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08586
· 쪽수 : 118쪽
· 출판일 : 2018-01-15
책 소개
목차
01 황미나와 한국 만화
02 황미나의 시작
03 전환점, 리얼리즘
04 우리는 길 잃은 작은 새를 보았다
05 소년만화는 왜 안 돼?
06 일본 진출
07 간판 작품 <레드문>
08 황미나의 웹툰
09 작품 밖 활동
10 그리고 못다 한 이야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만화는 잡지 만화 시대를 맞아 비로소 수면 위로 올라왔지만 동시에 군부독재 시절에 형성된 부조리한 편견과 인식, 표현의 자유 억압이라는 난제와 싸워야 했다. 황미나는 데뷔 당시부터 말도 안 되는 심의나 편집 방침 등을 겪으며 만화에 대한 불가해한 억압에 강한 문제의식을 가졌다. 그리고 데뷔 후 이를 자신의 작품 활동에 반영하는 동시에 작품 밖에서 다양한 저항과 모색을 보여 주었다. 그래서 우리는 황미나에 대해 논할 때 우리 사회에서 한국 만화가 관통해 온 질곡과 성장의 역사를 결부시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 ‘황미나와 한국 만화’ 중에서
<작은 새>는 그때까지의 순정만화 공식을 파괴했다. 아름답고 지체 높은 등장인물, 이국적인 배경, 황홀한 사랑과 비극적 운명 등 황미나는 그것들 대신 가진 것 없고 불행한 남녀 주인공을 등장시키고, 1970∼1980년대 한국 사회의 풍경을 있는 그대로 보여 주었다. 인물이 맞닥뜨리는 시련은 주어진 운명이라기보다 사회의 부조리와 모순에 의한 것이었다. 사랑하고 헌신하고 시기하고 미워하는 인간의 감정에도 있는 그대로 충실했다. 순정만화가 독자에게 판타지를 선사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깼다. 그러면서도 순정물 고유의 드라마틱하고 섬세한 서사 속에 사실주의적 스토리텔링을 구현한 놀라운 시도였던 것이다.
- ‘우리는 길 잃은 작은 새를 보았다’ 중에서
황미나는 소년만화에 진출해 <무영여객>, <수퍼트리오>, <태백권법>과 같은 무협 액션물을 다수 발표했다. 황미나표 무협은 마치 홍콩 영화를 보는 듯한 구성과 액션, 그리고 유쾌한 개그가 특징이다. 나중에 밝히기를, 홍콩 영화와 쿵푸의 영향을 받았다고 했다. 특히 홍콩 영화의 액션에 매료됐다. 주먹을 뻗을 때나 발차기할 때의 아름다운 동작이 발레와 같다고 느꼈다. 그래서 활극 만화와 무협지를 열심히 보고 고등학교 2학년 때 쿵푸 도장에도 나갔다. 황미나는 후일 여러 인터뷰에서 “나는 ‘하고 싶은 만화’가 아니라 ‘보고 싶은 만화’를 그린다”고 말했다.
- ‘소년만화는 왜 안 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