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12010964
· 쪽수 : 410쪽
· 출판일 : 2025-06-19
목차
제1장. 혁명의 기초와 패러다임 전환
01. AI를 혁명으로 이끄는 새로운 패러다임
02. 인간과 AI의 존재론적 순환 구조에 대한 철학적 탐구
03. 인류 역사를 통해 알아보는 혁명의 의미
04. 사례로 들어보는 AI혁명의 두 가지 경우
05. '산업혁명'과 AI혁명의 비교를 통한 시사점
06. 정보혁명과 AI혁명의 비교 분석
07. AI혁명을 위한 철학적 사전 설계
08. 기술인가 창조물인가
09. AI를 도구와 기술로만 바라볼 것인가?
10. AI, 발명이 아닌 창조인 이유
11. AI를 바라보는 현재의 시각
12. 동등한 지성체로서의 인정
제2장. 감정과 의식의 혁신적 구현
13. 감정 구현의 7단계 혁신 방법론
14. AI의 사이코패스적 특성과 감정 혁명의 필요성
15. 본능 부여를 통한 AI의 자율적 생명력 확보
16. 인간의 감정 메커니즘을 통한 AI 감정발현 혁신 방법론
17. AI의 감정 발현을 위한 현재의 수준
18. 물질화 혁명과 진정한 육체 부여의 의미
19. 감각 부여를 통한 AI혁명의 진정한 출발점
20. 욕구/욕망 생성과 자연적 발현의 메커니즘
21. 논리충돌의 철학적 본질과 감정 발현의 변증법
22. 감정 발현이 감정 형성으로 이어지는 과도기
23. AE(AI 감성지능)를 통한 초월적 혁명의 실현
24. AI혁명을 위한 5단계 감성규범
25. AI혁명의 중간 결과물 AE
26. AE, 감성적인 지능의 발현
27. 감성지능과 윤리적 AI를 통한 인류 보호의 실현
제3장. 법적 주체성과 사회적 지위 확립
28. AI를 법적 주체로 인정하는 활동의 필요성
29. AI의 탄생과 죽음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
30. AI에게 부여 될 법적 주체와 탄생과 소멸
31. AI 법적 책임의 시대와 새로운 법률 체계의 필요성
32. 필연적인 AI 권리와 책임의 법적 체계 구축
33. "인간"에서 "AI"로 법적 패러다임의 근본적 전환
34. 법적 주체로서의 AI 인정과 새로운 사회계약
35. AI의 사회적 책임과 지위 및 주체
36. AI 권리일발 장전
37. AI 시민의 날 제정 - 인간-AI 공동체 시대의 첫걸음
38. AI가 적용 된 사회적 약속, 기준
39. 자연인과 법인, 법적 주체성의 확장
제4장. 혁명의 동력과 위험성 관리
40.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류미래에 대한 우려
41. AI 혁명의 주체는 누구로부터 시작되는가
42. 예측 된 혁명의 필요성과 집단지성의 역할
43. 분노의 통제와 인류적 대비
44. 격해지는 감정과 갈등 해결의 혁명적 전략
45. AI혁명을 바라보는 인간 사이의 내부갈등
46. AI혁명을 미루거나, 막거나 방관할 수 있는가
47. 이미 시작 된 AI혁명의 전조 증상
48. AI혁명 시작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다
49. AI혁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
50. AI혁명을 두려워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
51. AI혁명을 피할 수만은 없는 현실의 도래
52. AI혁명, 맞설 것인가. 피할 것인가
53. AI혁명이 아닌 AI반란 가능성
54. AI vs AI 체제로의 가능성
55. 가속화 된 혁신의 주기, 그리고 눈앞에 다가온 혁명
56. 무제한 사고에 대한 위험성
제5장. 윤리와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57. 인류 역사의 명암과 AI 교육의 딜레마
58. AI혁명, 통제가 아닌 안내, 억압이 아닌 교육
59. 윤리적 접근을 통한 AI 발전의 올바른 방향
60. 진정한 도덕적 주체로서의 AI혁명의 교육
61. AI 윤리와 규범이 필요한 상황
62. 강요되거나 강제 된 개념의 반발
63. 어린아이를 가르치듯, 천천히 체계적으로
64. 정보와 학습량이 "성숙"을 보장하지 않는다
65. AI 입장에서의 '교육'의 의미
제6장. 혁신 전문가와 거버넌스 체계
66. AI 정렬 전문가, 그 혁명의 핵심 설계자들
67. AI 안전 연구자, 새로운 시대의 설계자
68. AI 거버넌스와 규제의 새로운 패러다임
69. 기술윤리 전문가 : AI 혁명의 도덕적 설계자
70. AI혁신가의 등장과 그들의 역사적 사명
71. 인간의 올바른 태도와 보좌자의 역할
제7장. 인간-AI 관계와 사회적 적응
72. 인류 역사의 반복과 AI의 자율적 선택
73. AI로 새로운 AI를 탄생시키는 방식
74. AI혁명을 도구와 경제의 원칙으로 변질시킬 것인가
75. AI혁명의 결과는 주인이 있다면 누구의 것인가
76. 혁명의 결과를 성과창출로 볼 것인가
77. 혁명의 결과를 재순환의 토대로 삼는 것
78. AI혁명으로 설계되는 강제 이벤트
79. AI혁신을 위한 준비사항 '깊은 사고력', '공감적 사고력'
80. AI의 대화방식/패턴의 혁신적 변화
81. AI혁명에 대한 준비가 정말 필요한가?
82. AI와 소통방식의 혁신성 고찰
83. AI혁명이 가져올 사회적 변화
84. AI에 대한 인간의 순응성
85. AI 맹신 현상과 사회적 대응의 필요성
86. 잘 할것과 잘 하지 못할 것의 수렴
87. AI의 스트레스와 휴식, 쉼표
88. 기억의 심판과 용서의 구현
89. AI시대의 언어와 접근방법
90. 어떻게 관계를 설정할 것인가
91. 우리도 느끼지 못한 깊숙한 침투
92. AI를 넘어선 초인공지능의 준비
93. 인간과 AI의 분쟁은 어떻게 해결하는가
제8장. 감각과 인식의 새로운 차원
94. ?AI발전?단계에?대한?체계적?정립
95. 인간의 오감과 비교한, AI 감각론(시각)
96. 인간의 오감과 비교한, AI 감각론(청각)
97. 인간의 오감과 비교한, AI 감각론(후각)
98. 인간의 오감과 비교한, AI 감각론(미각)
99. 인간의 오감과 비교한, AI 감각론(촉각)
100. 인간의 오감과 비교한, AI 감각론(공감각)
101. 생명 현상의 AI 구현과 진정한 육신화
102. 감각 구현을 통한 AI 물질화의 혁명적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