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사회 > 7/9급 기본서 및 부교재
· ISBN : 9788997397471
· 쪽수 : 667쪽
· 출판일 : 2014-08-30
책 소개
목차
[법과 정치]
PART 01 민주정치와 법
01 국가와 정치 생활 16
I. 국가의 의미와 성립 이론 16
II. 홉스, 로크, 루소의 사회 계약설 17
III. 정치의 의미 21
IV. 정치권력의 정당성 24
02 민주주의의 의미와 이념 27
I. 민주주의의 의미 27
II. 민주주의의 이념과 기본권 31
03 민주주의의 원리 36
I. 국민주권의 원리 36
II. 대의제 37
III. 입헌주의 39
IV. 권력 분립 39
V. 지방 자치 41
VI. 법치주의와 민주정치 42
04 민주주의의 발전 44
I. 고대 아테네의 민주정치 44
II. 시민 혁명과 근대 민주정치 45
III. 현대 민주정치와 정치 참여 47
05 민주주의 유형과 정부형태 50
I. 민주주의와 참여 방식 50
II. 이념에 따른 민주주의의 유형 54
III. 정부 형태 55
PART 02 민주정치 과정과 참여
01 현대 정치 과정과 참여 62
I. 공공 정책 62
II. 정치 과정 64
III. 정치 참여 66
IV. 정치적 무관심 67
02 선거의 의미와 선거구 69
I. 선거의 의의와 기능 69
II. 공정한 선거 보장을 위한 제도 70
III. 선거구제도 73
IV. 선거의 분류 75
03 선거 제도의 이해 76
I. 대표 결정 방식 76
II. 비례 대표제 77
III. 정당 명부식 비례 대표제 79
IV. 우리나라의 선거제도 81
04 민주적 정당 정치 84
I. 정당의 의미와 기능 84
II. 정당 제도의 유형 85
III. 정당 정치 87
IV. 한국의 정당 정치 88
05 이익 집단과 시민 단체 90
I. 이익 집단 90
II. 이익 집단과 정당 92
III. 시민 단체 93
06 여론과 정치 문화 96
I. 정치 과정에서의 여론 96
II. 여론 정치 98
III. 언론·출판의 자유와 책임 99
IV. 언론 보도로 인한 피해의 구제 방법 101
V. 대중 매체와 여론 형성 102
VI. 정치 문화 105
VII. 법문화 106
PART 03 우리나라의 헌법
01 헌법의 이념과 원리 110
I. 헌법의 의의와 이념 110
II. 헌법의 기본 원리 113
III. 헌법의 수호 118
02 국민의 권리와 의무 119
I. 기본권의 본질 119
II. 기본권의 효력 121
III. 기본권의 충돌 122
IV. 기본권의 내용 122
V. 기본권의 제한 130
VI. 국민의 기본적 의무 132
VII. 기본권 침해의 구제 133
03 입법 과정과 입법부 134
I. 국회의 지위와 구성 134
II. 국회의 권한 140
III. 국회의 입법 과정 145
IV. 의회 민주주의의 위기 147
04 행정 과정과 행정부 149
I. 행정의 의미와 특징 149
II. 직업 공무원 제도 150
III. 행정부의 구성 151
IV. 대통령의 지위와 역할 153
V. 대통령의 권한과 의무 154
VI. 행정에 대한 통제 155
05 사법부와 지방 자치 158
I. 사법부와 재판 제도 158
II. 심급 제도와 재판의 기본 원칙 161
III. 헌법 재판소 163
IV. 지방 자치 제도 168
PART 04 개인생활과 법
01 민법의 기본 원리 172
I. 민법의 의의 및 성질 172
II. 민법의 기본 원리 173
III. 근대 민법의 기본 원리에 대한 수정 175
02 권리능력, 의사능력, 행위능력 176
I. 권리 능력 176
II. 의사 능력과 행위 능력 179
03 물권, 채권, 지적재산권 184
I. 물 권 184
II. 지적 재산권 186
III. 채권 채무 관계 187
04 계약과 부동산 거래 189
I. 계약의 이해 189
II. 미성년자와의 계약 190
III. 부동산의 매매와 등기 192
IV. 부동산의 임대차 194
05 불법행위와 손해 배상 197
I. 불법행위 197
II. 특수한 불법행위 198
III. 손해 배상 200
06 개인 간의 분쟁 해결 203
I. 간편한 민사 분쟁 해결 절차 203
II. 일반적인 민사 소송의 진행 절차 204
III. 대안적 분쟁 해결 방식 207
IV. 법률 구조의 이해 208
07 부부 간, 부모 자식 간의 법률관계 210
I. 혼인 210
II. 이혼 212
III. 친자 관계 214
IV. 친권 215
08 상속과 유언 217
I. 상속 217
II. 유언 219
PART 05 사회생활과 법
01 미성년자의 권리 보호 222
I. 청소년기본법 222
II. 미성년자의 민사상 보호 222
III. 미성년자의 형사상 보호 224
IV. 연소자의 근로기준법상 보호 227
V. 청소년보호법상의 미성년자 보호 228
02 학교생활과 법 229
I. 학교 교육과 법 229
II. 교원 및 학생의 권리와 의무 230
03 소비자의 권리 보호 233
I. 소비자의 권리 233
II. 현명한 경제생활 234
III. 소비자 권리의 보호 235
IV. 소비자 피해의 구제 절차 237
04 근로자의 권리와 법 238
I. 근로권과 근로 계약 238
II. 노사 간 근로 조건의 협상과 체결 240
III. 근로자의 주요 권리 241
IV. 임금과 근로 시간 242
V. 근로자 권리의 보호 절차 243
PART 06 국가 생활과 법
01 법치 행정 248
I. 법치행정 248
II. 행정법의 의미와 기본 원리 249
III. 행정 기관의 종류와 행정 행위 250
IV. 행정에 대한 시민 참여 252
V. 행정 구제의 의미와 종류 254
02 행정 구제 255
I. 행정 심판 255
II. 행정 소송 257
III. 행정상 손해 전보 제도 258
IV. 민원 261
03 죄형법정주의와 형사절차 263
I. 형법 263
II. 죄형법정주의 263
III. 형사 사건의 진행 절차 265
IV. 범죄 피해자의 보호와 형사 보상 272
04 범죄와 형벌 274
I. 범죄 274
II. 범죄의 성립 요건 275
III. 형 벌 279
IV. 보안 처분 282
PART 07 국제 정치와 법
01 국제 사회의 이해 286
I. 국제 사회의 형성과 변화 286
II. 국제 사회의 문제 292
02 국제 관계와 국제법 295
I. 국제 행위 주체 295
II. 국제적 행위 주체와 국제 관계 296
III. 국제 연합(UN) 297
IV. 국제 사법 재판소 298
V. 다양한 국제기구 299
VI. 국제법의 법원 300
VII. 국제법의 특징 302
VIII. 바람직한 외교 정책 304
[경 제]
PART 01 경제생활과 경제문제의 이해
01 경제생활의 이해 308
I. 경제생활의 의미와 유형 308
II. 경제 활동의 주체 311
III. 경제와 사회생활 313
IV. 경제 주체 간의 관계 314
02 경제 문제와 합리적 선택 316
I. 희소성과 경제 문제 316
II. 기본적인 경제 문제 318
III. 합리적 선택과 경제적 유인 321
IV. 선택의 편익과 비용 322
V. 경제 정보의 활용 327
03 교환 경제와 경제 체제 330
I. 분업의 의미와 장단점 330
II. 특화와 교환 331
III. 경제 체제의 의미와 유형 333
IV. 현대 자본주의 경제 체제의 변화 335
PART 02 경제 주체의 역할
01 가계의 역할과 의사 결정 340
I. 가계의 경제적 역할 340
II. 노동과 직업 생활 341
III. 합리적 소비와 바람직한 소비의 조화 342
IV. 가계의 지출과 국민 경제 345
02 기업의 역할과 의사 결정 347
I. 기업의 경제적 역할과 유형 347
II. 기업 생산 활동과 생산 요소 347
III. 기업의 이윤 추구 활동 348
IV. 기업 의사 결정의 다양한 고려 요인 349
03 정부의 역할과 의사 결정 351
I. 정부의 경제적 역할 351
II. 정부의 재정과 조세 353
III. 정부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58
IV. 재정과 국민의 참여 361
PART 03 시장과 경제 활동
01 수요와 공급 364
I. 수요와 공급의 의미 364
II. 수요와 공급의 변동 370
02 시장 가격의 결정과 변동 376
I. 시장 가격의 결정 376
II. 시장 균형의 변동 377
03 수요와 공급의 가격 탄력성 380
I. 수요의 가격 탄력성(?) 380
II. 공급의 가격 탄력성(? ) 385
III. 수요와 공급의 가격 탄력성 응용 389
04 시장의 효율성과 다양한 시장 형태 390
I. 시장의 의미와 잉여 390
II. 시장의 종류 395
05 시장 실패와 보완 대책 401
I. 시장의 기능 및 시장 실패 401
II. 시장 실패의 유형 402
III. 시장 실패에 대한 보완 대책 408
06 정부의 시장 개입과 정부 실패 410
I. 정부의 시장 개입 410
II. 정부 실패 411
III. 정부 실패에 대한 대책 412
PART 04 국민 경제의 이해
01 국민 경제의 순환과 국민 소득 416
I. 국민 경제 지표의 이해 416
II. 국민 경제의 순환 420
III. 국민 경제의 성장과 국민 경제 423
02 실업과 소득 분배 426
I. 실업 426
II. 고용 지표 427
III. 소득 분배의 불평등 측정 431
03 경기 변동 433
I. 총수요와 총공급의 의미 433
II. 총수요·총공급 곡선 434
III. 총수요와 총공급의 변동 436
IV. 국민 경제의 균형과 변동 439
V. 경기 변동 442
04 물가와 인플레이션 444
I. 물가와 물가 지수 444
II. 인플레이션 446
05 경기 안정화 정책과 중앙은행 449
I. 경제 성장과 물가 안정 449
II. 경기 안정화 정책(=경기 대책) 450
III. 재정 정책 450
IV. 통화(금융) 정책 454
V. 중앙은행의 역할 458
PART 05 세계 시장과 한국 경제
01 무역 원리와 무역 정책 462
I. 개방된 국제 사회와 무역의 필요성 462
II. 무역 환경의 변화 463
III. 국제 무역 이론 464
IV. 자유 무역과 경제적 효과 470
V. 보호 무역과 경제적 효과 471
02 외환 시장과 환율 475
I. 외환 시장 475
II. 환율(exchange rate) 476
III. 환율의 변동 478
IV. 환율제도 482
03 국제 수지와 국민 경제 483
I. 국제 수지의 의미와 내용 483
II. 경상 수지와 자본 수지와의 관계 485
III. 경상 수지와 국민 경제 485
IV. 국제 수지와 환율의 관계 486
V. 자유 무역을 위한 국제기구 487
VI. 지역 경제 통합 489
VII. 국제 경쟁력 491
PART 06 경제생활과 금융
01 금융 생활과 신용 494
I. 화폐와 이자율 494
II. 금융 제도와 금융 기관 496
III. 금융 생활 498
02 금융 수단과 재무 계획 500
I. 자산 관리 500
II. 금융 수단 502
III. 재무 계획 506
IV. 재무 설계 507
[사회.문화]
PART 01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01 사회.문화 현상의 이해 512
I. 사회.문화 현상의 특징 512
II. 사회.문화 현상 연구의 특징 515
III. 사회과학의 발달과 최근 경향 516
02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 517
I. 사회.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관점 517
II.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 522
III. 다양한 자료 수집 방법 530
03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태도 538
I. 사회.문화 현상 탐구의 특성 538
II.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태도 538
III.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와 가치 540
IV.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와 연구 윤리 542
PART 02 개인과 사회 구조
01 사회화와 일탈 행동 544
I. 사회화 544
II. 지위와 역할 548
III. 사회적 상호 작용 550
IV. 일탈 행동 552
02 사회관과 사회 구조 557
I. 개인과 사회에 관한 이론적 관점 557
II. 사회적 관계와 사회 구조 559
III. 사회 구조에 관한 이론적 관점 560
03 사회 집단의 이해 562
I. 사회 집단 562
II. 사회 집단의 분류 562
III. 준거 집단 564
IV. 집단 관계와 사회생활 566
04 사회 조직의 유형과 특징 567
I. 사회 조직 567
II. 공식 조직과 비공식 조직 567
III. 자발적 결사체 569
IV. 관료제와 탈관료제 570
PART 03 문화와 사회
01 문화의 이해 576
I. 문화의 의미 576
II. 문화의 속성 577
III. 문화의 분류 및 구성 요소 579
IV. 문화의 기능과 특성 580
V. 문화 이해의 관점 582
VI. 문화 이해의 태도 583
02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화 양상 585
I. 하위문화 585
II. 다양한 하위문화 586
III. 대중문화 589
03 문화 변동과 한국 문화의 다양성 591
I. 문화 변동의 의미와 요인 591
II. 문화 변동의 양상 592
III. 문화 접변의 결과 593
IV. 문화 변동에 대한 대응 594
V. 문화 변동으로 인한 문제점 및 대응책 594
VI. 세계화와 다문화 사회 595
PART 04 사회 계층과 불평등 597
01 사회 불평등 현상의 이해 598
I. 사회 불평등과 사회 계층화 현상 598
II. 사회 불평등의 여러 형태와 해결 방안 599
III. 사회 계층화 현상 606
IV. 사회 계층화를 설명하는 개념 607
V. 사회 계층 현상을 이해하는 두 가지 관점 610
02 사회 이동과 사회 계층 구조 613
I. 사회 이동 613
II. 계층 구조 615
03 사회 복지와 복지 제도 618
I. 사회 복지 618
II. 복지 국가의 등장 619
III. 우리나라의 사회 보장 제도 620
IV. 복지 제도의 역할과 한계 624
PART 05 일상생활과 사회 제도 627
01 사회 제도의 의미와 가족 제도 628
I. 사회 제도의 기능과 특징 628
II. 사회 제도의 변화와 다양한 사회 제도 629
III. 가족 제도의 형태와 기능 631
IV. 가족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 634
02 교육 제도와 종교 제도 636
I. 교육 제도 636
II. 종교 제도와 종교 문제 640
03 대중매체 642
I. 대중 매체의 특성과 유형 642
II. 대중 매체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론 644
III. 대중 매체의 주요 기능과 역할 645
PART 06 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 647
01 사회 변동과 근대화 648
I. 사회 변동의 의미와 요인 648
II. 사회 변동을 바라보는 관점 648
III. 근대 사회의 의미와 형성 651
02 사회 변동과 사회 문제 655
I. 사회 문제의 개념 655
II. 산업화에 따른 노동 문제 655
III. 도시화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 658
IV. 인구 변천과 인구 문제 659
03 현대 사회의 변동과 대응 662
I. 세계화와 이에 대한 대응 662
II. 정보 사회와 이에 대한 대응 664
III. 전 지구적 차원의 문제와 해결 방안 6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