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체육
· ISBN : 9791130314532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22-01-20
책 소개
목차
PART 01
체육과 스포츠 행정
CHAPTER 01 체육·스포츠 행정 5
01 체육과 스포츠 7
02 행정의 개념 9
03 행정과 경영 12
04 체육행정과 체육지표 15
CHAPTER 02 체육·스포츠 정책 27
01 정책의 개요 29
02 정책의 유형 31
03 체육과 스포츠 정책 34
CHAPTER 03 체육·스포츠 법령 51
01 법령체계와 입법절차 53
02 체육과 스포츠 법령 57
PART 02
체육과 스포츠 행정 조직
CHAPTER 04 행정조직의 이해 83
01 조직구조의 이해 85
02 조직유형의 이해 91
03 체육과 스포츠 행정조직 96
CHAPTER 05 국내 체육·스포츠 행정조직 129
01 중앙행정부 131
02 지방자치단체 141
03 공공기관 146
04 국내 스포츠 거버넌스 163
CHAPTER 06 해외 체육·스포츠 행정조직 167
01 국제 스포츠 거버넌스 169
02 국가체육회총연합회(ANOC) 175
03 국제스포츠종목총연합회(GAISF) 178
04 선진국 체육·스포츠 조직 188
CHAPTER 07 체육·스포츠 시설관리조직 193
01 체육시설의 개념 195
02 체육시설의 종류 197
03 체육시설의 안전 및 관리 213
CHAPTER 08 체육·스포츠 조직 경영 221
01 리더십과 동기부여 223
02 인사행정과 재무행정 229
PART 03
체육과 스포츠 행정 프로그램
CHAPTER 09 국내·외 대회 프로그램 263
01 국제경기 프로그램 265
02 전국대회 프로그램 279
03 생활체육 프로그램 289
CHAPTER 10 학교체육 프로그램 299
01 학교체육 교육과정 301
02 학교체육행사 330
표 차례
<표 1-1> 행정학의 접근 10
<표 1-2> 행정과 경영의 유사점 12
<표 1-3> 행정과 경영의 차이점 13
<표 2-1> 정책의 구성요소 30
<표 2-2> 정책의 유형 31
<표 2-3> 체육·스포츠 정책의 범위 35
<표 2-4> 제6공화국 국민생활체육진흥 종합계획(1990~1992)의 주요 내용 39
<표 2-5> 문민정부 국민체육진흥 5개년 계획(1993~1997)의 주요내용 39
<표 2-6> 국민의 정부 국민체육진흥 5개년 계획(1998~2002)의 주요내용 40
<표 2-7> 참여정부 국민체육진흥 5개년 계획(2003~2007)의 주요내용 42
<표 2-8> 스포츠 산업 비전 2010의 주요내용 43
<표 2-9> 이명박 정부 문화비전(2008~2012)의 주요내용 43
<표 2-10> 스포츠 산업 중장기 계획(2009~2013)의 주요내용 45
<표 2-11> 박근혜 정부 국민체육진흥종합계획(2013~2017)의 주요내용 46
<표 2-12> 스포츠 산업 중장기 발전계획(2014~2018)의 주요내용 47
<표 2-13> 문재인 정부 국민체육진흥기본계획(2018~2022)의 주요내용 48
<표 2-14> 제3차 스포츠 산업 중장기 계획(2019~2023)의 주요내용 49
<표 3-1> 행정부 내의 입법과정 55
<표 3-2> 통합체육회 추진과정 60
<표 4-1> 조직의 자원 85
<표 4-2> 현대 조직이론 88
<표 4-3> 조직설계 요인 89
<표 4-4> 조직구조를 형성하는 요소 90
<표 4-5> 민츠버그의 5가지 조직구조 유형 93
<표 4-6> 대한민국 정부의 공무원 규모 97
<표 5-1> 시·도 교육청 체육행정조직(2021.8월 기준) 141
<표 5-2> 광역자치단체의 체육·스포츠 조직 143
<표 5-3>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의 지정기준(법제처, 2021년 2월 기준) 148
<표 5-4> 공공기관 유형 구분 148
<표 5-5> 대한체육회 시·도 지부 현황 155
<표 5-6> 대한체육회 해외 지부 현황(2021. 2월 기준) 156
<표 5-7> 대한체육회 회원종목단체 157
<표 5-8> 대한장애인체육회 시·도 지부 현황 161
<표 5-9> 대한장애인체육회 회원종목단체 162
<표 6-1> 하계올림픽국제연맹연합회(ASOIF) 178
<표 6-2> 동계올림픽국제연맹연합회(AIOWF) 184
<표 6-3> 선진국의 엘리트/생활체육·스포츠 조직 189
<표 7-1> 운동종목별·시설형태별 체육시설의 종류 197
<표 7-2>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2019) 199
<표 7-3> 공공체육시설 기준 202
<표 7-4> 전국 등록 및 신고체육시설업 현황 204
<표 7-5> 신고체육시설업 206
<표 7-6> 체육시설업의 종류별 설치기준 208
<표 7-7> 체육시설업의 종류별 안전기준 214
<표 7-8> 체육지도자 배치 218
<표 7-9> 과태료의 부과기준 219
<표 8-1> 공무원의 종류(인사혁신처, 2021) 231
<표 8-2> 공무원 인사제도(인사혁신처, 2021) 234
<표 8-3> 전문스포츠지도사 제도 242
<표 8-4> 건강운동관리사 제도 243
<표 8-5> 생활스포츠지도사 제도 243
<표 8-6>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제도 244
<표 8-7> 유소년스포츠지도사 제도 245
<표 8-8> 노인스포츠지도사 제도 245
<표 8-9> 스포츠경영관리사 제도 246
<표 8-10> 예산과 기금의 비교 256
<표 9-1> 기간별 하계올림픽 개최도시 272
<표 9-2> 올림픽과 광고/TV 방송의 변천사 272
<표 9-3> 기간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 274
<표 9-4> 장애인 하·동계올림픽 개최도시 275
<표 9-5> 유스 하·동계올림픽 개최도시 276
<표 9-6> 아시아경기대회 개최도시 277
<표 9-7> 유니버시아드대회 개최도시 277
<표 9-8> 전국체육대회 개최현황 281
<표 9-9> 소년체육대회 개최현황 285
<표 9-10> 우리나라 정부별 생활체육 정책 290
<표 9-11> 생활체육 프로그램의 계획단계 293
<표 9-12> 생활체육 프로그램의 조직화 단계 294
<표 9-13> 생활체육 프로그램의 실행단계 296
<표 9-14> 생활체육 프로그램의 평가기준 297
<표 10-1> 초등학교 교과 시간배정 기준 302
<표 10-2>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초등학교) 303
<표 10-3> 체육과 교육과정 성취기능(초등학교 3~4학년) 305
<표 10-4> 초등학교 3~4학년 신체활동 307
<표 10-5> 체육과 교육과정 성취기능(초등학교 5~6학년) 308
<표 10-6> 초등학교 5~6학년 신체활동 311
<표 10-7> 중학교 교과 시간배정 기준 312
<표 10-8>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중학교) 313
<표 10-9> 체육과 교육과정 성취기능(중학교 1~3학년) 315
<표 10-10> 중학교 1~3학년 신체활동 319
<표 10-11> 고등학교 교과 시간배정 기준(일반 고등학교, 특수 목적 고등학교) 320
<표 10-12> 고등학교 교과 시간배정 기준(특성화 고등학교,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321
<표 10-13>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체계(고등학교) 322
<표 10-14> 체육과 교육과정 성취기능(고등학교 1~3학년) 323
<표 10-15> 고등학교 1~3학년 신체활동 325
<표 10-16> 학교체육행사 운영단계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