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군사학
· ISBN : 9791130323275
· 쪽수 : 492쪽
· 출판일 : 2025-08-15
책 소개
우주 안보는 군대나 정보 기관만의 영역이 아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와 경제도 우주 능력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으며, 우주에서 벌어지는 경쟁은 지구에서도 경험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주 능력에 대한 단순한 시험조차도 우주활동 주체들에게 오래 지속되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우주는 종종 비어 있는 공간, “최후의 개척지”, 그리고 미지의 영역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인간이 우주로 접근하면서 새로운 현상과 의미가 생겨난다. 과거에는 미국이나 구소련과 같은 국가만이 우주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난 수십 년 동안 새로운 기술 발전과 우주 발사 비용 감소로 인해 우주 산업의 엄청난 확장과 상업화가 이루어져, 이제는 기업, 단체, 심지어 개인까지도 이 분야에 훨씬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대부분의 우주 관련 활동은 과학적 발견을 증진시키거나, 산업을 발전시키거나, 군대를 강화시킬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확장이 테러와 같은 불법적인 무력 행사에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간과할 수 없다.
항공우주에 열심인 어느 대학교를 지나다 이런 현수막을 본 적이 있다. “용기있는 사람만이 하늘을!! 도전하는 사람만이 우주를!!” 이 말에 우리의 현재 인식이 담겨 있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처럼 우리나라가 우주에 도달할 수 있기 전에는 우주가 아닌 하늘에 도전한다는 표현을 썼다. 하지만, 이젠 우주에 도전하고 있다. 우리가 하늘을 비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 빠른 비행, 더 높은 비행은 용기가 필요한 영역이 된 것이다. 우주는 아직 어디까지 해볼 수 있는지 알 수 없는 영역이므로 용기를 넘어선 도전 자체가 필요한 것이 아닐까? 내가 몸담았던 공군에서도 오래전부터 건배사로 “하늘로! 우주로!”를 애창했지만, 우주작전 능력이 없을 때, “우주로”는 그냥 외쳐보는 미사여구였다. 우주작전 능력이 현실이 된 현재, 공군에서도 “우주로”는 더 이상 미사여구가 아니다.
이 책의 개정판이 1년 반만에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우리나라에도 우주 안보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존재함을 입증한다. 동시에 우주 안보 분야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무리 개정판이라도 우주 안보 분야의 빠른 발전을 따라갈 방법은 없다. 하지만, 이 책은 단순히 최신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아니라, 우주 안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개념, 범위,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우주 안보의 변화가 아무리 빨라도 분석의 토대는 달라지지 않는다.
이번 개정판이 초판과 다른 점은 우선 우주 안보의 개념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었다. 우주 안보의 요소 중에서 군사우주를 국방․정보 우주로 확대했다. 또한 우주 안보의 다양한 이슈를 다루고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우주 안보에 미치는 영향, AI 기술의 우주 활용, 우주 ․ 사이버 안보, 북한의 우주개발 등 초판에서 다루지 못한 최신 트렌드를 포함했다.
앞으로도 우주 안보가 국가안보의 중요한 영역이자, 경제와 산업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된다는 생각을 많은 분들과 나누기 위해 계속 노력할 생각이다. 우리나라 우주개발에서 우주 안보가 더 많은 분야와 연결되고, 새로운 의미와 기회를 발견할 수 있는 중심이 되기를 기대한다.
2025년 8월 성무대에서
엄정식
목차
제2판 서문 1(우주라는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다만, 모두에게 균등하게 오진 않는다.)
초판 서문: 3(우주도 지구와 다름없는 생존과 안보의 공간이다)
Ⅰ 우주 안보의 역사 13
군사적 목적에서 시작된 우주 활동 14
1950~1990년대 미소 우주 경쟁 18
2000~2020년대 미중 우주 경쟁 27
Ⅱ 우주 안보의 토대 39
우주 안보의 중요성 40
우주 안보의 개념과 영역 51
• 우주 안보의 개념 51
• 우주 안보의 영역 56
우주 환경의 안보적 이슈 70
• 태양 활동 70
• 중력 75
• 전략적 요충지 78
우주 안보의 대상: 우주 시스템 92
• 지상 부문(Ground segment) 94
• 우주 부문(Space segment) 107
• 링크 부문(Link segment) 111
• AI를 활용한 우주 기술 113
• 우주․사이버 위협과 대응 123
Ⅲ 우주 안보의 영역 133
국방․정보 우주 134
• 우주영역인식 134
• 우주정보지원 142
• 우주전력투사 148
• 우주통제 155
우주 경제 177
• 우주 경제의 개념과 범위 177
• 우주 경제의 구조 181
• 우주 시장의 발전 188
• 우주 경제와 안보․외교의 연관성 205
우주 외교 208
• 우주 안보 관점의 우주 외교 208
• 우주 안보와 관련된 국제법 213
• 우주 외교의 쟁점 220
Ⅳ 우주 안보를 이해하는 관점 231
국제정치와 우주 안보 232
• 현실주의 이론과 우주 안보 232
• 자유주의 이론과 우주 안보 238
• 구성주의 이론과 우주 안보 242
• 우주 안보 분석 사례 ①: 미중 우주경쟁의 국제정치 247
• 우주 안보 분석 사례 ②: 미래 우주전(space warfare)의 248가능성과 위협
현대전략과 우주 안보 260
• 우주 전략의 이해 260
• 억제와 우주 안보 262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우주 안보 264
Ⅴ 우주 안보 이슈 275
우주 잔해물 문제의 국방․정보, 경제, 외교 276
우주 정거장의 국제협력과 경쟁 281
달 탐사의 국제경쟁 288
시스루나(지구-달) 공간의 우주 안보 301
글로벌 위성항법체계의 국제정치 304
우주 발사장의 위협과 대응 310
• 글로벌 우주 발사 트렌드와 우주 안보 311
• 우주 발사장의 위협 분석 314
김정은 시기 북한의 우주개발 326
• 우주개발법과 정책 326
• 우주개발법의 주요 내용 328
• 우주개발법 제정 10년의 입법 분석 331
• 북러 우주협력과 북한의 우주개발 능력 333
• 북한의 우주개발과 우주 안보 340
대한민국 우주안보전략 제안 344
• 국가우주안보전략의 필요성 344
• 전략과제 1 국가우주 안보 자산 확보와 역량 강화 354
• 전략과제 2 안전한 우주환경 조성과 우주상황인식 체계 강화 358
• 전략과제 3 우주 기반 산업 발전과 신시장 진출 362
• 전략과제 4 우주 안보에 기여하는 민관군 거버넌스 구축 366
• 전략과제 5 다자․양자 우주협력 제고와 국제규범 확립 370
나오며: 우주 안보 시대의 국가안보 374
미 주 376
부록 1: 우주 입문자를 위한 국내 도서 추천 401
부록 2: 우주 관련 온라인 자료 414
부록 3: 우주 안보의 이야기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