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61871
· 쪽수 : 102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목차
에니어그램으로 보는 여성 캐릭터
01 편견 속 여성 캐릭터
02 세상과 싸우는 개혁가
03 아낌없이 주는 조력가
04 멈추지 않는 성취가
05 창조적인 예술가
06 비운의 탐구자
07 충직한 충성가
08 활기차고 밝은 열정가
09 지배하는 지도자
10 평화를 추구하는 평화주의자
저자소개
책속에서
슐라미스 파이어스톤(Shulamith Firestone)은 모든 문화가 성적 양극화에 의해 타락했다고 말하면서 남성과 여성에게 완전히 다른 현실이 존재함을 만화책을 통해 명백히 알 수 있다고 말한다. 웹툰 콘텐츠 외에도 감성적인 분야가 극대화된 대중문화는 ‘여성 전용’으로 여겨져 왔다. 예를 들어 순정 만화가 몇몇 연구자들에게 ‘여성 만화’라고 불리듯이 멜로드라마는 몇몇 학자들에게 ‘여성 영화’와 동의어가 되기도 했다.
_ “01 편견 속 여성 캐릭터” 중에서
성취가는 보편적으로 이야기 속에서 성공적인 사업가로 그려지지만, 대인관계를 위해 감정을 연기하는 캐릭터라는 점에서 사이코패스 역을 맡기기에 성취가보다 적합한 유형은 없다. 보편적으로 그려지는 사이코패스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자신의 모습 뒤에 어두운 취미를 숨기고 있으며 빛과 어둠을 오가며 여러 갈등을 유발하고 해소한다.
_ “04 멈추지 않는 성취가” 중에서
탐구자형 여성 캐릭터는 사회적으로 배척 받는 형태로 그려진다. 이들은 지식을 추구한다는 이유만으로 ‘마녀’로 몰리는 상황에 자주 봉착한다. 이런 웹툰 여성 캐릭터로는 이연 작가의 네이버웹툰 '화장 지워주는 남자' 주인공 ‘김예슬’과 골드키위새 작가의 다음웹툰 '순정 히포크라테스크' 주인공 ‘사해’가 있다. 이 두 인물은 비사교적이고 친근감 있는 인물도 아니지만 각각 화장과 의료 분야에서 전문성과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내어 자신이 속한 조직과 사회에서 유용한 가치를 만들려고 노력한다.
_ “06 비운의 탐구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