 전문영역을 갖추고 꾸준히 활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령자 일자리 문제의 장기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원사업의 경우 지원이 끝나면 거의 사업이 종료되고 마는데 이 사업의 경우에는 어르신 참가자와 민간기관인 국악놀이연구소 등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사업효과가 지속되고 있다. 또 사업이 종료되던 시점인 2009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이와 유사한 사업으로 <아름다운 이야기 할머니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사업은 재미있으면서 교훈이 되는 옛이야기를 발굴하여 이야기 교재를 만들고, 이 이야기들을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어르신을 양성하는 사업으로 현재까지 4기에 걸쳐 진행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함께일하는재단이 주관하고 국악놀이연구소에서 교육을 담당했던 <어르신 전통문화지도사 양성 및 파견사업>은 중장년 퇴직 고령자 및 노인 일자리사업의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