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29002884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18-01-09
책 소개
목차
산업별 브랜드전략 연구 < 공통편 >
제 1 장 서 설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연구의 필요성
2. 현황 및 문제점
3. 연구의 목표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 연구의 내용 및 범위
제3절 제공할 연구 성과
1. 제공할 연구 성과
제4절 추진 방법 및 전략
1. 관련 정보의 수집
제 2 장 브랜드 개발 및 권리화
제1절 브랜드 개발 이론
1. 중소기업의 브랜드 경영 니즈와 현실
2. 브랜드 개괄적 설명
3. 브랜드 네이밍 및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제2절 브랜드 권리화 기본 이론
1. 브랜드의 권리화 종류
2. 상표 등록을 통한 브랜드 권리화
제3절 권리화 단계의 공통이슈
1. 상표권을 받지 않고 사용할 경우 문제
2. 상호등록을 했는데 또 상표권이 필요한 이유
3. 내 등록상표를 타인이 도메인 네임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4. 타인이 내 상표 출원에 ‘정보제공’ 및 ‘상표등록이의신청’을 할 경우 대응
5. 출원 중 심사관으로부터 의견제출통지서를 받은 경우
6. 식별력이 없는 상표를 등록받을 수 있는 방법
7. 상표브로커가 상표를 선점하고 있는 경우 대응
8. 유사상표가 있다는 이유로 상표등록이 거절될 경우 대응
9. 상표 등록 없이 사용 중 경고장을 받았을 경우 대응
10. 출원인이 이용할 수 있는 문의기관
제 3 장 브랜드 관리
제1절 브랜드 관리 전략 이론
1. 브랜드 관리의 정의
2. 중소기업의 브랜드 관리 전략
제2절 브랜드 법적 관리 이론
1. 등록상표 관리
2. 상표 침해 모니터링
3. 경쟁업체 모니터링
4. 경고장 발송
5. 정보제공, 이의신청제도 활용
6. 상표권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심판, 소송
7. 라이센스
제3절 브랜드 법적 관리 공통이슈
1. 나와 유사상표가 특허청에 출원 된 경우
2. 타인의 침해를 확인했을 때 경고장을 보내는 이유
3. 상표침해를 당했을 때 대응
4. 라이센스 계약시 필수적으로 정의되어야 하는 사항
5. 라이센스 계약시 불공정조항의 유형(디자인 용역)
6. 상표등록 표시의 필수 여부
제 4 장 브랜드 중국진출전략
제1절 브랜드 중국진출전략 개요
1. 브랜드 표준화와 현지화
2. 중국진출 시 브랜드 법적 검토의 필요성
제2절 중국진출 브랜드 네임·디자인 현지화 전략
1. 중국 브랜드 현지화의 중요성
2. 중문 브랜드 네이밍시 고려사항
3. 중문 네이밍의 원칙
4. 중문 네이밍 기법 및 사례
5. 글로벌 기업의 중문 브랜드
6. 국내기업의 중문 브랜드
제3절 중국진출 브랜드 보호 전략
1. 중국에서의 브랜드 보호 필요성
2. 중국에서의 브랜드 보호 방법
3. 중국 상표권
4. 중국 상표분쟁 사례
산업별 브랜드전략 연구 < 외식편 >
제 1 장 외식업 시장환경분석
제1절 외식산업 시장환경
1. 외식산업의 개괄
2. 외식산업 업계동향
3. 상표 출원동향
제2절 외식산업 중소기업 현황
1. 전체 외식산업에서 중소기업
2. 국내 외식프랜차이즈
3. 체계적인 브랜딩 전략 부족
4. 기업출원에 비해 낮은 개인출원의 등록률
5. 중소업체의 침해 피해 사례
제3절 외식산업 마켓 트렌드 분석
1. 식품·외식기업의 융복합 진출
2. 전통에 대한 새로운 관심
3. 양극화 현상
4. 대형 외식업소 몰링화 가속도
5. 외식업체의 해외진출 활성화
6. 셰프의 상품화 및 브랜드화
제4절 외식산업 소비자 분석
1. 소비자의 가치소비 경향 : 로케팅 소비
2. 안전, 안심에 대한 욕구 증가
3. 보여주기(Show-off)식 소비
4. 1인 가구의 증가
5. 다양성 추구
6. 모바일 및 앱 사용의 증가
제5절 소결
제 2 장 외식브랜드 개발 및 권리화
제1절 외식 브랜드 네임 및 디자인 특징 분석
1. 전체적인 특징
2. 업종별 특징
제2절 외식 브랜드 개발용 키워드 별 상표데이터 분석자료
1. 브랜드 키워드별 상세 분석
제3절 외식 브랜드 권리화 이슈 사례연구
1. 지정서비스업의 류와 유사군, 지정서비스업의 올바른 지정
2. 서비스 제공내용을 브랜드 네임으로 사용한 경우
3. 식품에서 식별력이 없는 단어이나 외식업에서는 식별력이 있는 경우
4. 상품명과 특정명칭이 결합한 서비스표에서 특정명칭만 다른 경우
5. 신조어의 식별력 인정 여부
6. 원재료나 가공방법 등이 디자인화 된 경우 식별력 인정 여부
7. 사람의 얼굴도형의 식별력을 인정 여부
제 3 장 외식 브랜드 관리
제1절 외식브랜드 관리 전략 사례
1. 기업사례 Ⅰ : CJ푸드빌
2. 기업사례 Ⅱ : 더본코리아
제2절 심판소송으로 본 외식 브랜드 관리 전략
1. 지정상품 ‘식품’과 지정서비스업 ‘식품 관련 서비스업(식당업 등)’은 상호 유사한가.
2. 나의 등록서비스표의 식별력 없는 부분을 다른 사람이 등록한 경우
3. 우리 동네 맛집도 ‘사용에 의한 식별력’을 얻을 수 있는지 여부
4. 식별력이 없다고 거절된 상표와 동일한 서비스표를 사용한 경우
5. 외식업 광고에서 법률적으로 바른 사용 범위
6. 외식업에서 법적으로 서비스표를 사용했다는 증거
제 4 장 외식 브랜드 중국진출전략
제1절 중국진출 외식 브랜드 네임?디자인 현지화 전략
1. 중국의 외식업 시장
2. 중국 내 외식업 브랜드의 현지화 전략
3. 중국 내 외식업 브랜드의 현지화 사례
제2절 중국진출 외식브랜드 보호 전략
1. 음식의 개발자도 상표권을 받아야 한다
2. 기업명칭(상호)도 등기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원칙
3. 도형상표의 저작권자가 있는 경우 상표출원 전에 사전허가를 받아두어라
지식재산관련 참고 사이트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