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전기전자공학 > 전자기학
· ISBN : 9791129002174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17-11-07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국내외 전자파 인체영향 법제도 및 표준화 동향
제1절 국제기구의 동향
1. 세계보건기구(WHO)
2. 국제비전리방사보호위원회(ICNIRP)
3. 미국전기전자학회(IEEE)
4. 국제전기통신연합(ITU)
5. 국제전기표준회의(IEC)
6. 유럽전기기술표준위원회(CENELEC)
제2절 해외 주요국의 동향
1. 미국
2. 유럽연합
3. 일본
4. 인도
5. 호주
제3절 국내 현황
1. 개요
2.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현황
제3장 국내외 전자파 인체영향 연구 동향
제1절 국제공동연구
1.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 EMF 프로젝트
2. LEXNET Project
3. Mobi-Kids Study
4. EFHRAN
5. INTERPHONE study
6. GERoNiMo Project
7. SEAWIND
8. INTEROCC
9. COSMOS Study
10. ARIMMORA
제2절 연구 주제별 동향
1. 개요
2. 휴대전화 역학연구
3. 휴대전화 실험연구
4. 어린이 건강 역학연구
5. 동물 실험연구
제3절 국내 연구 현황
1. 분야별 연구 현황
2. 연구기관별 연구 현황
제4장 국내외 전자파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동향
제1절 국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현황
1. 세계보건기구(WHO)
2. 미국
3. 유럽연합
4. 일본
제2절 국내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현황
1. 국립전파연구원
2. 한국전자파학회
3. 한국전력공사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휴대전화 역학연구 연구결과
<부록 2> 휴대전화 실험연구 연구결과
<부록 3> 어린이 건강 역학연구 연구결과
<부록 4> 동물 실험연구 연구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