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치과학 > 치과학 일반
· ISBN : 9788997113408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16-12-10
목차
서문 …………………………………………………………………………………………………………………… 2
편저자 약력 , 저자 목록 ……………………………………………………………………………………………… 4
접착치료를 생각한다 ……………………………………………………………………………………………… 10
제1부 기초 편(Basic Theory Edition)
Basic Theory Edition 1 / 접착에 대해 생각한다(Noboru Yasuda) …………………………………………………… 16
Ⅰ. 급할수록 돌아가라…16 / Ⅱ. 접착이란 무엇인가…16
Basic Theory Edition 2 / 각각의 접착 대상에 어떤 힘으로 붙어 있는가(Noboru Yasuda) ……………………… 18
Ⅰ. 접착력에는 2가지가 있다…18 / Ⅱ. 접착 대상 표면에 젖어 굳는다(화학적 결합)…18
Ⅲ. 비집고 들어가 굳는다(기계적 결합)…20 / Ⅳ. 복합레진의 처리…20
Basic Theory Edition 3 / 접착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접착처리 ~접착 대상은 5가지가 있다(Noboru Yasuda)~ 22
Ⅰ. 법랑질에 대한 접착…22 / Ⅱ. 상아질과 백악질에 대한 접착…22 / Ⅲ. 비귀금속 합금에 대한 접착…24
Ⅳ. 귀금속 합금에 대한 접착…25 / Ⅴ. 세라믹?경질레진?복합레진에 대한 접착…25 / Ⅵ. 이제는 3가지만으로 가능하게 되었다…25
Basic Theory Edition 4 / 우식이라는 질환을 다시 생각한다(Noboru Yasuda) …………………………………… 26
Ⅰ. 수복물은 영구적인 것이 아니다…26 / Ⅱ. 상아질 우식은 낫지 않는다 -상처 치유의 개념- …27
Ⅲ. 상아질 우식을 상피성 치유로 이끌기 위해서는…27
Basic Theory Edition 5 / 치과치료에서 접착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Yoshiyuki Toyama) …………………… 30
Ⅰ. 만약 접착이 없었으면…30 / Ⅱ. 임상에서 접착의 역할…30 / Ⅲ. 접착이란 접착 대상에 레진을 붙이는 것…31
Basic Theory Edition 6 / 유치의 접착치료는 가능한가(Takayuki Toyama)………………………………………… 32
Ⅰ. 유치에 대한 접착…32 / Ⅱ. 유치와 영구치의 차이…32 / Ⅲ. 소아 치과에서 배려할 점…33
Basic Theory Edition 7 / 능숙하게 이전 수복물을 제거하는 방법(Toru Nikaido) ………………………………… 34
Ⅰ. 제거하는 이전 수복물에 대한 기구의 선택…34 / Ⅱ. Metal inlay의 제거…34 / Ⅲ. Metal 크라운의 제거…36
Ⅳ. 경질레진 facing 크라운 및 PFM의 제거…37 / Ⅴ. Metal post 제거의 기본 원칙…37
Basic Theory Edition 8 / 재료의 보관과 취급 그리고 광조사기의 확인 ~사용 기한이 지난 재료는 사용하지 않는다~
(Naotake Akimoto) ………………………………………………………………………… 38
Ⅰ. 원인은 재료 또는 기자재에 있을지도 모른다…38 / Ⅱ. 재료의 보관 방법 및 사용 기한의 확인…38 / Ⅲ. 광조사기의 확인…41
접착치료 1부.indd 5 2016. 11. 29. 오후 2:04
6
Basic Theory Edition 9 / 치관용 경질레진과 복합레진은 다른 것인가(Noboru Yasuda) ………………………… 42
Ⅰ. 색조에 문제가 있을 때 사용하는 치관용 경질레진…42 / Ⅱ. 치관용 레진의 진보 과정…43
Basic Theory Edition 10 / 금속용 primer는 바를수록 효과가 없어진다 ~몇번이나 바르지 않으면 불안하게 되지만?
(Noboru Yasuda) …………………………………………………………………………… 44
Ⅰ. 수복재의 표면 처리도 ‘급할수록 돌아가라’…44 / Ⅱ. 금속용 primer의 종류와 사용법…44
Ⅲ. 금속용 primer는 너무 도포하지 않는다 -Simple is best- …46
제2부 직접법 편(Direct Filling Edition)
Direct Filling Edition 1 / 접착의 가능성과 범위를 이미지하는 우식의 진단(Naotake Akimoto) ………………… 48
Ⅰ. 넓은 범위의 우식은 접착 수복을 할 수 없는가…48 / Ⅱ. 우식 와동의 깊이와 치수 증상은 관계없다…49
Ⅲ. 감염 치질의 제거가 포인트…49
Direct Filling Edition 2 / 마취를 사용하지 않는 우식 처치 ~삭제의 기준과 우식 상아질을 구별하는 방법~ (Toru Nikaido)52
Ⅰ. 우식 상아질에 대한 접근…52 / Ⅱ. 남겨진 우식과 접착에 미치는 영향…52 / Ⅲ. 국소마취를 사용하지 않는 삭제의 기준…52
Ⅳ. 우식 상아질의 딱딱함, 습기, 색 변화…53 / Ⅴ. 우식 검지액을 이용해 우식 상아질을 구별하는 방법…54
Direct Filling Edition 3 / 접착을 위한 와동 형성 ~유리 법랑질을 남길지, 제거할지~ (Naotake Akimoto) ………… 56
Ⅰ. 지금까지의 와동 형성…56 / Ⅱ. 유리 법랑질의 보존과 삭제…57 / Ⅲ. 구치 수복을 위한 와동을 형성할 때의 주의점…59
Direct Filling Edition 4 / 접착 시스템에서 본 bonding agent의 종류 ~자가 부식 시스템의 능숙한 취급~ (Keiichi Hosaka) 60
Ⅰ. 접착 시스템의 3가지 역할…60 / Ⅱ. 자가 부식 시스템의 공통적인 취급…60
Ⅲ. 2단계 자가 부식 시스템을 최대로 활용하는 포인트…61
Direct Filling Edition 5 / 복합레진 충전 전의 치면 청소는 어떻게 할까(Naotake Akimoto) …………………… 62
Ⅰ. 와동 형성 후의 치면 청소…62 / Ⅱ. 오염된 와동의 청소…64
Direct Filling Edition 6 / 자가 부식 시스템은 어떻게 가능한가 ~2단계 시스템의 장점은 무엇인가~ (Naotake Akimoto) 66
Ⅰ. 완전 부식 시스템에서 자가 부식 시스템으로…66 / Ⅱ. 법랑질 부식에서 완전 부식 그리고 자가 부식으로…68
Ⅲ. 자가 부식 시스템 -2단계에서 1단계로- …71
Direct Filling Edition 7 / 1단계 bonding 시스템(1 bottle bonding agent)의 특징과 올바른 사용 방법(Keiichi Hosaka) 72
Ⅰ. 1단계 bonding 시스템의 특징…72 / Ⅱ. Air blow의 문제점…72 / Ⅲ. 실패하지 않는 취급 방법…72
Ⅳ. 제품의 구체적인 취급 방법…73 / Ⅴ. 정리…75
CONTENTS
접착치료 1부.indd 6 2016. 11. 29. 오후 2:04
7
Direct Filling Edition 8 / 접착 수복에 rubber dam은 필수인가(Naotake Akimoto)……………………………… 76
Ⅰ. 왜 rubber dam이 필요하게 되었는가…76 / Ⅱ. 접착 수복에서 rubber dam의 필요성을 생각한다…76
Ⅲ. Rubber dam이 잘 되지 않는 경우…78
Direct Filling Edition 9 / 복합레진의 개발 개념과 성질을 이해하자(Tomohiro Takagaki)………………………… 80
Ⅰ. 이상적인 복합레진이란…80 / Ⅱ. 점조도에 따른 분류…80 / Ⅲ. 필러 배합의 관점에서 본 분류(moldable 레진)…81
Ⅳ. 유기질 복합 필러 하이브리드 레진…81 / Ⅴ. 무기 필러 하이브리드 레진…82
Direct Filling Edition 10 / Bonding agent와 복합레진의 결합에서 성질이 일치하는지를 생각한다(Toru Nikaido)…86
Ⅰ. 결합에 제약은 없다…86 / Ⅱ. Bonding agent층에 광조사를 시행한다…86 / Ⅲ. Flowable 레진의 사용…86
Direct Filling Edition 11 / 복합레진 수복을 성공으로 이끄는 도구 ~Matrix와 충전기에 대해?(Naotake Akimoto) 88
Ⅰ. 수복 성공을 위한 삭제기구…88 / Ⅱ. Matrix와 충전기…89 / Ⅲ. 연마 기구…93
Direct Filling Edition 12 / 구치 인접면 수복에서 sectional matrix의 장착 방법(Naotake Akimoto) ………… 94
Ⅰ. Sectional matrix…94 / Ⅱ. Sectional matrix 장착의 주의점…94
Ⅲ. 각종 와동 형성과 sectional matrix 시스템의 비교(모형)…95
Direct Filling Edition 13 / 구치부 우식치료는 직접법이 좋은가 간접법이 좋은가(Toru Nikaido) ………………… 98
Ⅰ. 우선 직접법을 검토한다…98 / Ⅱ. 복합레진 수복인가 metal inlay 수복인가…99
Direct Filling Edition 14 / 적층 충전(layering technique)과 심미 수복의 기본(Tomohiro Takagaki) ………… 102
Ⅰ. 치아의 색조 재현은 명도나 투명성을 우선한다…102 / Ⅱ. 법랑질의 광학적 성질…102 / Ⅲ. 상아질의 광학적 성질…103
Ⅳ. 복합레진의 색조 선택…104 / Ⅴ. 적층 충전을 위한 사전 준비 -법랑질 margin에 대한 배려- …105 / Ⅵ. Ⅱ급 와동의 적층 충전…105
Direct Filling Edition 15 / 파절된 Inlay의 repair와 이차우식에 대한 대응은 어떻게 할 것인가(Toru Nikaido) … 108
Ⅰ. 접착 대상 종류에 따른 접착 순서…108 / Ⅱ. 접착 대상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109
Direct Filling Edition 16 / 상아질 지각과민처치에 접착은 효과가 있는가(Naotake Akimoto) …………………… 112
Ⅰ. 접착을 이용한 지각과민처치…112 / Ⅱ. 치아의 지각 메커니즘…112 / Ⅲ. 지각과민처치제와 한계…115
Direct Filling Edition 17 / 깊은 와동에서 어떻게 lining 할 것인가(Naotake Akimoto) …………………………… 116
Ⅰ. 복합레진 충전의 lining…116 / Ⅱ. 충전 후 통증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117 / Ⅲ. 지표는 우식 검지액…119
Direct Filling Edition 18 / 간접복수와 직접복수에 접착은 효과가 있는가(Naotake Akimoto) …………………… 120
Ⅰ. 간접복수와 직접복수…120 / Ⅱ. 목적은 상아세관의 봉쇄…121 / Ⅲ. 접착을 이용한 직접복수의 순서…122
Ⅳ. 접착을 이용한 직접복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 것이 좋은가…123
접착치료 1부.indd 7 2016. 11. 29. 오후 2:04
8
Direct Filling Edition 19 / 근관충전에 접착제를 응용할 때의 주의점(Masaki Hayashi) …………………………… 124
Ⅰ. 접착성 레진 sealer의 필요성…124 / Ⅱ. Super-Bond 근관충전용 sealer(SBS)의 특성…124
Ⅲ. Super-Bond 근관충전용 sealer(SBS)를 사용하기 위한 근관 형성의 포인트…125
Ⅳ. Super-Bond 근관충전용 sealer(SBS)를 사용한 근관충전의 포인트…126
Ⅴ. 근관충전에 실패하면 SBS는 1시간 이내에 제거한다…127
Direct Filling Edition 20 / 직접법 복합레진 브리지의 중장기적 평가를 고찰한다(Toru Nikaido) ………………… 128
Ⅰ. 한 개 치아 결손에 대한 선택사항…128 / Ⅱ. 직접법 복합레진 브리지의 임상 순서…128
Ⅲ. 임상에서 직접법 복합레진 브리지로 어디까지 가능한가…130
제3부 간접법 편(Indirect Method Edition)
Indirect Method Edition 1 / 접착성 레진 시멘트의 종류(Yoshiyuki Toyama) ………………………………………136
Ⅰ. 접착성 레진 시멘트의 분류…136 /Ⅱ. 2가지 그룹의 차이…136 / Ⅲ. 접착성 레진 시멘트의 모델 체인지(model change)…137
Indirect Method Edition 2 / Metal inlay를 복합레진 inlay나 세라믹 inlay로 교환할 때의 와동 형성법과
레진 코팅(Toru Nikaido) …………………………………………………………………138
Ⅰ. 복합레진 inlay와 세라믹 inlay의 와동 형성…138 / Ⅱ. 수복재료는 세라믹이 좋은가 복합레진이 좋은가…139
Ⅲ. 레진 코팅을 이용한 상아질의 보호…140 / Ⅳ. Metal inlay에서 복합레진 inlay 수복으로…142
Indirect Method Edition 3 / 인상채득, 가봉, 가착할 때 주의해야 할 점(Yoshiyuki Toyama) …………………… 144
Ⅰ. 인상채득할 때 주의할 점…144 / Ⅱ. 임시 보철물 제작과 연성 레진 가봉재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144
Ⅲ. 가착 시멘트와 가봉재…145
Indirect Method Edition 4 / 실패하지 않는 Super-Bond, Panavia F2.0의 사용법(Yoshiyuki Toyama)……… 146
Ⅰ. 접착제의 종류…146 / Ⅱ. Super-Bond의 단점과 대처법…146 / Ⅲ. Panavia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150
Ⅳ. Super-Bond와 Panavia의 사용 구분…151
Indirect Method Edition 5 / 접착을 방해하지 않는 근관치료(Toru Nikaido) ……………………………………… 152
Ⅰ. 무수치에 대한 접착치료의 의의…152 / Ⅱ. 근관치료 약재가 접착에 미치는 영향…152
Ⅲ. 복합레진을 이용한 수복…155 / Ⅳ. 복합레진 core…156
Indirect Method Edition 6 / 지대 축조의 역할과 접착 ~Fiber post의 적응증을 생각한다?(Yushi Tsubota) …… 158
Ⅰ. 지대 축조의 목적…158 / Ⅱ. 지대 축조 후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대응…158
Ⅲ. Fiber post의 적응증과 접착할 때 주의할 점…161
Indirect Method Edition 7 / 근관 post 형성은 긴 것이 좋은가 짧은 것이 좋은가(Yoshiyuki Toyama) ………162
Ⅰ. 무엇을 중요시해야 할 것인가…162 / Ⅱ. 치근 부분에 꼭 무언가를 넣어야 하는가…162 / Ⅲ. Post의 길이…164
Ⅳ. Resin core의 장점…165 / Ⅴ. Fiber core…165 / Ⅵ. Metal core를 이용하면 치근이 파절되는가…167
CONTENTS
접착치료 1부.indd 8 2016. 11. 29. 오후 2:04
9
Indirect Method Edition 8 / 기공소에서 시행하는 수복물의 내면 처리 ~기공 지시서에 어떻게 쓸 것인가?
(Yoshiyuki Toyama) …………………………………………………………………… 170
Ⅰ. 수복물의 재질…170 / Ⅱ. 금속의 내면 처리…170 / Ⅲ. ‘알루미나를 사용한 sandblast'라고 기공 지시서에 쓴다…172
Ⅳ. 세라믹의 내면 처리…173 / Ⅴ. 경질레진 계열 재료의 내면 처리…173
Indirect Method Edition 9 / 접착성 레진 시멘트의 효과를 방해하는 인자(Yoshiyuki Toyama) ………………… 174
Ⅰ. 접착 방해 인자란…174 / Ⅱ. 접착 방해 인자의 제거…177
Indirect Method Edition 10 / 산화지르코늄을 이용한 세라믹 전부피복 크라운의 접착은 어떻게 할 것인가
(Yoshiyuki Toyama)……………………………………………………………………… 178
Ⅰ. 산화지르코늄은 세라믹이 아니다…178 / Ⅱ. 산화지르코늄에 대한 접착…179 / Ⅲ. 산화지르코늄에 효과적인 primer…180
Ⅳ. 다른 생각…181
Indirect Method Edition 11 / Silane coupling agent를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Yoshiyuki Toyama)……182
Ⅰ. Porcelain(세라믹)에는 silane 처리가 필수…182 / Ⅱ. Silane coupling agent란…182 / Ⅲ. 활성화가 필요하다…182
Ⅳ. Silane coupling agent 사용 전의 porcelain 처리…183 / Ⅴ. 활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184
Indirect Method Edition 12 / 오래 유지되는 접착 브리지를 위해서(Yoshiyuki Toyama) ………………………… 186
Ⅰ. 한 때의 붐…186 / Ⅱ. 브리지는 왜 탈락되는가…186 / Ⅲ. 비참한 결과…186 / Ⅳ. 이상적인 접착 브리지…187
Ⅴ. ‘떨어지면 붙이면 된다.’는 생각은 비현실적이다…188 / Ⅵ. 보조 유지 형태…188 / Ⅶ. 보조 유지 형태를 제외한 다른 방법 189
Ⅷ. 전치부 형성의 예시…189 / Ⅸ. 구치부 형성의 예시…190 / Ⅹ. 기타 주의점…191
Indirect Method Edition 13 / 의치에 접착은 효과가 있는가(Noboru Yasuda)………………………………………192
Ⅰ. 금속의치상의 relining…192 / Ⅱ. Paraffin wax가 접착 방해 인자이다…193 / Ⅲ. 레진의치상의 보강…194
Indirect Method Edition 14 / 치관 수복물의 repair(Yoshiyuki Toyama) ……………………………………………196
Ⅰ. Repair의 장점…196 / Ⅱ. Repair란…196 / Ⅲ. Repair의 실제…197 / Ⅳ. 다시 파절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199
Indirect Method Edition 15 / 변색 치아에 laminate veneer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가(Yoshiyuki Toyama) 200
Ⅰ. Laminate veneer란…200 / Ⅱ. Laminate veneer의 심미 표현법…200 / Ⅲ. 변색 치아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가…202
색인 ……………………………………………………………………………………………………………………………… 203
Tea Time ① Super-Bond의 탄생 비화 …………………………………………………………………………………… 51
Tea Time ②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 - 중국 점원의 감별법 - ………………………………………………………… 134
Tea Time ③ 임플란트와 식생활 문화 …………………………………………………………………………………… 169
Tea Time ④ 한 가지 방법으로 정리해서 silica coating하는 것이 좋을까? ……………………………………… 1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