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일반
· ISBN : 9791140702305
· 쪽수 : 154쪽
· 출판일 : 2022-12-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학습 계획표
준비 마당_ 문해력 이해하기
“선생님 ○○이 무슨 말이에요?”
초등학교 3~4학년은 학습의 결정적 시기
문해력이란 무엇일까?
초등학교 때 문해력을 길러야 하는 이유
어휘의 한계는 학습의 한계
초등학교 3~4학년이라면 꼭 알아야 하는 학습어휘 모음
이 책 속 학습어휘는 어디서 왔을까?
학습어휘를 효과적으로 익히는 방법
첫째 마당_ 국어 교과에서 문해력 다지기
01 감각적으로 표현한다는 게 무슨 말일까?
02 문장은 무엇으로 만들어질까?
03 문장과 문단은 무엇이 다를까?
04 중심 문장, 뒷받침 문장은 어떻게 구분할까?
05 “엄마! 빨리 밥 줘!”는 올바른 표현일까?
06 요약하며 듣는다는 건 무슨 말일까?
07 사실과 의견을 어떻게 구별할까?
08 ‘동’으로 시작하는 세 낱말의 비슷한 점은 무엇일까?
09 친구들과 생각을 모으기 위해선 무엇을 해야 할까?
10 이렇게 제안하는 건 어떨까?
11 이야기를 만드는 세 가지는 무엇일까?
12 독서 감상문은 어떻게 써야 할까?
둘째 마당_ 수학 교과에서 문해력 다지기
01 선분과 직선은 무엇이 다를까?
02 직각은 무슨 말일까?
03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다른 점은 무엇일까?
04 길이를 잴 때는 어떤 단위를 사용할까?
05 시각과 시간은 무엇이 다를까?
06 분수는 무엇일까?
07 소수는 무엇일까?
08 원을 알아볼까?
09 이 분수는 뭐라고 부를까?
10 들이와 무게의 단위는 무엇일까?
11 그림그래프와 막대그래프의 다른 점은 무엇일까?
12 어떤 각도로 그리는 게 좋을까?
13 이등변삼각형과 정삼각형은 무엇이 다를까?
14 수직과 평행은 무슨 말일까?
15 여러 가지 사각형을 살펴볼까?
16 다각형에서 이웃하지 않는 꼭짓점을 이은 선을 어떻게 부를까?
셋째 마당_ 사회 교과에서 문해력 다지기
01 우리 고장에는 어떤 장소가 있을까?
02 우리 고장은 어디쯤 위치해 있을까?
03 어떤 지도에서 우리 고장을 찾아볼까?
04 우리 고장에도 옛이야기가 있을까?
05 문화관광해설사는 어떤 일을 할까?
06 우리 고장에는 어떤 문화유산이 있을까?
07 교통수단은 어떻게 변했을까?
08 옛날에는 어떤 통신수단을 이용했을까?
09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세 가지는 무엇일까?
10 가족 구성원엔 누가 있을까?
11 우리 가족은 핵가족일까? 확대가족일까?
12 지도에 숨겨진 약속은 무엇일까?
13 내가 사는 곳은 촌락일까? 도시일까?
14 생산과 소비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15 저출산, 고령화로 어떤 일이 벌어질까?
16 편견과 차별을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넷째 마당_ 과학 교과에서 문해력 다지기
01 물체와 물질은 어떻게 다를까?
02 배추흰나비는 어떻게 자랄까?
03 배추흰나비는 곤충일까? 동물일까?
04 완전탈바꿈과 불완전탈바꿈은 무슨 말일까?
05 철을 끌어당기는 물체가 가진 힘은 무엇일까?
06 나침반은 어떻게 생겼을까?
07 지구와 달의 표면은 어떻게 생겼을까?
08 육지와 바다 중 더 넓은 곳은?
09 지표, 지형, 지층은 무슨 뜻일까?
10 지표를 변하게 만드는 네 가지 원인은 무엇일까?
11 강의 상류와 하류는 무엇이 다를까?
12 화석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13 섞여 있는 콩과 쌀을 어떻게 분리할까?
14 우리 주변에는 어떤 고체, 액체, 기체가 있을까?
15 물은 어떻게 모습을 바꿀까?
16 화강암과 현무암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어휘 찾아보기
이 책에 나온 학습어휘와 주제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초등학교 3~4학년 시기에 학습어휘를 제대로 익혀 두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일이 생깁니다.
-초등학교 5~6학년이 되어 수업 시간에 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면 어떤 내용인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합니다.
-혼자서 공부하기 위해 교과서를 반복해서 읽어도 정작 알아야 하는 핵심 내용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교과별 핵심 어휘들은 이전 학년, 다음 학년과 촘촘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3~4학년에서 배우는 ‘희소성’, ‘생산’, ‘소비’, ‘시장’과 같은 어휘들은 5~6학년에서 배우게 될 ‘가계’, ‘기업’, ‘합리적 선택’, ‘자유경쟁’과 같은 어휘들과 이어져 있습니다. 5~6학년에서는 3~4학년에서 언급되었던 학습어휘들을 다시 다루진 않습니다. 이미 알고 있을 거라고 가정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3~4학년에서 꼭 배워야 하는 어휘를 제대로 익히지 못하면 5~6학년에서 배우는 어휘를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_ ‘초등학교 3~4학년은 학습의 결정적 시기’
지금의 초등학생들이 어른이 될 2040년, 2050년에는 직장이라는 개념이 지금과는 매우 다를 확률이 높습니다. 긱 경제(Gig Economy. 시장의 요구, 필요에 따라 임시로 사람을 고용하는 경제 형태)가 더 활성화되고,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완전히 무너지겠죠. 하나의 직장에서 평생 근무하는 게 아니라 이 직업 저 직업, 이 직장 저 직장을 바쁘게 옮겨 다니는 게 평범한 일이 될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 처했을 때 가장 필요한 능력이 무엇일까요? 저는 문해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을 하려면 모종의 지식이나 기술을 배워야 하는데 문해력이 있어야만 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문해력이 있어야 어떤 직업을 갖든 어느 직장에 가든 적응을 잘하고, 다른 업무, 다른 직업에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습니다. _ ‘초등학교 때 문해력을 길러야 하는 이유’
불행 중 다행인 것은 초등학교 3~4학년에서 나오는 어휘들이 그리 어렵지 않다는 것입니다. 초등학교 5~6학년과 비교하면 교과서나 수업 자료에 나오는 어휘의 수가 그리 많지 않고 수준도 높지 않습니다.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시간을 내면 충분히 익힐 수 있는 수준입니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라는 속담을 아시죠? 초등학교 3~4학년 시기에 호미로 막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가래로 막아야 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가래로도 막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_ ‘어휘의 한계는 학습의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