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영상 디자인과 AI 플랫폼](/img_thumb2/9791143007452.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43007452
· 쪽수 : 131쪽
· 출판일 : 2025-08-25
책 소개
목차
AI를 통한 영상 디자인, 그 가능성에 대한 고찰
01 영상 디자인과 에이전시
02 영상 디자이너와 AI
03 영상 디자인의 정의
04 생성형 AI의 정의
05 AI와 영상 디자인의 변화
06 영상 제작 현장에서 AI 활용과 의미
07 생성형 AI 플랫폼의 영상 생성 원리
08 AI를 활용한 영상 제작 사례
09 영상 제작을 위한 AI 활용 방법
10 AI와 영상 제작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러한 웹의 진화는 단순히 기술적 변화에 그치지 않고,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했다. 특히 영상 콘텐츠는 사용자의 관심을 끌고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핵심 수단이 되었다. 정적인 웹 디자인에 영상 요소와 모션이 결합하면서, 영상 디자이너는 UI 애니메이션, 스크롤 기반 인터랙션 영상, 배경 비디오 등의 제작에 참여하며 웹사이트의 몰입감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더불어 웹 에이전시가 디지털 마케팅 영역의 확장과 함께 점차 디지털 에이전시(Digital Agency)로 진화하게 되면서 마케팅과 관련하여 소위 영상 콘텐츠가 필요한 거의 모든 업무에 영상 디자이너가 필요해지고, 많은 회사들이 내부에 영상 디자인 관련 조직을 운영하게 되었다.
-01_“영상 디자인과 에이전시” 중에서
국내에서는 1990년대부터 영상 디자인의 개념과 현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영상 디자인’이 표준화된 용어로 자리 잡았다. ‘모션 디자인’, ‘모션 그래픽스’라는 용어는 200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애니메이션 기법, 필름 그래픽, 비디오 그래픽, 영상 디자인 등으로 인식되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용어가 방송 그래픽처럼 좁은 의미로 기술적 표현이나 특정 효과를 지칭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이는 1960∼1980년대 서양에서 모션 그래픽스가 영화와 TV 그래픽으로 정의되던 방식과 유사하다.
-03_“영상 디자인의 정의” 중에서
AI를 활용한 스토리보드 제작의 시작은 기획자가 영상의 시나리오나 장면 설명을 텍스트로 정리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예를 들어 “젊은 여성이 새벽의 지하철 객실에 앉아 있다. 조명이 어둡고 외로운 분위기” 같은 문장을 입력값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장면의 배경, 등장인물, 감정, 조명 상황 등을 설명하는 텍스트는 곧 AI에게 전달할 시각적 지시문이 된다. 이 텍스트 프롬프트는 구체적일수록 좋다. 예컨대 “35mm 시네마틱 구도, 부드러운 파란 조명, 측면 뷰, 단발머리 여성, 텅 빈 지하철 내부”와 같은 식의 묘사는 이미지 생성의 정밀도를 높인다. 이 프롬프트는 미드저니(Midjourney), 달리(DALL·E),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등과 같은 텍스트투이미지(Text-to-Image) AI 도구에 입력된다. 그러면 AI는 사용자의 설명을 바탕으로 몇 초 내에 그 장면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이미지 여러 장을 출력한다. 기존에는 디자이너나 콘티 작가가 몇 시간, 때로는 며칠씩 투자해야 했던 콘티 이미지들이 이제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06_“영상 제작 현장에서 AI 활용과 의미” 중에서