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컴퓨터 공학 > 소프트웨어 공학
· ISBN : 9791128860065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0-01-30
책 소개
목차
오픈소스, 공유와 협업의 또 다른 이름
1부 오픈소스 이야기
01 오픈소스 이야기
오픈소스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운동
오픈소스 라이선스 종류
오픈소스의 현재
02 오픈소스 DBMS 안쪽 들여다보기
오픈소스 DBMS 종류
오픈소스 DBMS 비교
오픈소스 DBMS 라이선스 비교
03 상용 DBMS를 오픈소스 DBMS로
오라클 벗어나기
오라클을 대체하기 위한 최적의 오픈소스 DBMS
2부 PostgreSQL과 EPAS 자세히 들여다보기
04 운영 가이드
아키텍처 및 기능 비교
설치
백업 및 복구
파라미터
05 마이그레이션 가이드
개요
절차
실제 마이그레이션 수행
06 PostgreSQL 운영할 때 유용한 것들
FAQ
트러블슈팅
튜닝가이드
유용한 스크립트
부록 오픈소스 지원체계
Use-Case
작업 절차서
책속에서
요즘 오픈소스 DBMS의 화두는 이 책의 주제와도 부합하는 상용 DBMS 전환입니다. 특히 PostgreSQL과 MySQL이 각각의 엔진 특성에 맞춰서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는 상황이며 엔터프라이즈 레벨에서 요구하는 기능과 성능 등을 향상시켜 왔습니다. 따라서 그 기준에 맞춰 각 오픈소스 DBMS 엔진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오라클과 각 오픈소스 DBMS와의 비교, 각 에디션(Edition) 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2장 오픈소스 DBMS 안쪽 들여다보기” 중에서
탈오라클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탈오라클을 거론하기에 앞서 왜 오라클에서 벗어나야 하고, 오픈소스 진영의 DBMS가 오라클을 대체할 정도로 기능적으로 발전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탈오라클 바람의 1차 수혜자는 MS SQL Server를 비롯한 상용 DBMS 진영이었습니다.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공공기관 및 기업은 기간계 DBMS는 오라클을 대체불가재로 여기면서도 그 외의 서비스는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여러 DBMS를 도입했습니다.
-“3장 상용 DBMS를 오픈소스 DBMS로” 중에서
마이그레이션, 특히 DBMS에서의 마이그레이션(Migration, 이관 혹은 이전)이란 IT서비스에 도입된 동종 DBMS 내에서 DB Binary 업그레이드 혹은 데이터의 물리적 이동을 위해 오브젝트(Object, DBMS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객체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생성된 DBMS의 객체, Table과 Index 등) 및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질의 언어)을 변경하는 것이 첫 번째입니다.
-“5장 마이그레이션 가이드”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