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실패한 정치는 전쟁을 부른다

실패한 정치는 전쟁을 부른다

정상돈 (지은이)
박영사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810원
26,190원 >
27,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실패한 정치는 전쟁을 부른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실패한 정치는 전쟁을 부른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91130315706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22-06-25

책 소개

지금 국제질서는 안보지형이 바뀌는 대전환기에 있다. 미.중 패권경쟁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북한은 극심한 경제난 속에서도 핵무기를 비롯한 국방력 강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향후 10년은 대한민국의 운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다.

목차

Ⅰ. 서 론
1. 문제 제기와 집필 배경 17
2. 집필 목적과 책의 구성 36

Ⅱ. 북한에 대한 환상
1. 북한은 어떤 국가인가? 43
가. 북한 체제의 본질적 특징 43
나. 북한에 대한 착시현상과 실제 모습 67
1) 북한 경제에 대한 착시현상 67
2) 북한의 현 실태와 불안정성 평가 71
다. 「실패 국가」 북한의 생존전략 85
1) 남한과의 체제 경쟁에서 진 북한 85
2) 「실패 국가」 북한의 딜레마 89
3) 김정은의 생존전략 91

2. 북한의 대남전략과 군사전략 99
가. 대남전략의 변화? 99
1) 북한식 흡수통일 방안(고려연방제)의 변천 99
2) 대남전략의 변화? 한국 진보의 「북한 연구」 비판 - 1 109
나. 군사전략의 진화 124
1) 1990년대 체제 위기와 군사전략의 진화 124
2) 김정은 시대 전략·전술 이중(二重) 핵 역량 확보와 그 군사 전략적 함의 132
3.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환상 145
가. 북한의 핵 개발 역사 145
1) 김일성 시대: 핵개발 능력 구축 145
2) 김정일 시대: 핵개발과 협상 병행 147
3) 김정은 시대: 핵무기 완성과 증강 및 핵보유국 지위 추구 149
나. 북핵 협상의 역사와 교훈 159
1) 제1차 북핵 위기(1993년) 전후의 핵협상 159
2) 제2차 북핵 위기(2003~2008년)와 6자회담 165
3) 제3차 북핵 위기(2016년~현재)와 미·북 간 핵협상 170
4) 북핵 협상 30년의 교훈 184
4. 진보와 보수라는 잘못된 이분법 189
가. 한국 진보의 「북한 연구」는 정말 진보적인가? 189
1) 김정은은 국가전략을 바꿨나? 189
2) 한국 진보의 「북한 연구」 비판 - 2 192
3) 한국 진보의 「북한 연구」 비판 - 3 199
나. 남남갈등의 기원과 전개 203
1) 주사파의 등장 203
2) 김대중 정부와 남남갈등 206
3) 노무현 정부와 남남갈등 208
4) 문재인 정부와 남남갈등 211
다. 유럽 좌파의 시각에서 본 북한 체제 및 한국 진보 216
1) 유럽 좌파의 시각에서 본 북한 체제 216
2) 유럽 좌파의 시각에서 본 한국 진보 218

Ⅲ. 영혼 없는 정치
1. 동독 vs 북한 229
가. 동독의 정치·사회 vs 북한의 정치·사회 229
나. 동독의 통일정책 vs 북한의 통일정책 237
2. 남북관계에 대한 환상 241
가. 남한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 241
1) 냉전기 남한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 241
2) 탈냉전기 남한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 244
나. 동서독관계 vs 남북관계 253
다. 남북관계란 무엇인가? 259
라. 서독의 대(對)동독정책 vs 한국의 대북정책 268
1) 서독의 대(對)동독정책 vs 한국의 대북정책 268
2) 서독의 대(對)동독 인권정책 vs 한국의 대북 인권정책 278
3. 평화에 대한 환상 289
가. 평화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전략 289
1) 평화에 대한 북한의 인식 289
2) 북한의 평화전략 291
3) 1990년대 미·북 간 평화 논의와 변화 295
4) 평화 문제에 대한 북한의 이중성 297
5) 김정은의 전술적 변화 298
나. 평화에 대한 남한의 인식과 전략 306
1) 평화에 대한 남한 역대 정부의 인식과 전략 306
2) 남한 역대 정부의 평화전략 평가 311
3) 평화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인식과 전략 316
4) 문재인 정부와 종전선언 320
5) 종전선언에 대한 남북한의 시각차 322
다. 평화란 무엇인가? 331
라. 서독의 평화정책 vs 한국의 평화정책 339
1) 슈미트 정부: 안보에 기초한 평화정책 339
2) 문재인 정부: 안보와 분리된 평화정책 344

Ⅳ. 한반도와 미·중 패권경쟁
1. 한반도와 미국 353
가. 흔들리는 한미동맹 353
나. 북·미 관계의 한계 364
다. 남·북·미 3각 관계 372
2. 한반도와 중국 375
가. 한국과 중국의 엇갈리는 상호 인식 375
나. 강화되는 북·중관계 378
다. 한국의 평화정책을 역(逆)이용하는 북한과 중국 381
3. 한반도와 미·중 패권경쟁 384
가. 21세기 미·중 패권경쟁 384
1)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에 도전하는 중국 384
2) 전(全)방위적 대결로 진화하는 미·중 패권경쟁 389
나. 한반도와 미·중 패권경쟁 392
1) 남북관계와 미·중 관계 392
2) 한국과 미·중 패권경쟁 394

Ⅴ. 20세기 미·소 냉전과 서독 vs 21세기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
1. 20세기 미·소 냉전 vs 21세기 미·중 패권경쟁 399
가. 구조적 차이 399
나. 행위자 차이: 고르바초프 vs 시진핑 407
1) 냉전 종식을 초래한 고르바초프 407
2) 신(新)냉전을 부르는 시진핑 410
다. 평 가 414
2. 서독의 균형외교 vs 한국의 균형외교 417
가. 서독의 균형외교 417
나. 한국의 균형외교 422

Ⅵ. 위기의 시대, 전쟁을 부르는 정치
1. 위기의 시대, 두 개의 전선(戰線): 대만과 한반도 427
가. 대만을 둘러싼 미·중 군사충돌 가능성 427
나. 대만 해협의 위기와 한반도 435
2. 한반도의 안보와 정치 443
가. 한반도 전쟁 발생 시 한국의 군사 대비태세 평가 443
1)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 443
2) 북한의 전쟁 전략과 한반도 전쟁 양상 전망 445
3) 한국의 군사 대비태세 평가 448
나. 전쟁을 부르는 정치 456

Ⅶ. 결론: 생존의 기로에서
1. 대북전략에 대한 제언 475
가. 새로운 대북 패러다임 475
나. 북한이 두려워하는 지렛대 481
2. 외교·안보전략에 대한 제언 487
가. 새로운 외교·안보 패러다임 487
나. 전쟁 억제의 지렛대 493
3. 이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정치 497

참고문헌 505

저자소개

정상돈 (지은이)    정보 더보기
□ 학력사항 1976~1982 :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1983~1990 :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 정치학과 (학사 + 석사) 1990~1996 :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 정치학과 박사 □ 경력사항 1998~1999 : 세종연구소 상임객원연구위원 2001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연구위원 2002~2004 : 세종연구소 상근객원연구위원 2004~2006 : 열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원 (통일외교안보실장) 2007~현재 :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 주요 저서 및 저술활동 이라크파병의 성과와 향후 과제(2007), 공저, 한국국방연구원 한국의 유엔평화유지활동 참여방안(2008), 공저, 한국국방연구원 독일의 방위비분담 및 주독미군 기지 환경관리정책(2009), 한국국방연구원 對아프간 지원정책 추진방향(2010), 대외비, 공저, 한국국방연구원 등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