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병별 > 알츠하이머병
· ISBN : 9788997117123
· 쪽수 : 96쪽
· 출판일 : 2012-01-12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가이드북 활용법(일러두기)
Step 1 치매에 대한 이해
치매는 어떤 질병인가요?
치매의 원인질환은 무엇일까요?
3대 치매란 무엇일까요?
생활리듬이 유지되는 상태란?
BPSD와 생활리듬 장애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생활리듬 장애란 어떤 상태를 의미하나요?
Step 2 생활리듬 바로잡기
생활리듬 장애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0가지 케어방법의 구체적인 예
Step 3 치료와 약물에 대한 이해
치매를 치료할 수 있을까요?
치매 치료약의 효과와 부작용은 무엇일까요?
BPSD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BPSD 케어와 약물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Step 4 생활리듬 확인표 사용법
생활리듬 확인표에는 어떤 항목들이 있나요?
약을 제대로 먹을 수 있을까요?
복용하고 있는 약을 확인합시다
생활리듬 확인표
부 록 치매검사지
간이 정신상태 검사
치매기능 사정평가
임상 치매평가 척도
노인우울척도
섬망평가척도
책속에서
우리는 하루 24시간을 자신의 방식대로 생활하고 있습니다. 일어나는 시간, 식사하는 시간, 외출하는 시간, 귀가해서 씻는 시간 등 하루를 보내는 자기만의 방식이 있습니다. 이렇게 생활리듬이 유지된다는 것은 그 사람의 몸과 마음이 안정적이라는 증거입니다.
치매고령자는 고혈압과 당뇨병, 변비 등의 질병과 통증, 약물 부작용, 역할 및 흥미의 상실 등으로 하루 24시간을 평소처럼 보낼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몸과 마음의 안정감이 쉽게 무너지면 BPSD가 나타납니다. 따라서 BPSD를 예방하고 개선하려면 치매고령자의 생활리듬을 바로잡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적절한 케어와 치료를 통해 치매의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생활리듬 장애를 예방하고 개선하는 10가지 방법으로 몸과 마음을 안정시키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BPSD가 나타나거나 증상이 나아지지 않을 경우에 약물로 치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