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일어일문학
· ISBN : 9788997255115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1-09-15
책 소개
목차
1부 아쿠타가와의 광기와 예술지상주의
I. 서론
1. 연구 목적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범위와 방법
Ⅱ. 예술지상주의의 출발
1. 비극적 운명과 예술지상주의의 계기
1.1 생모 후쿠의 광기와 죽음
1.2 양가 사람들의 에고이즘
2. 죽음에서 삶과 예술 세계로의 인식 전환
2.1 초기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세계
2.2 '라쇼몽', 삶의 세계로의 출발
Ⅲ. ‘광인(狂人)’과 ‘우인(愚人)’의 예술지상주의의 획득
1. 광인(狂人)의 예술지상세계 획득 과정
-'지옥도'를 중심으로
1.1 광인의 비인간성
1.2 예술과 현실의 이율배반
1.3 광인의 예술지상적 세계로의 비상
2. ‘기독교소설군’에 나타난 우인(愚人)과 예술지상세계
-<기독교 신자의 죽음>과 <줄리아노 키치스케>를 중심으로
2.1 ‘불’과 ‘꽃’의 상징
2.2 ‘불’과 ‘꽃’에 나타난 기독교 신자의 예술지상적 승화
2.3 예술지상주의와 기독교
Ⅳ. 예술지상주의의 비상(飛上)에서 하강(下降)으로
1.'덤불 속'의 근대적 인간군상
1.1 ‘역사소설군’에 있어서 근대적 재해석
1.2 ‘기독교소설군’에 있어서 죄의 문제에 감추어진 근대인의 본성
1.3 '덤불 속'과 히데 시게코
2. '덤불 속'의 ‘진실’에 나타난 예술지상주의로의 전환
2.1 ‘진실’ 문제에 대한 재해석
2.2 등장인물이 말하는 ‘진실’
2.3 ‘보통 사람’의 인간성 긍정과 예술지상주의의 하강
Ⅴ. ‘보통 사람’의 예술지상주의의 한계
1. 일상 세계에 나타난 예술지상적 세계
-'용'과 '밀감'을 중심으로
1.1 ?용?에 관한 상반된 견해
1.2 일상 세계에 나타난 ‘찰나의 감동’
1.3 보통 사람의 예술지상주의로의 일시적 도달
1.4 일상 세계에 있어서의 ‘피로와 권태’
2. 일상 세계에 있어서 예술지상주의의 한계
- '가을'을 중심으로
2.1 ‘노부코’의 주체 상실에서 오는 욕망의 전이 과정
2.2 현실의 삶에 나타난 욕망 상실
2.3 허구의 삶을 통한 욕망 획득
2.4 예술지상주의 하강의 한계
Ⅵ. 예술지상주의의 종언
1. 삶과 예술에서 죽음의 세계로 추락
- '겐카쿠 산방'을 중심으로
1.1 일상 세계에 있어서 죽음
1.2 ‘별채’에 나타난 죽음의 세계
1.3 ‘응접실’에 나타난 죽음화 과정
1.4 ‘코노’의 비인간성
2. 일상 세계에 있어서 ‘막연한 불안’의 실체화
-'신기루'를 중심으로
2.1 현실에 나타난 ‘꺼림칙함’의 실체
2.2 ‘밤’의 일상
2.3 ‘낮’의 일상에 나타난 ‘신기루’
2.4 죽음에 대한 고백
Ⅶ. 결 론
일본어요지 ;芥川龍之介文學の硏究
2부 예술지상주의적 작품의 현대적 재해석
'라쇼몽'에 나타난 신화적 공간
- 상향(上向)에서 하향(下向)으로 향한 ‘사다리’의 이율배반성
1. 서론
2. 제의(祭儀)적인 공간으로서 사다리
3. 문 위, 그 신화적 세계의 이면(異面)
4. 사다리의 상향적 성격에 나타난 이율배반성
5. 결론
'광차'에 나타난 의식의 흐름
- 이동 수단에 의한 료헤이의 회상 재인식
1. 서론
2. 회상, 그 과거의 기억을 연결하는 ‘광차’
3. 이동 수단의 탈일상성
4. 회상을 통한 현재 재인식
5. 결론
'코'에 나타난 나이구의 코의 상징성
- 코의 콤플렉스 극복 과정에서 드러난 또 다른 콤플렉스
1. 서론
2.‘코’의 상징적 의미와 나이구의 콤플렉스
3. 콤플렉스 극복 과정
4. 콤플렉스 극복에 나타난 또 다른 콤플렉스
5. 결론
<내가 우연히 마주친 일>의 ‘황색(?色)’의 상징성을 통한 삶과 죽음의 상반된 의미
- 작품에 나타난 그림의 도상해석학적 분석 방법
1. 서론
2.'늪지'에 나타난 황색의 도상해석학적 해석
3.'밀감'에 나타난 황색의 상징성
4. 황색의 상징성에 나타난 광기와 천재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대에 수많은 작가와 작품들이 넘쳐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쿠타가와의 작품이 계속하여 읽혀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그의 작품에는 시공을 초월한 보편적 인간상이 나타나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바꾸어 말하면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들, 특히 광인이나, 바보들이 각각 자신들의 주어진 운명을 거부하고, 초인이나 성인으로 향하는 모습은 마치 마쿠타가와의 모습과도 흡사하다. 작가 아쿠타가와 자신의 주어진 운명, 즉 생모의 광기가 자신에게도 유전되어 죽을 수 있다는 운명을 거부하고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끊임없이 창조하여 천재이자, 작가로서 신(神)이 되고자 하였던 것이다. 동시에 한편으로 그의 이러한 노력의 이면에는 광인도 천재도 아닌 단지 한사람의 평범한 인간으로 살고자 했던 너무나 인간적인 그의 모습을 엿볼 수가 있다.
이러한 그의 광기를 살펴보기 위해서 본서는 크게 둘로 나누어 우선 1부에서는 아쿠타가와의 성장 및 배경과 함께 그의 작품에 나타난 예술지상주의적 세계를 추구하는 모습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2부에서는 다양한 관점(예를 들어 신화, 시간과 공간, 상징, 도상학 등)을 가지고 작품을 분석하여 기존의 연구와 다른 새롭고 다양한 읽기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