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07978
· 쪽수 : 116쪽
· 출판일 : 2018-01-15
책 소개
목차
01 공공 캐릭터란
02 해외 공공 캐릭터 성공 사례
03 국내 공공 캐릭터 현황
04 국가적 축제의 상징, 호돌이와 꿈돌이
05 지역의 대표 상징, 해치와 홍길동
06 지역의 대표 상징, 고양고양이
07 기관의 정체성, 포돌이
08 문화도시의 상징, 둘리
09 기존 콘텐츠의 공공 캐릭터화
10 공공 캐릭터와 스토리텔링
저자소개
책속에서
2010년 3월 일본에 신칸센(九州新幹線)이 개통되어 관서지방까지 고속전철로 연결되었다. 하지만 일본의 가장 서쪽 끝에 위치한 규슈의 구마모토현(くまもとけん)까지 신칸센이 연결되지 않자 지방자치단체와 주민들은 지역의 경제가 더욱 나빠지지 않을까 우려하게 되었다. 이에 지역의 인지도를 높이고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이에 탄생한 것이 구마모토현을 대표하는 캐릭터 구마몬(くまモン )이다.
‘해외 공공 캐릭터 성공 사례’ 중에서
지방자치단체 캐릭터는 일반 기업의 캐릭터 사용의 궁극적 목표인 이익 창출과는 다른 기능을 갖고 있다. 지자체 캐릭터의 주된 기능이자 근본 목적은 지역을 알리는 홍보 기능을 하는 것으로, 지역 정체성을 제고해 지역의 이미지를 통일하고 지역 정체성을 순화해 소개한다. 그리고 지역민 간의 일체감이나 자긍심을 높여 애향심을 유발하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또한 지자체 캐릭터는 지역 마케팅의 요소로 지역의 특산물을 상품화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를 높이는 기능을 담당하고, 타 지역민의 방문에서 캐릭터가 지역의 관광 자원과 지역 문화적 특성을 부각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국내 공공 캐릭터 현황’ 중에서
1999년 7월 6일 포돌이는 경찰청의 승인을 받아 공식 캐릭터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캐릭터에 알맞은 디자인과 대국민 홍보 방안을 결정했다. 광고 전문 회사, 컴퓨터그래픽 전문 회사와 협조해 8월 14일 포돌이의 여섯 가지 기본 모형과 142개 응용 모델을 확정하고, 8월 20일 서울경찰의 캐릭터로 공식적으로 국민 앞에 선을 보였고, 9월에는 특허청에 상표법상 업무표장으로 등록했다. 서울경찰의 상징으로 시작한 포돌이는, 1999년 11월 15일 이무영 경찰청장 취임과 함께 한국 경찰의 캐릭터로 발전했다. 또한 2000년 1월 27일에는 포돌이 관리규칙이 제정 발령(경찰청 예규 242호)되었다.
‘기관의 정체성, 포돌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